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us, Future Time Perspe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노인들이 지각하는 건강상태, 미래전망, 건강증진, 삶의 질의 관계

  • Received : 2016.08.31
  • Accepted : 2016.11.09
  • Published : 2016.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us, future time perspective(FTP),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To this end,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distributing questionnaires to the elderly people who lived in areas of Seoul or its adjacent satellite cities in their age of 60 or more in 2013. In total, 497 valid responses were collected.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a number of analysis methods includ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EM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FTP. Second, health status the elderly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Among sub-factors of health status, subjective health status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spiritual growth, nutrition, physical activity, str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 Third,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quality of life. Among sub-factors of health status, subjective health status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physical, social, emotional and economic quality of life. Fifth, FTP of the elderly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quality of life. FTP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physical, social, emotional economic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Sixth, health promoting behavior among the elderly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quality of life. Among sub-factor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spiritual growth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physical, social, emotional and economic quality of life. Nutrition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social factor. Health responsibility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emotional quality of life. Physical activity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physical quality of life. Stress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physical, social and economic quality of life. Finally, interpersonal relation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physical and social quality of life.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들의 건강상태, 미래전망, 건강증진행위, 삶의 질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있으며, 2013년 현재 서울 및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총 497명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자료를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들의 건강상태는 미래전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상태 하위 요인인 주관적 건강상태, 질병상태는 미래전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들의 건강상태는 건강증진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상태하위 요인 중 주관적 건강상태는 영적성장, 영양, 신체활동, 스트레스, 대인관계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질병상태는 영적성장, 신체활동, 스트레스, 대인관계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들의 건강상태는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상태 하위요인 중 주관적 건강상태는 신체적, 사회적, 정서적, 경제적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질병상태는 삶에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들의 미래전망은 건강증진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전망은 영적성장, 건강책임, 신체활동, 스트레스, 대인관계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노인들의 미래전망은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전망은 신체적, 사회적, 정서적, 경제적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노인들의 건강증진행위는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증진행위 하위요인인 영적성장은 신체적, 사회적, 정서적, 경제적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양은 사회적 요인에, 건강책임은 정서적 삶의 질에, 신체활동은 신체적 삶의 질에, 스트레스는 신체적, 사회적, 경제적 삶의 질에 마지막으로 대인관계는 신체적, 사회적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