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지능과 다중지능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on Young Children's Intelligence, Multiple Intellig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 투고 : 2013.05.31
  • 심사 : 2013.06.28
  • 발행 : 2013.06.30

초록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지능과 다중지능 및 정서지능 간의 관계와 그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만 3~5세 유아 215명과 그들의 어머니와 담임교사 15명을 대상으로 양육태도, 지능, 다중지능과 정서지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단순적률상관분석을 이용하여 각 변인간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후진(backward)방법을 활용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지능, 다중지능 간의 관계는 상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정서지능과의 관계는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거부적 태도와 자율적 태도가 유아의 지능 전체를, 거부적 태도가 다중지능 전체를, 애정적 태도와 자율적 태도가 정서지능 전체를 가장 잘 설명해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능, 다중지능, 정서지능의 발달에 있어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획일적으로 특정 태도를 보여주기보다는 자율적 태도를 중심으로 상황에 따라 애정적 태도를 보여주고 거부적 태도는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on young children intelligence, multiple intelligences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215 children and their mothers and teachers of children 15 were investigated. Data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young children's intelligence and multiple intelligences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e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and intelligence, multiple intelligences, on the other hand, showed a high correl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appeared to be correlated with low. Second, the rejective attitude and autonomous attitude variables that best explain the entire intelligence and multiple intelligence of young children, the affectionate attitude and autonomous attitude, the young children's the entire emotional intelligence best explain the factors. These results in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ce, multiple intelligence, emotional intelligence, affectionate attitude depending on the situation, autonomous attitude shows rejective attitude avoiding uniform, certain attitudes, rather than to show the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desirable that suggest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은주, 김영주 (2004).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 차이. 한국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0(4), 115-133.
  2. 김동철 (1992).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인성, 지능, 성적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관동대학교.
  3. 김명희, 신화식 (2001). 다중지능에 의한 부모-교사의 유아의 잠재능력 평가 간의 인식비교 연구. 아동학회지, 22(4), 33-50.
  4. 김미숙 (1993).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지능발달에 미치는 영향. 신성대학논문집, 16, 321-352.
  5. 김유미(2005). 뇌를 통해 본 아동의 정서-이해와 교육. 서울: 학지사.
  6. 김은이 (2007). 취학 전 아동을 둔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대전대학교.
  7. 김정원 (2002). 지각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7(3), 247-261.
  8. 김향자(2001). 유아의 다중지능과 가정환경 변인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9. 김형재, 홍순옥 (2010). 4, 5세 유아의 지능과 그리기 표상능력간의 관계. 사고 개발, 6(2), 99-119.
  10. 김호 (2010). 유아의 지능,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교사의 창의성 교수효능감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9(1), 207-226.
  11. 노명희, 박상희 (2002). 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정서지능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9(3), 107-127.
  12. 노운서 (2007).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특성에 따른 다중지능 차이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13. 문수백, 변창진 (1997). K-ABC 실시 ․ 채점요강. 서울: 학지사 심리검사연구소.
  14. 문용린, 유경재 (2009). 한국형 다중지능 진단도구의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23(3), 645-663.
  15. 박영애, 최영희, 박인전 (2000).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 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한국가족복지학, 5(2), 161-182.
  16. 박영태, 추성경 (2008). 다중지능의 최근 연구동향: 연구주제 및 연구방법 분석. 동아논총, 44, 67-87.
  17. 박효주 (2011). 부모의 양육태도와 만 4세 유아의 정서지능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경인대학교.
  18. 배문주 (2005). 부모의 양육태도 및 양육태도 일치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9. 서영민, 김진경 (2009). 외동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다중지능, 부모의 양육태도와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4(6), 349-369.
  20. 서주현, 이순형 (2009). 유아의 기질, 모의 양육태도, 조화적합성이 유동성지능 및 결정성 지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9(4), 47-71.
  21. 안말애 (1985). 부모의 권위적인 양육태도와 취학전아동의 지능발달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22. 안현지 (1999).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정서지능의 관계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3. 우수경, 최기영 (2002). 유아의 정서능력과 관련변인간의 구조 분석. 유아교육연구, 22(2), 29-55.
  24. 유민임 (2005). 유아개인변인 및 어머니 양육태도와 대인문제해결력과의 인과관계. 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25. 윤현숙 (2007). 어머니 양육행동과 유아의 다중지능 그리고 또래놀이상호작용 간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1(4), 389-405.
  26. 이경민 (2002). 유아의 지능, 감성지능, 창의성의 관계 및 관련변인 연구.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27. 이광자 (1997).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28. 이병래 (1997). 부모의 심리적 자세와 유아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29. 이승은 (2006). 유아의 감성지능과 인지지능 간의 관계분석: K-ABC지능검사와 EITC유아용 감성지능 검사를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26(1), 189-210.
