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ple Intelligences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19초

아동의 지능 이해를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다중지능이론(Multiple Intelligence Theory) (A Review Study on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and Nursing Educational Implication)

  • 김현실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3권4호
    • /
    • pp.427-435
    • /
    • 2007
  • Purpose: This study presents the findings of various research on human intelligence and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and suggested the implications of Multiple Intelligence Theory-based approach to the nursing education for the ill children. Method: Research objectives were accomplished by conducting a literature review. The main areas of the literature review included the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and it's application case for the children with learning disorder. Results: Dissatisfaction with traditional IQ tests has led to the development of a number of alternative theories, all of which suggest that intelligence is the result of a number of independent abilities that uniquely contribute to human performance. Among them, 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led to break intelligence down into at least eight different components: logical, linguistic, spatial, musical, kinesthetic, naturalist, intra-personal and interpersonal intelligences. In addition,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and it's application case believes that every topic can be effectively taught and achieved using six entry points framework. Conclusion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in view of the health education and education in the children's hospital school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ill children2's better education in a hospital setting.

  • PDF

4차 산업혁명을 위한 간호대학생의 글로벌 인재역량과 다중지능의 관계 (A Study of the Relation Between Nursing Students' Global Competences and Their Multiple Intelligences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오숙희;선정주;장성화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13-26
    • /
    • 2017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을 위한 간호대학생의 글로벌 인재역량과 다중지능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전남과 전북에 소재한 4년제 간호학과 4개교에 재학중인 대학생 총 768명을 대상으로 편의 추출하였고, 총 768부중 733부가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성별에 따른 글로벌 인재 역량과 학년에 따른 글로벌 인재역량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글로벌 인재역량이 훨씬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성별에 따른 다중지능과의 관계는 신체운동지능과 자기성찰지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글로벌 인재역량이 다중지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간호교육과정 및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 및 전략을 제공하는 데 일조할 것이다.

다중지능에 기초한 프로젝트 활동이 초등학교 아동의 과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ject Activities Based on Multiple Intelligences to Elementary School Children's Science Achievement)

  • 임채성;왕경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3-21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다중지능에 기초한 프로젝트 활동이 초등학교 아동의 과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먼저, 전통적 지능과 다중지능이 과학 학업성취도를 설명하는 변량을 조사하기 위해 과학 학업성취도에 따라 2개 학급의 아동을 과학 상위 중위 하위 성취자 집단으로 분류하였고, 아동 개인의 전통적 지능과 다중지능을 측정하고 이를 과학 학업성취도를 설명하는 정도를 다중회귀분석과 변량분석을 통해 비교하였다. 다중지능에 기초한 프로젝트 활동이 과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연구 대상을 비교집단과 실험집단으로 나눈 다음 비교집단은 전통적인 학습법으로, 실험집단은 다중지능을 활용한 프로젝트 활동을 통해 같은 주제를 학습한 다음 과학 학업성취도를 변량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 전통적 지능(24%)보다 다중지능(42%)이 과학 학업성취도 변량을 더 많이 설명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취도 수준별로 분석한 결과, 과학하위성취자의 경우는 다중지능을 활용한 프로젝트 활동이 과학 학습 성취도률 높여 주는 데 큰 기여를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통적 학습보다 프로젝트 학습이 과학 상위와 중위 성취자의 과학 학업성취도률 향상에 더 많이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다중지능에 기초한 과학 프로젝트 활동이 초등학교 아동의 문제해결 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Science Project Activities Based on Multiple Intelligences on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s Problem Solving Behaviors)

  • 임채성;왕경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19권1호
    • /
    • pp.71-83
    • /
    • 2000
  •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s of science project activities based on multiple intelligences on problem solving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Specifically, the influences of the project activities on the problem solving skills and propensities of the children were investigated. Forty-four fifth grader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They performed the projects and made their products of it during five months on the units of "Weather" and "Our Body" Criteria for assessment of problem solving abilities were determined. The patterns reflected in products of the project activities were examined, then the observation of the subjects' problem solving behaviors and the interviews were performed based on the criteria. The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both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es. In these analyses, the implementation of the science projects was foun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in all sub-factors of problem solving, specially, skills associated with the propensities of problem identification and of the collection, analysis, and synthesis of data significantly increased

