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cultural Acceptability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4초

교우관계와 교사관계가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의 적용 (Analysis of the Association between Teacher Relationship, Peer Relationship,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mong Adolescents in Korea: Using Latent Growth Modeling)

  • 이택호;이석영;한윤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2권1호
    • /
    • pp.65-85
    • /
    • 2016
  • 본 연구는 교우관계와 다문화수용성, 그리고 교사관계와 다문화수용성의 종단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NYPI)의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KCYPS) 데이터 중 2011~2013년에 조사한 중1패널 2차년도 데이터(중학교 2학년), 중1패널 3차년도 데이터(중학교 3학년), 중1패널 4차년도 데이터(고등학교 1학년)를 사용하였다(N=2,178). 종속변수를 다문화수용성으로 설정하고, 독립변수를 교우관계와 교사관계로 설정한 뒤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교우관계, 교사관계, 다문화수용성의 수준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종단적 관계에서 교우관계는 다문화수용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즉 친구와의 관계가 원활할수록 다문화수용성의 수준도 높아졌다. 셋째, 종단적 관계에서 교사관계는 다문화수용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즉 교사와의 관계가 좋아질수록 다문화수용성의 수준도 높아졌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횡단적 분석이 주를 이뤘던 이전 연구들과의 차별성을 두었고, 다문화수용성의 함양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 PDF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환경요인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of Adolescents in Korean Schools)

  • 유안나;김순규;이주재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221-228
    • /
    • 2018
  • 본 연구는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을 살펴보고,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가정환경요인, 학교환경요인, 지역사회환경요인이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을 높일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의 자료 중 중학교 1학년(2010년)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총 2,278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방법은 SPSS 18.0을 통한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학교환경요인인 학교생활적응과 지역사회환경요인인 지역사회인식, 공동체의식이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 학교환경과 지역사회환경의 역할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학교환경에서는 다양한 교육과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하며, 지역사회환경에서는 지역사회의 역할과 공동체 의식을 강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다문화 교육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Study on Influential Factors in Relation to Multicultural Acceptance : Focused on mediating effects of multicultual education)

  • 이강모;하규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465-2477
    • /
    • 2015
  • 세계화 전지구화 추세에 따라 체류 외국인이 빠르게 증가하며 새로운 형태의 사회구조를 형성하고 다양한 인종 및 종교, 문화의 공존이 일반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 수용성 개념에 주목하고 그 영향요인을 규명함으로써 관련정책방안 및 학술적 연구의 단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개발하고, 총 325부의 유효표본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피동적수용'의 경우 학력, 고유특성, 한국문화 이해, 국방기여, 영어권/선진국이, '일반적수용'의 경우 출신과 관련된 모든 요인이, '적극적수용'의 경우 사회적 기여, 문화적 기여를 비롯한 출신의 모든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문화 교육경험은 다문화 수용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문화 구성원의 차별을 감소시키는 중요한 요소임이 드러났다. 따라서 다문화 구성원의 부정적인 인식을 감소하고 다문화 수용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작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우리나라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of the Influential Factors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Korean Teens)

  • 차슬기;변해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211-216
    • /
    • 2018
  • 이 연구는 2008년부터 2017년까지 수행된 우리나라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동향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연구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연구 방법은 국내 학술데이터베이스에서 '다문화', '청소년', '중학생', '고등학생', '수용성'의 키워드를 이용하여 논문을 검색하였고, 최종 65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연도, 학문분야, 연구방법, 주요개념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12년을 기점으로 학술지 논문과 학위 논문 모두 급증하였고, 학문분야는 사회과학분야, 교육학분야에서 가장 많은 연구가 진행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방법으로는 양적연구와 단면연구의 비중이 높았다. 주요개념은 다문화 교육, 친구나 교사관계와 같은 학교 지역사회요인에 국한되어있으며 새로운 요인을 동시에 분석한 연구는 드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새로운 요인들을 복합적으로 조사하여 영향력이 가장 큰 요인들을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A Study on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Change and Its Influencing Factors

