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1

검색결과 9,408건 처리시간 0.056초

딱총나무(Sambucus williamsii var. coreana) 추출물의 항산화효과 (Antioxidative Activity of Extracts from Sambucus williamsii var. coreana)

  • 채정우;조영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63-37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딱총나무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해 보았다. 딱총나무 잎과 줄기의 물추출물에는 6.6 mg/g과 2.0 mg/g의 phenolic compound가 함유되어 있었다.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실험에서 전자공여능은 딱총나무 잎의 물과 에탄올 추출물 phenolic 200 ${\mu}g/mL$의 함량에서는 99.5%, 89.7%, 줄기의 물과 에탄올 추출물 phenolic 200 ${\mu}g/mL$의 함량에서는 92.2%, 94.3%의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측정에서도 딱총나무 잎의 물과 에탄올 추출물 phenolic 200 ${\mu}g/mL$의 함량에서는 79.8%, 99.1%, 줄기의 물과 에탄올 추출물 phenolic 200 ${\mu}g/mL$의 함량에서 90.8%, 97.2%의 매우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에서는 딱총나무 잎의 물과 에탄올 추출물 phenolic 200 ${\mu}g/mL$의 함량에서는 1.1과 1.1 PF, 줄기의 물과 에탄올 추출물 phenolic 200 ${\mu}g/mL$의 함량에서는 1.4와 1.0 PF의 항산화효과를 나타내었다. Thiobarbituric acid reaction substance 측정에서도 딱총나무 잎의 물과 에탄올 추출물 phenolic 200 ${\mu}g/mL$의 함량에서는 88.7%, 98.1%, 줄기의 물과 에탄올 추출물 phenolic 200 ${\mu}g/mL$의 함량에서는 93.6%, 90.6%로 positive control인 BHT 및 vitamin C보다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딱총나무의 항산화 활성을 이용한 천연 기능성 식품소재로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사용한 한우 깔짚에서 배출되는 CH4 및 N2O의 배출 특성 (The Patterns of CH4 and N2O fluxes from used Litter Stockpile from Korean Native Cattle (Hanwoo))

  • 박규현;최동윤;유용희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45-150
    • /
    • 2012
  • 한우 깔짚 더미에서 배출되는 $CH_4$의 일별 배출량은 측정 시작일의 273.013 ${\mu}g\;m^{-2}\;s^{-1}$ (SE : ${\pm}1.047{\mu}g\;m^{-2}s^{-1}$)을 최대로 하여 점차 감소하여 측정 마지막 일에는 2.309 ${\mu}g\;m^{-2}\;s^{-1}$ (SE : ${\pm}0.061{\mu}g\;m^{-2}\;s^{-1}$)이었다. $N_2O$의 일별 배출량은 $CH_4$의 배출량과 달리 측정 시작일에는 0.267 ${\mu}g\;m^{-2}\;s^{-1}$ (SE : ${\pm}0.018{\mu}g\;m^{-2}\;s^{-1}$)로 미미하였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수적으로 증가하여 시험 시작 후 43일째에 3.596 ${\mu}g\;m^{-2}\;s^{-1}$ (SE : ${\pm}0.454{\mu}g\;m^{-2}\;s^{-1}$)로 최대를 기록한 후 서서히 감소하여 마지막 일에는 1.888 ${\mu}g\;m^{-2}\;s^{-1}$ (SE : ${\pm}0.012{\mu}g\;m^{-2}\;s^{-1}$) 이었다. 지구온난화지수를 이용한 $CH_4$$N_2O$ 배출량을 $CO_2$-eq로 환산했을 때, 시험첫 날 $CH_4$에 의한 $CO_2$-eq가 전체 환산량의 약 99%였다. 이후 $CH_4$의 배출량이 감소하고 $N_2O$의 배출이 증가하면서 34일 째에 $CH_4$$N_2O$에 의한 CO-eq 비율이 50:50이 되었으며 이후 $N_2O$의 영향이 더 컸다. $CH_4$$N_2O$의 배출량 변동성을 보기 위해 $CH_4$$N_2O$의 일 평균 배출량에 대한 일별 표준오차의 비율을 계산하였다. $CH_4$의 경우 그 비율이 11일째까지는 1.0% 이하였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하여 57일 후에는 10.9%까지 증가하였다. $N_2O$의 경우 $CH_4$에 비해 그 비율이 컸는데 (0.4%~51.0%), $CH_4$의 경우와 달리 초기에 높았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줄었다. $CH_4$$N_2O$의 생성이 활발할 경우 일 평균 배출량에 대한 일별 표준오차의 비율이 적으나 그렇지 않을 경우 비율이 높아졌는데 이는 배출장소의 비 균질성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퇴비화 과정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CH_4$ 감소를 위해 초기 공기 공급을 늘리며, 교반 등을 통해 비균질성을 감소시켜야 한다.

