• Title/Summary/Keyword: Multiple health behaviors

검색결과 590건 처리시간 0.023초

노인장기요양보험 인정자의 정신적 건강상태(우울, 인지기능장애 및 치매) 및 그의 관련요인 (Relating Factors on Mental Health Status (Depression,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among the Admitted from Long-term Care Insurance)

  • 송영수;김태백;배남규;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47-260
    • /
    • 2018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장기요양보험 인정자들의 연령대(70대군, 80대군 및 90세 이상 군)별 정신적 건강상태(우울, 인지기능장애 및 치매)를 알아보고, 정신적 건강상태에 관련된 요인을 규명해 보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2011~2014년도에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장기요양 인정자로 판정받았던 70세 이상 노인 1,488명(남성 740명, 여성 748명)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생활습관 등이 기재된 문진표, 검사항목별 건강검진 및 장기요양자료를 연구목적으로 제공받아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들의 연령대별 정신적 건강상태를 나타내는 우울, 인지기능장애 및 치매 수준은 연령대가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정신적 건강상태를 나타내는 우울, 인지기능장애 및 치매가 나타날 위험비는 각 연령대별로 큰 차이 없이 남성보다 여성에서, 과체중군보다 저체중군에서, 비흡연군보다 흡연군에서, 비음주군보다 음주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는 조사대상자들의 정신적 건강상태(우울, 인지기능장애 및 치매)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저하됨을 시사하며, 특히 흡연, 음주 및 규칙적인 운동 등과 같은 건강관련행위특성이 좋지 않은 군이 좋은 군보다 정신적 건강상태가 저하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일부 농촌지역 청소년들의 건강행태 관련요인 분석 (Factors related to the Health Behavior of Rural Adolescents)

  • 조희숙;이선희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5권2호
    • /
    • pp.315-326
    • /
    • 2000
  • 본 연구는 농촌지역 청소년들의 건강 행태와 최근 청소년들에게 중요한 문제가 되고있는 성 문제, 약물 남용, 청소년 폭력과 정신 보건 관련 문제를 전반적으로 파악하고 이들간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 얻은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대상 학생들의 대부분이 자신의 건강상태를 건강하다고 인지하고 있었으나 건강에 대한 관심도는 70% 정도만이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대상 학생들의 건강행태와 비행행태 조사결과 타지역에 비하여 성경험률, 약물 사용률은 낮았으나 흡연률, 음주율은 오히려 높았으며 수면 시간도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건강관련 행태와의 관련 요인을 분석한 결과 인구 사회학적 특성 중에서는 남자인 경우에서, 중학생에서, 용돈이 적은 경우와 성적이 높은 경우에서 건강행태 실천률이 높았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자살시도를 한 경우보다는 자살 시도 경험이 없는 경우에서, 중학생에서, 건강행태가 양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할 때 농촌 지역 청소년들이 다양한 건강관련 문제점에 직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대상지역 학생들의 다양한 건강관련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업의 우선순위를 선정하여 건강행태를 긍정적으로 개선하고 관리 해나자는 한편 건강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키려는 노력이 더욱 활성화되어져야 하겠다.

  • PDF

가계 소비.저축 및 근로.여가 형태와 출산율간의 인과관계분석 (Family Consumption-Saving and Work-Leisure Behavior As the Correlates and Determinants of Fertility in Korea)

  • 노공균;조남훈
    • 한국인구학
    • /
    • 제8권2호
    • /
    • pp.93-99
    • /
    • 1985
  • There have been numerous studie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of which the major hypotheses are identifying and dearibing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value of children has been formed. The present study proposes to view the formation of the value of children as a correlate of family's consumption-saving and work4eisure behavior pattern. The objectives of the proposed study are to identify the socio-economic and demographic factors determining the family's consumption-saving and work-leisure behavior pattern and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lue of children and this behavior pattern. The conceptual framwork of the analysis is that an individual family's socio-economic and demographic factors influence and shape the consumption-saving and work-leisure behaviors and these behaviors in turn influence and reflect the correlates and proximate determinants of the family'sfertility. In this paper, regression model is used to analyse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 among the various variables. The regression methods used are first and second stage multiple regressions. In addition, MONOVA has been used to show the interactions. Data used are collected from the government publicactions. The major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As the living Standard improves, n individual family's consumption of necessities and its working hours decline, while savings and leisure activities increase. The phenomena result in the fertility reduction as can be seen in the more developed conntries. Child-bearing and rearing activities are found to be the important component to determine the condumption-saving and work-leisure activies. The married women's labor participation, and the investment in education and health are also found to be the factors reducing fertility rate.