  • Kim, Hyung-Hee;Park, Hwiese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4호
    • /
    • pp.189-195
    • /
    • 2021
  • 본 연구는 청소년기 다문화수용성의 종단적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다문화수용성의 예측변인들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아동·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집한 한국아동·청소년 패널 자료 가운데 중학교 1학년 패널의 3차, 5차, 6차 1,972명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자료 분석을 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은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고 증가의 폭은 3차년(중학교 3학년)에서 5차년으로 넘어가는 시점의 변화의 폭이 컸다. 둘째, 다문화수용성 예측 변인으로 초기치에서는 또래의사소통, 공동체의식의 결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변화율에서는 삶의 만족도, 또래의사소통, 공동체의식의 결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나, 이런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기 다문화수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다문화 청소년의 이중문화 수용태도와 자아존중감이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수용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Effects of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and Self-esteem on Peer Relationship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 박동진;김송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8호
    • /
    • pp.361-370
    • /
    • 2021
  •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이중문화 수용태도와 교우관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다문화 수용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 8차년도 조사(2018)에 참여한 청소년 1,197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다문화 청소년의 이중문화 수용태도는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청소년의 이중문화 수용태도가 교우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이들 관계를 자아존중감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 청소년의 이중문화 수용태도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교우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를 다문화 수용성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문화 청소년의 교우관계를 긍정적으로 형성하고 유지하기 위한 지원방안을 모색하였으며, 본 연구의 함의, 한계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간호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 공감능력이 세계시민의식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The Convergent Influence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Empathy and Global Citizenship in Nursing Students)

  • 고진희;강명주;김혜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108-116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 공감능력, 세계시민의식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세계시민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B시, U시와 S시에 소재한 3, 4학년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187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t-검정, ANOVA, Pearson 상관계수 및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세계시민의식은 다문화수용성(r=.48, p<.001), 공감능력(r=.58, p<.001)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간호대학생의 세계시민의식에 공감능력, 다문화수용성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이들 변수들의 설명력은 40%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토대로 글로벌 역량이 중요시되고 있는 간호교육 현장에서 세계시민의식 향상을 위한 지속적이고 실천적인 프로그램 및 다양한 학습방법의 개발과 적용이 요구된다.

범죄 뉴스 노출과 다문화수용성 위험지각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xposure to Crime New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the Mediation Effects of Perceived Risk)

  • 허윤철;임영호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76권
    • /
    • pp.92-123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 범죄 뉴스 접촉이 수용자의 다문화수용성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체계적으로 규명하는 데 있다. 특히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의 유형에 따라 외국인 범죄 뉴스 접촉의 효과가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살폈다. 또한 범죄에 대한 위험지각을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여 외국인 범죄 뉴스가 어떠한 과정을 통해 수용자의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밝혔다. 분석 결과 자신의 주변에서 외국인 범죄가 발생할 수 있다는 지각에는 다양한 정보원천과 커뮤니케이션 채널이 영향을 미치지만, 사회적으로 외국인 범죄가 만연해 있다는 지각에는 텔레비전의 영향력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연구문제 1). 대화형 매체를 통한 외국인 범죄 뉴스 접촉은 다문화수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담론형 매체를 통한 접촉과 대면 대화를 통한 접촉은 수용자의 다문화수용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연구문제 2). 담론형 매체를 통한 범죄 뉴스 접촉이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사회 수준의 위험지각은 완전매개(full mediation)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연구문제 3).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함의와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 PDF

'다문화사회와 여성' 교과목 수강이 여대생의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women's curriculum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 이형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2호
    • /
    • pp.383-38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2021학년 1학기에 '다문화사회와 여성' 교과목을 수강하는 학생과 비수강 학생간의 교과목 이수 후의 다문화수용성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교과목 수강학생은 전제 다문화수용성이 유의미하게 높아졌으나, 비수강생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어머니의 문화적응유형과 다문화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 국가정체성 간 종단관계 검증: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Verification of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cultural adaptation pattern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national identit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 이형하;윤진미;한지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0호
    • /
    • pp.453-467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문화적응 유형, 다문화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 국가정체성이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 양상과 세 요인 간의 종단적 상호관련성을 검증하고자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를 위해 MAPS의 자료 중 초등학교 5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 추적한 2차-4차-6차-8차년도 시점의 종단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어머니의 문화적응 4가지 유형 모두는 시간의 지남에 따라 유의한 종단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어머니의 문화적응 4가지 유형은 다문화청소년의 국가정체성 간의 관계에서 다문화수용성은 종단적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문화청소년이 다문화적 가치를 수용하고 이를 확장해 이중문화스트레스를 극복하고 국가에 대한 소속감과 연대감을 갖는데 다문화수용성을 높이는 교육도 병행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