  30. 이우송 (1986). 가정의 물리적 환경과 모의 양육태도가 자녀의 지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31. 이원영 (1983). 모의 자녀교육관 및 양육태도와 유아발달과의 관련성 연구.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32. 임성실, 이정미, 김영희 (2010).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정서조절이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5(2), 143-157.
  33. 임호찬 (2008). 유아의 사고능력에 대한 부모 양육태도의 영향. 영재교육연구, 18(3), 613-634.
  34. 장영애 (2011). 부모의 양육행동 및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이 초등학교 아동의 다중지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2(1), 115-129. https://doi.org/10.7856/kjcls.2011.22.1.115
  35. 장영숙, 강경석, 송경희 (2003). 유아의 다중지능과 어머니의 양육태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3), 247-269.
  36. 전선재 (2003). 부모양육태도와 아동의 다중지능 발달 및 창의성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37. 전정민, 이영석 (2006). 유아용 다중지능 측정도구 타당화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 327-357.
  38. 정영숙 (1998). 지능과 다중지능 및 정서지능과의 관계분석. 석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39. 조규영, 어용숙, 안민순 (2010). 학령전기 아동의 문제행동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거부적 양육태도. 아동간호학회지, 16(2), 136-143. https://doi.org/10.4094/jkachn.2010.16.2.136
  40. 조덕제 (2001). 아동이 인지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다중지능영역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경인대학교.
  41. 차명애, 김규수 (2009). 5세 유아의 다중지능과 창의성과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5, 469-478.
  42. 추미란 (1999). 모의 양육태도 및 배경변인과 유아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43. Ainsworth, M. D. S. (1979). Attachment as related to mother-infant interaction. In J. G. Rosenblatt, R. A. Hinde, C. Beer. & M. Busnel (Eds.). Advances in the study of behavior, Orlando, FL: Academic Press.
  44. Amato, P. R., & Folwler, F. (2002). Parenting practices, child adjustment, and family diversity.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4, 703-716.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2.00703.x
  45. Armstrong, T. (1994). Multiple intelligences in the classroom.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 Curriculum development.
  46. Baumrind, D. (1971). Current patents of parental authority. Developmental Psychology Monographs, 4, 21-40.
  47. Bayley, N. (1968). On the growth of intelligence. Contemporary Issues in Development. N.Y.: Holt Rineart Winston.
  48. Becker, W. C. (1964). Consequence of different kinds of parental discipline. Review of Child Development research, 1, 23-30.
  49. Bee, H. (1975). The Development. N.Y.: Harper & Row.
  50. Being, E. (1963). Effect of child-rearing practice on development of differential cognitive abilities. Child Development, 34, 631-648.
  51. Belsky, J., Putnam, S., & Keith, C. (1996). Coparenting, parenting, early emotional development. New Directions for Child Development, 2, 32-43.
  52. Bloom, B. S. (1964). Stability and changes in human characteristics. N.Y.: Wiley.
  53. Bornstein, R. F., & Languirand, M. A. (2003). Healthy Dependency. N.Y.: New Market Press.
  54. Bowlby, J. (1982). Attachment and loss. N.Y.: Basic Books.
  55. Camp, B. W., Swift, W. J., & Swift, E. W. (1982). Authoritarian parental attitudes and cognitive functioning in preschool children. Psychological Reports, 50, 1023-1026. https://doi.org/10.2466/pr0.1982.50.3c.1023
  56. Chan, D. W. (2004). Multiple intelligences of chinese gifted students in Hong Kong: Perspectives from students, parents, teachers, and peers. Roeper review, 27, 18-24. https://doi.org/10.1080/02783190409554284
  57. Chen, J., & Gardner, H. (2005). Assessment based on Multiple-intelligences Theory. In Flanagan, D. & Harrison, P. (Eds.), Contemporary intellectual assessment: Theories, Tests, & Issues (pp. 77-102). N.Y.: Guilford Press.
  58. Chao, R. K. (1993). Clarification of authoritarian parenting style and parental control: Cultural concepts of Chinese child rearing. Paper presented at the biennial meeting of society of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61-065.
  59. Ciarrochi, J., & Mayer, J. D. (2006). Clarifying concepts related to emotional intelligence: A proposed glossary. In Ciarrochi, J., Forgas, J. & Mayer, J. (Eds.). Emotional intelligence in everyday life: A Scientific Inquiry. 2nd edition (pp. 261-268). N.Y.: Psychology Press.