  • PDF

한국문화에서 주관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심리 요인들 (Correlates of Subjective Well-being in Korean Culture)

  • 한덕웅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2권5호_spc
    • /
    • pp.45-79
    • /
    • 2006
  • 필자와 공동연구자들(2002)이 선행연구에서 개발한 주관안녕척도를 사용하여 한국문화에서 주관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알아낸 연구 결과들을 개관하고, 국내외 연구들과 비교하여 시사점을 논의하고, 장래 연구할 과제들도 제안하였다. 먼저 주관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들로 ① 개인차와 인구통계 변인들, ② 개인과정 요인들, ③ 대인과정 요인들 및 ④ 한국문화의 요인으로 사회규범에 따른 행동을 다룬 연구 결과들을 개관했다. 또한 노인을 대상으로 주관안녕이 동시점에서 신체건강의 예측에 기여하는 수준과 아울러 1년 이상이 경과한 시점에서 종단적으로 신체건강이나 생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도 알아냈다. 본 논문은 한국문화에서 필자와 공동연구자들이 수행한 실증연구의 결과들과 연결시켜서 주관안녕을 연구하는데 따르는 이론, 방법 및 과제들을 구체적으로 논의함으로써 장차 문화비교 연구와 아울러 국내 연구에 시사점들을 제시한데 의의가 있다.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건강증진행위가 월경전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on Premenstrual Syndrome in Clinical Nurses)

  • 구정순;김선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225-235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 건강증진행위 및 월경전증후군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월경전증후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C 지역에 위치한 1개의 상급 종합병원과 2개의 종합병원에 재직하고 있는 임상간호사 195명을 대상으로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7년 7월 3일부터 7월 21일 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감정노동은 5점 만점에 $3.35{\pm}0.63$점, 건강증진행위는 4점 만점에 $2.08{\pm}0.40$점, 월경전증후군 정도는 6점 만점에 $2.94{\pm}1.09$점이었다. 월경전증후군은 감정노동(r=.292, p<.001), 건강증진행위 하부영역인 대인관계(r=.208, p=.004)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월경전증후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인관계(${\beta}=.54$, p=.001), 감정노동(${\beta}=.40$, p=.001), 월경통 정도(${\beta}=.14$, p<.001)로 확인되었으며, 이들 변수들은 월경전증후군의 30.0%를 설명하였다(F=9.33, p<.001).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임상간호사의 월경전증후군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감정노동과 월경통을 감소시키고 대인관계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중재 방안이 모색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매개감염병 취약군의 성매개감염병에 대한 건강신념과 예방행동 및 영향요인 (Health Beliefs, Preventive Behaviors, and Influencing Factors on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of Vulnerable Groups of 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s(STI))

  • 정애숙;장경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346-356
    • /
    • 2020
  • 본 연구는 성매개감염병 취약 대상자의 STI 건강신념을 확인하고 STI 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관련업소, 단체 종사자 및 보건소 내소자 등 241명이며, 연구자료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우편 혹은 방문을 통한 자기기입형 설문자료를 통해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을 사용하여 기술 통계, t-test,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5점 리커트 척도에 근거하여 지각된 민감성은 2.70점, 지각된 심각성은 3.63점, 콘돔사용의 지각된 유익성은 3.82점, 콘돔사용의 지각된 장애성은 2.45점, 콘돔사용의 자기효능감 3.93점 및 STI의 예방행위는 3.51점이었다. STI 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콘돔사용의 자기효능감(��=.23, p=.003)과 콘돔사용의 지각된 장애성(��=-.15, p=.035), 교육수준(��=.16, p=.018)이 유의하였고 이들의 설명력은 17.0%이었다. 결론적으로 성매개감염병 예방을 위해서는 인식개선과 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고려한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노인들이 지각하는 건강상태, 미래전망, 건강증진, 삶의 질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us, Future Time Perspe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 윤정식;고대선;원영신
    • 한국노년학
    • /
    • 제36권4호
    • /
    • pp.1191-1206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들의 건강상태, 미래전망, 건강증진행위, 삶의 질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있으며, 2013년 현재 서울 및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총 497명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자료를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들의 건강상태는 미래전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상태 하위 요인인 주관적 건강상태, 질병상태는 미래전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들의 건강상태는 건강증진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상태하위 요인 중 주관적 건강상태는 영적성장, 영양, 신체활동, 스트레스, 대인관계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질병상태는 영적성장, 신체활동, 스트레스, 대인관계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들의 건강상태는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상태 하위요인 중 주관적 건강상태는 신체적, 사회적, 정서적, 경제적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질병상태는 삶에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들의 미래전망은 건강증진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전망은 영적성장, 건강책임, 신체활동, 스트레스, 대인관계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노인들의 미래전망은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전망은 신체적, 사회적, 정서적, 경제적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노인들의 건강증진행위는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증진행위 하위요인인 영적성장은 신체적, 사회적, 정서적, 경제적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양은 사회적 요인에, 건강책임은 정서적 삶의 질에, 신체활동은 신체적 삶의 질에, 스트레스는 신체적, 사회적, 경제적 삶의 질에 마지막으로 대인관계는 신체적, 사회적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과 비중독군의 스마트폰 중독 관련 요인 (The Differences in Smartphone Addiction Symptoms between Highly Addicted and Non-addicted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by Types of Risk Groups)