섬유아세포(CCD-986sk)에서 청미래덩굴의 pro-collagen type-1 활성 및 MMP-1의 유전자 발현 저해능 (Inhibitory Efficacy of Smilax china L. on Pro-collagen Type-1 Activity and MMP-1 Gene Expression in Fibroblasts (CCD-986sk))

  • 이수연;이진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0호
    • /
    • pp.1239-1245
    • /
    • 2013
  • 청미래덩굴 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elast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청미래덩굴 에탄올 추출물과 열수 추출물이 $1,000{\mu}g/ml$에서 각각 41.1%, 16.3%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collagenase 저해활성 측정결과 청미래덩굴 에탄올 추출물과 열수 추출물이 $1,000{\mu}g/ml$에서 각각 96.6%, 60.0%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청미래덩굴의 에탄올 추출물의 세포생존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섬유아세포(CCD-986sk)로 MTT assay에 의해 확인한 결과 $50{\mu}g/ml$ 농도에서 71.7%의 세포 생존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섬유아 세포에서 청미래덩굴 에탄올 추출물의 pro-collagen type-1 생합성량을 확인한 결과 $50{\mu}g/ml$의 농도에서 139% 이상의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MMP-1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50{\mu}g/ml$의 각각의 농도에서 74.9%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청미래덩굴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섬유아 세포에서 MMP family 중 MMP-1의 단백질 발현 및 mRNA 발현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MMP-1 단백질 발현과 mRNA 발현 모두 $50{\mu}g/ml$에서 각각 35%, 45%의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보아 청미래덩굴 에탄올 추출물이 주름개선용 화장품 소재로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조합형 써지전압.전류발생기의 제작과 특성 (Fabr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mbination Surge Generator)

  • 장석훈;이복희;길경석;이영근;이복규;옥영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6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C
    • /
    • pp.1876-1878
    • /
    • 1996
  • This paper describes the combination surge generator for applying performance tests of surge protective devices. The $8/20{\mu}s$ waveform applies to low impedance circuits and components and is commonly use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surge protective devices. And the $1.2/50{\mu}s$ waveform applies to high impedance circuits and components and is used for testing dielectric behavior. Therefore, the combination surge generator, which generates $1.2/50{\mu}s$ voltage waveform under open-circuit conditions and $8/20{\mu}s$ current waveform under short-circuit condition, was proposed. Also this generator can produce $10/1000{\mu}s$ as well as $0.5{\mu}s/100kHz$ ring waveform.

  • PDF

$10/350{\mu}s$ 서지전류를 이용한 I 등급 SPD의 성능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Class I SPD Using $10/350{\mu}s$ Surge Current)

  • 조성철;엄주홍;이태형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제38회 하계학술대회
    • /
    • pp.1466-1467
    • /
    • 2007
  • A new parameter W/R for the class I test have been introduced in the IEC 61643-1 published in 2005. One of the possible test impulses which meets the parameters for class I test is the 10/350 [${\mu}s$] waveshape proposed in IEC61312-1. 10/350 [${\mu}s$] waveshape meets parameters for class I test in the IEC 61643-1. The impulse generator for making the 10/350 [${\mu}s$] waveshape is consist of IVG, ICG, crowbar coil and crowbar switch. The electric change Q and the specific energy W/R were measured and calculated using the exclusive use measuring software according to the formula of IEC 611643-1. We verified the correspondence between measured results using impulse generator and recommended parameters by IEC 61643-1.