  60. Cicchetti, D., Ackerman, В., & Izard, C. (1995). Emotions and emotion regulation in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7, 1-10. https://doi.org/10.1017/S0954579400006301
  61. Cleaver, G. (1994). Mothers and their preschool children.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04, 35-51. https://doi.org/10.1080/0300443941040103
  62. Dornbusch, S., Ritter, P., Leiderman, P., Roberts, D., & Fraleigh, M. (1987). The relation of parenting style to adolescent school performance. Child Development, 58, 1244-1257. https://doi.org/10.2307/1130618
  63. Furnharm, A. (2000). Parent's estimates of their own and their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s.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 Psychology, 18, 583-594. https://doi.org/10.1348/026151000165869
  64. Gardner, H. (1983).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 N.Y.: Basic Books.
  65. Gardner, H. (1999). Are there additional intelligences? The case for naturalist, spiritual, and excentrical intelligences. In J. Kane (Ed.), Education, information and transformation. (pp. 111-131) Englewood Cliffs, N.Y.: Prentice Hall
  66. Gottman, J. M., Katz, L.F., & Hooven, C. (1996). "Parent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 emotional life of families: Theoretical models and preliminary data".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0(3), 243-268. https://doi.org/10.1037/0893-3200.10.3.243
  67. Hein, S. (2004). Short definition of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Intelligence Homepage.
  68. Herskovits. M. (2000). Family influences on the development of high ability. Gifted Educational International, 14, 237-246. https://doi.org/10.1177/026142940001400305
  69. Hyson, M., & Lee, K. M. (1996), Assessing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fs about emotions. Early Educaton & Development, 7(1), 64-79.
  70. Jersild, A. T., Telford, C. W., & Sawrey, J. M. (1975). Child Psychology. Englewood Cliffs: Prentice-Hall.
  71. Kaufman, A. S. (1977). Intelligent testing with the WISC-R. N.Y.: Jhon Wiley & Sons.
  72. Kurtines, C. A. (1989). Developing self-esteem and creativity in the preschool child.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ami.
  73. Lamborn, S. D., Dornbusch, S. M., Steinberg, L., & Mounts, N. S. (1991). Patterns of competence and adjustment among adolescents from authoritative, authoritarian, indulgent, and neglectful families. Child Development, 62(5), 1049-1065. https://doi.org/10.2307/1131151
  74. Mayer, J. D., & Salovey, P. (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9(3), 11-25.
  75. Mayer, J. D., & Geher, G. (1996).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identification of emotion. Intelligence, 22(2), 89-113. https://doi.org/10.1016/S0160-2896(96)90011-2
  76. Pham, P. M. (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nd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 Comparison of vietnam and Korea.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Keimyung.
  77. Piaget, J. (1963). The psychology of intelligence. N.Y.: Routledge.
  78. Pichayapinyo, P., Pawwattana, A., & Thongvichaen, S. (2008). Parenting styles,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telligence quotients in Thai school-aged children in Tukdang community, Bangkok Metropolis. Journal of Public Health, 38(1), 59-70.
  79. Pomerleau, R. (1991). Experiments on the causal mechanisms of die back Quebec Region. Information Report LAU-X-96, 47.
  80. Schaefer, E. S. (1959). A circumflex model for maternal behavior.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59, 226-235. https://doi.org/10.1037/h0041114
  81. Schaefer, E. S., & Bell, R. Q. (1958). Development of a parental attitude research instrument. Child Development, 29, 339-361.
  82. Scott-Little, M. C., & Holloway, S. D. (1992). Child care provider's reasoning about misbehaviors: Relation to classroom control strateg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7, 595-606. https://doi.org/10.1016/0885-2006(92)90125-I
  83. Shearer, C. B. (1996). The MIDAS: Multiple intelligences development assessment scales. A guide to assessment and education for the multiple intelligences. Columbus, O.H.: Original Works.
  84. Steinberg, L., Elmen, J. D., & Mounts, N. S. (1989). Authoritative parenting, psychological maturity, and academic success among Adolescents. Child Development, 60, 1424-1436. https://doi.org/10.2307/1130932
  85. Thurstone, L. L. (1938). Primary mental abilitie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86. Witkin, H. A., Dyk, R. B., Paterson, H. F., Goodenough, D. R., & Karp, S. A. (1962). Psychological differentiation. N.Y.: Wiley.

피인용 문헌

  1. The Relationship Between Breastfeeding Duration and Preschooler Problem Behavior: The Mediating Role of Cognitive Development vol.38, pp.6, 2017, https://doi.org/10.5723/kjcs.2017.38.6.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