  • 김상희;김정이;전소연;우경미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67-78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rious factors on smartphone addiction according to types of risk group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s: Data of 223 students were collected from February 1st to 22nd of 202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test, χ2 test, correlat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martphone addiction scale was used to classify the participants into two groups; 18.8% (n=42) of the total respondents were categorized as the addiction risk group and 81.2% (n=181) were categorized as the general population group. Results: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students in the high risk group were grade (t=3.89, p=.036) and religion (F=3.79, p=.044). In the high risk group, psychological anxiety (β=.39, p=.005) and relapse of internet addiction (β=.38, p=.006) explained 46.0% of smartphone addiction, while in the normal risk group, relapse of internet addiction (β=.42, p<.001), psychological anxiety (β=.22, p=.004), tolerance of internet addiction (β=.17, p=.007), and academic stress (β=.14, p=.027) explained 51.0% of smartphone addiction. Conclusion: In order to prevent smartphone addic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a more specific nursing intervention is needed that can reduce psychological anxiety and relapse of internet addiction. It is clear that urgent measures need to be taken for the highly addicted students such as academic counseling.

관상동맥질환자의 질병관련 지식,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가 환자역할행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Knowledge,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on Sick Role Behavior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 김순희;이선희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28-240
    • /
    • 2014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determine the influences of knowledge,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on sick role behavior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92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in D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1, 2014 to April 30, 2014 using a questionnair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WIN 19.0 using ANOVA, t-test,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Factors having an influence on sick role behavior were age (70 years old ${\beta}$=.275, p<.001), occupation (Office job ${\beta}$=-.230, p<.001), knowledge (${\beta}$=.204, p<.001), self-efficacy (${\beta}$=.188, p<.001), underlying disease (stroke ${\beta}$=.142, p=.008), and family type (live with their children ${\beta}$=-.128, p=.038). These factors explained 56% of the variance in sick role behavior. Conclusions: More positive knowledge and self-efficacy are needed for the sick role behavior. In addition,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age, occupation, underlying disease, and family type were very important in predicting health behaviors of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Thus, it would be necessary to include patients' characteristics in designing an education program for people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위험도가 보정된 의료기관 관상동맥우회로술 사망률의 3년간(2001년-2003년) 추세분석 (The Trend of Risk-adjusted Hospital Mortality Rates of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Patients from 2001 to 2003)

  • 이광수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0권1호
    • /
    • pp.29-35
    • /
    • 2007
  • Objectives : To assess whether the risk-adjusted in-hospital mortality rates for non-emergent and isolated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surgery (CABG) patients exhibited a consistent trend from 2001 to 2003. Methods : The data used in this study came from CABG claims that were submitted to a Korean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HIRA) in 2001, 2002, and 2003. Study datasets included data from 17 tertiary hospitals, which had at least 25 claims each year over 3 years. The inter-hospital differences in patients' risk-factors were identified and controlled in the risk-adjustment model. Actual and predicted mortality rates for each hospital were calculated in 2001, 2002, 2003, and 2001+2002, and were then examined to identify consistent rate patterns over time. Kappa analysis was applied to assess the agreements between rates. Results : Hospitals with lower-than-expected inpatient mortality rates showed more consistent rates than those with higher-than-expected mortality rates. The mortality rates that were calculated based on data obtained over multiple years had less variation among hospitals than rates based on single year data. Based on the Kappa score, the highest agreement was found when the rates were compared between the 2-year combined data (2001+2002) and 2003. Conclusions : Consistent patterns over 3 years were most evident for hospitals which had lower-than expected mortality rates. Policy makers can use this information to identify the degree of outcomes in hospitals and help motivate or channel the behaviors of provi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