  • PDF

초등학교 5학년 영어 교과서 활동 분석: 다중지능이론을 중심으로 (Investigating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in the 5th Grade English Textbook)

  • 윤영지;양재석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53-59
    • /
    • 2023
  • 우리는 본 연구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영어 교과서를 대상으로 다중지능의 유형을 반영하고 있는지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 대상으로 초등학교 5학년 영어 교과서 중 3종을 선택하여 프로젝트 활동, 게임 활동, 문화 활동을 포함한 3가지 영역에서 다중지능 이론의 각 지능 유형이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출판사 별로 다중지능 영역의 반영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3종 교과서의 각각 활동 영역에 대한 다중지능 유형의 비중을 분석한 결과, 프로젝트 활동의 경우 언어적 지능, 대인 관계 지능, 공간적 지능을 높은 비중으로 반영하고 있었다. 게임활동은 언어적 지능, 대인 관계 지능, 공간적 지능, 신체 운동적 지능을 높은 비중으로 반영하고 있었다. 문화 활동은 언어적 지능과 공간적 지능이 높은 비중으로 반영하고 있었다. 우리는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과서를 개발할 때 언어적, 공간적, 신체 운동적 지능과 같이 일부 지능 유형에 편중된 것 보다는 다양한 유형의 지능이 골고루 포함될 수 있도록 영어 교수 학습의 연구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다중지능 요소를 반영할 수 있는 영어 교수 학습을 개발하여 교과서 활동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유아교사의 다중지능과 교수학습계획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Preschool Teachers' Multiple Intelligence and Their Teaching and Learning Plans)

  • 황혜신;오연경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9권8호
    • /
    • pp.85-95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 teachers' multiple intelligence and their teaching and learning plans. For this purpose, multiple intelligences test(K-MIDAS) was conducted on 80 teachers in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and Gyeongsangnam-do and they were asked to map out teaching and learning plans about topics. The data were analys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s correlation using SPSS PC program(16.0 version).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Teachers had the highest levels in interpersonal intelligence, followed by musical intelligence and linguistic intelligence; interpersonal intelligence and linguistic intelligence accounted for an especially high proportion of their teaching and learning plans. The higher a preschool teacher's physical activity intelligence, the greater the proportion of physical exercise, music, and logic and mathematics in their teaching plans. It was also found that preschool teachers with higher levels linguistic intelligence made more plans on self-understanding, whereas preschool teachers with higher levels of intelligence in the observation and investigation of nature made more plans on spatial area.

유아의 다중지능이 자기조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Relationship of the Preschool Children's Self Regulation Ability and Multiple Intelligences)

  • 이채호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09-232
    • /
    • 2017
  • 본 연구는 성별과 연령에 따른 자기조절 능력 및 다중지능에서의 차이를 검증하고, 다중지능이 자기조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향후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개발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3, 4, 5세 유아의 어머니와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자기조절 능력과 다중지능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연령과 성별에 따른 자기조절 능력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과 연령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연령과 성별에 따른 다중지능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공간지능, 언어지능에서 연령(5세, 4세>3세)과 성별(여아>남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논리 수학지능, 대인관계지능은 연령(5세, 4세>3세)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음악지능과 개인이해지능에서는 성별(여아>남아)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신체 운동지능에서는 연령과 성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유아 자기조절 능력과 다중지능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자기조절 능력에 대한 다중지능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개인이해지능, 언어지능, 공간지능, 논리 수학지능 순으로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지능과 다중지능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on Young Children's Intelligence, Multiple Intellig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 추성경
    • 영재교육연구
    • /
    • 제23권3호
    • /
    • pp.479-499
    • /
    • 2013
  •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지능과 다중지능 및 정서지능 간의 관계와 그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만 3~5세 유아 215명과 그들의 어머니와 담임교사 15명을 대상으로 양육태도, 지능, 다중지능과 정서지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단순적률상관분석을 이용하여 각 변인간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후진(backward)방법을 활용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지능, 다중지능 간의 관계는 상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정서지능과의 관계는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거부적 태도와 자율적 태도가 유아의 지능 전체를, 거부적 태도가 다중지능 전체를, 애정적 태도와 자율적 태도가 정서지능 전체를 가장 잘 설명해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능, 다중지능, 정서지능의 발달에 있어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획일적으로 특정 태도를 보여주기보다는 자율적 태도를 중심으로 상황에 따라 애정적 태도를 보여주고 거부적 태도는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한국형 다중지능 진단도구의 타당화 (Validation of Korean Diagnostic Scale of Multiple Intelligence)