  • PDF

가시오갈피의 생리·생태적 특성(I) -산지별 순광합성, 기공증산, 기공전도도- (The Eco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Acanthopanax senticosus of Leaves(I) -Net Photosynthetic Rates, Stomatal Transpirations, Stomatal Conductances of Leaves-)

  • 한상섭;권정중;이갑연;허성두;김하선;김종원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9권1호
    • /
    • pp.18-24
    • /
    • 2003
  • 이 연구는 가시오갈피 엽의 생리적 특성을 밝히고자 광합성, 기공증산, 기공전도도의 생리반응을 측정한 것으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광보상점은 양엽이 약 $30{\mu}molm^{-2}S^{-1}$, 음엽이 약 $15{\mu}molm^{-2}S^{-1}$이었다. 2. 광포화점은 양엽이 약 $1,000{\mu}molm^{-2}S^{-1}$, 음엽이 약 $300{\mu}molm^{-2}S^{-1}$이었다. 3. 우리나라 및 중국산 가시오갈피 상엽의 순광합성속도는 약 $8.0-8.8{\mu}molm^{-2}S^{-1}$로 산지간에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제주산 섬가시오갈피 상엽은 약 $6.9{\mu}molm^{-2}S^{-1}$로 다소 낮았다. 4. 모든 산지에서 중위엽의 순광합성속도는 상엽의 40-65%, 하위엽은 상엽의 30% 정도이었다. 그러나 섬가시오갈피 하엽은 상엽의 약 71%로 다소 높았다. 5. 상엽의 기공증산속도는 $1.1-1.4mmolH_2Om^{-2}S^{-1}$, 중위엽은 $0.7-1.0mmolH_2Om^{-2}S^{-1}$, 하위엽은 $0.5-0.6mmolH_2Om^{-2}S^{-1}$로 산지별로 유의차가 없었다. 6. 기공전도도는 상엽이 약 $70-90mmolH_2Om^{-2}S^{-1}$로 산지별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제주 섬가시오갈피 상엽은 약 $380mmolH_2Om^{-2}S^{-1}$로 타산지보다 현저히 높았다.

  • PDF

동해 남서해역에서 우점 규조류 Chaetoceros debilis와 Leptocylindrus danicus의 생존전략 - 용존 무기 질소 제한 환경에서 용존 유기 질소의 이용가능성 (Survival Strategy of Dominant Diatom Chaetoceros debilis and Leptocylindrus danicus as Southwestern parts of East Sea - The availability of Dissolved Organic Nitrogen under Dissolved Inorganic Nitrogen-limited Environments)

  • 양한섭;전슬기;오석진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12-219
    • /
    • 2016
  • 동해 남서해역과 같이 용존 무기 질소(dissolved inorganic nitrogen; DIN)가 제한된 환경에서 우점 규조류 Chaetoceros debilis와 Leptocylindrus danicus의 용존 유기 질소(dissolved organic nitrogen; DON)의 이용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질소원으로 DIN은 질산염과 암모늄, DON은 동해에서 중요한 비율을 차지하는 글리신(glycine)과 요소(urea)에 관하여 각각 평가하였다. Monod 식으로부터 유도한 C. debilis의 최대생장속도(${\mu}_{max}$)와 반포화상수(Ks)는 질산염에서 $1.50day^{-1}$$1.62{\mu}M$, 암모늄에서 $1.13day^{-1}$$6.97{\mu}M$, 글리신 $1.46day^{-1}$$3.36{\mu}M$, 요소 $0.93day^{-1}$$0.55{\mu}M$으로 나타났다. 또한 L. danicus는 질산염에서 $1.55day^{-1}$$5.21{\mu}M$, 암모늄에서 $1.57day^{-1}$$4.57{\mu}M$, 글리신 $1.47day^{-1}$$3.80{\mu}M$, 요소 $1.42day^{-1}$$1.94{\mu}M$이었다. 두 종 모두 요소에서 용존 무기 질소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친화성이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높은 친화성은 DIN 제한된 상태에서 C. debilis와 L. danicus이 생장을 유지하기 위해 요소를 이용할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따라서 동해 남서해역과 같이 DIN이 제한된 해역의 경우, DON의 효율적인 이용이 식물플랑크톤의 우점화 전략에서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생각된다.

광도, 온도 및 $CO_2$의 농도가 야콘의 광합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ght Intensity, Temperature and $CO_2$ Concentration on Photosynthesis in Yacon(Polymnia sonchifolia Poepp.& Endl.))

  • 이강수;최선영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32-237
    • /
    • 2001
  • 본 연구는 야콘의 광합성 효율증진을 위한 기상환경 조건을 규명하여 재배적지의 선정과 재배관리에 대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광도와 온도, 그리고 $CO_2$의 농도에 대한 광합성과 증산량을 조사하였다. 광 보상점은 ${58\;{\mu}mol\;m^{-2}\;s^{-1}}$이었고, 포화점은 ${1708\;{\mu}mol\;m^{-2}\;s^{-1}}$이었다, 증산량은 광도가 증가할수록 높아져 광도 ${2193\;{\mu}mol\;m^{-2}\;s^{-1}}$에서 약 4 mmol ${m^{-2}\;s^{-1}}$간에 이르렀다. 광합성의 최적온도는 ${24^{\circ}C}$였으며, 온도의 변화에 의하여 증산량이 4 mmol ${m^{-2}\;s^{-1}}$에서 8 mmol ${m^{-2}\;s^{-1}}$까지 증가하였을 때 광합성은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이산화탄소 보상점은 63 mol mol ${m^{-2}\;s^{-1}}$이었고, 포화점은 1155 vpm이었으며, 이산화탄소 농도가 350vpm에서 1300vpm까지 증가함에 따라 광포화점은 높아졌다.

  • PDF

갈조류 개다시마 유리배우체의 재생 및 성숙 유도 (Regeneration and the Maturation Induction of Free-Living Gametophytes of a Kelp Saccharina sculpera (Phaeophyceae))

  • 유현일;이기현;김수홍;하동수;황은경
    • 환경생물
    • /
    • 제36권4호
    • /
    • pp.576-58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온도(5, 10, 15, 20, $25^{\circ}C$), 조도(10, 20, 40, 60, $80{\mu}mol\;photons\;m^{-2}\;s^{-1}$) 및 광주기(10:14, 12:12, 14:10 h L:D) 조건에서 개다시마 유리배우체 단편의 생장 및 성숙 유도조건을 파악하였다. 암배우체 단편의 생장은 $20^{\circ}C$, $20{\mu}mol\;photons\;m^{-2}\;s^{-1}$, 10:14 h (L:D) 조건에서 빠른 생장을 보인 반면 수배우체는 $15^{\circ}C$, $20{\mu}mol\;photons\;m^{-2}\;s^{-1}$, 14:10 h (L:D) 조건에서 빠른 생장을 보여 차이를 나타내었다. 암배우체의 최적 성숙조건은 $15^{\circ}C$, $40{\mu}mol\;photons\;m^{-2}\;s^{-1}$, 14:10 h (L:D) 조건에서 가장 빠른 성숙을 보인 반면 수배우체는 $10^{\circ}C$, $20{\mu}mol\;photons\;m^{-2}\;s^{-1}$, 10:14 h (L:D) 조건에서 빠른 성숙을 보여 차이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 확인된 개다시마 유리배우체 단편의 생장 및 성숙조건은 개다시마의 자원조성 및 대량양식 기반조성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ALYSURF에 의한 톱니의 마모량측정 (Measurement of Saw-Teeth Wear by TALYSURF)

  • 현정인;바니.크라메키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8권1호
    • /
    • pp.22-27
    • /
    • 1980
  • Talysurf에 의한 톱니마모정도의 수량화가 수행되었다. (1)톱니의 단면은 아래식을 만족시키는 조건에서 Taysurf의 그래프로서 얻어진다. ${\frac{{\Delta}h}{h}}={\frac{V{\Delta}_x}{V_x}}$ {${\Delta}h$: stylus의 수직이동거리 h: 챠트에 있어서 수직거리 $V{\Delta}_x$: stylus의 이동속도 $V_x$: 챠트의 이동속도} (2) stylus의 오차는 아래식에 의하여 계산된다. i) 13.8${\mu}{\leqq}$x<20.4${\mu}$ y=-0.2246x+4.59${\mu}$ ii) 0${\leqq}$x<13.8${\mu}$ y=${\sqrt{(-18{\mu})^2-x^2}}-1.42x+32.7{\mu}}$ (3) 톱니단면과 stylus의 오차는 아래식에 의하여 계산된다. $E(%)=\frac{f(r){\times}{\frac{4}{18{\mu}}}}{f(R){\times}{\frac{R}{18.5{\mu}}}-f(r){\times}{\frac{r}{18{\mu}}}}{\times}100$ {E(%) : stylus의 오차/톱니의 둔함 r: stylus의 반경 R: 챠트에서 얻어지는 그라프의 반경 f(r): stylus의 오차 f(R): 챠트에서 얻어지는 그라프의 둔함} (4) 최대오차와 톱니단면의 관계에서 쌍곡선그라프를 얻을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