  • 문용린;유경재
    • 교육심리연구
    • /
    • 제23권3호
    • /
    • pp.645-663
    • /
    • 2009
  • 이 연구는 기존의 다중지능 검사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H. Gardner의 다중지능에 관한 심리측정 원리들을 반영하여 개발한 한국형 다중지능 진단도구의 타당화 연구이다. 검사는 유아용, 초등학교 저학년용, 초등학교 고학년용, 중학생용, 고등학생용, 총 5종의 검사로 구성되었고, 검사의 형식은 검사시행 시점까지의 성취를 재는 선택형 문항, 능력을 재는 진위문항, 능력과 흥미를 재는 자기보고식 리커르트 척도 문항의 3가지 형식으로 구성하였다. H. Gardner의 심리측정에 대한 제언에 따라, 지능의 핵심요소에 대한 재검토, 지능들 간의 중복성 및 위계성 여부에 대한 검토, 지능 간 편파적이지 않은 문항 구성, 검사형식의 다양화 등을 지향했고, 특히 본 검사에서는 능력과 흥미와 성취를 포괄적으로 측정하고자 했다. 1, 2차 예비검사와 본검사를 통해 최종 표준화검사를 제작했고, 총 5585명의 연구대상을 연령별, 성별, 지역별로 구분하여 표집하고, 이를 통해 규준점수를 추출하여, 연령별 상대적 비교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검사의 타당화를 위하여, 수검행동 관찰, 평균, 표준편차, 정답률, 신뢰도, 하위지능검사들 간의 상관, 지능별 진로선택의 평균순위에 대한 Kruskal-Wallis 검증 등의 분석을 하였다. 하위지능 간 상관분석 결과, 본 검사는 지능 간 독립성 가정을 지지했고, 지능별 진로선택에 관한 비모수 통계검증 결과, 다중지능이 진로선택의 계열과 대체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언어와 논리수학 능력에 유리하던 종래의 검사들과 달리, 지능별로 문항이 공평하도록 노력했고, 객관화할 수 있는 능력문항과 규준점수를 개발한 것, 능력과 흥미와 성취 점수들 간의 비교를 통한 교육적 처방 및 상담을 위한 방편을 마련한 것에서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그러나 검사시행의 현실적인 제약으로 문항수가 적게 개발되어, 요인분석이나 서로 다른 형식의 검사간의 상관분석 등을 하지 못한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향후 문항 수를 늘려 전체 검사를 두 차례로 나누어 시행하는 연구를 하면 요인분석 및 기타 여러 타당화 증거들을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웹기반 진로안내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Career Guidance System Applied 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 민항기;이재무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349-358
    • /
    • 2007
  • 본 연구는 개인의 일생에서 중요한 의사결정의 하나인 진로선택에 도움을 주기 위한 웹기반 진로안내 시스템을 개발 하는 것이다. 초등학교에서의 진로교육은 직업선택에 필요한 초보적인 지식, 일에 대한 기본적인 태도와 가치관의 형성이 목적이므로 개인의 적성과 흥미를 고려한 다양한 직업의 종류에 대한 안내가 중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는 대부분 검사결과를 알려주는 수준에 머물려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잠정적 진로선택 단계에 있는 초등학교 고학년에게 적합한 진로발달검사를 실시하고, 결과에 맞는 직업의 종류를 안내하는 웹기반 진로안내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진로안내시스템은 검사결과를 알려주는 것에서 발전하여 검사결과 값을 우수지능 3개로 제시하여 검사자의 학습욕구를 자극하였다. 그리하여 학습자가 자신의 우수한 지능영역을 알고 이 지능과 관련된 직업의 종류와 하는 일에 대해 효율적으로 학습하고, 자신의 진로에 대한 인식과 진로선택의 바른 자세를 배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