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vement Control Test

검색결과 459건 처리시간 0.023초

전기저항식 워터마크센서기반 소형 관수장치의 토양 수분퍼텐셜 자동제어 효용성 평가 (Feasibility Test on Automatic Control of Soil Water Potential Using a Portable Irrigation Controller with an Electrical Resistance-based Watermark Sensor)

  • 김학진;노미영;이동훈;전상호;허승오;최진용;정선옥;이중용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93-10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시설 내 작물재배에 적합한 자동관수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첫 단계로 전기저항의 변화원리를 이용하는 워터마크 센서를 장착한 소형 컨트롤러를 작물재배에 활용하여 자동관수기술의 효용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비닐하우스 내에 다른 토성을 갖는 토양을 격리베드에 인공적으로 조성한 후 토마토를 정식하여 수분퍼텐셜을 -20kPa 수준으로 자동으로 조절하면서 재배하였다. 점적관수에 따른 토양 내 깊이별 수분변화는 Sentek 축전형 수분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워터마크센서를 이용한 수분퍼텐셜 제어성능은 (-)20kPa 수준부근에서 유지되지 않고 반복적으로 0~(-)20kPa 대역에서 높은 변화 값을 나타내어 안정적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물 공급은 관수시마다 약 50~60분 비교적 긴 시간동안 진행되어 수분공급이 과잉되는 문제가 나타났으며 건조시에도 수분퍼텐셜의 변화가 계단응답 반응의 형태로 변하는 불량한 측정해상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문제는 워터마크센서의 토양과 전극 접촉형태가 다공컵식 수분장력계에 비해 수분값에 연속적으로 반응할 수 없는 구조이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하였다. 자동관수에 따른 토양종류별 수분변화는 그 기울기가 토성별로 서로 달랐으며 양질사토의 경우 수분함량의 변화정도가 가장 높았다. 수분함량의 변화속도는 낮과 밤의 경우 시간에 따른 변화율이 달라서 변곡선의 형태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이유는 낮과 밤의 일교차와 태양광 유무에 의하여 수분증발량 차이가 발생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하였다. 직물에서 20cm 떨어진 지점의 깊이별 수분함량은 작물에 인접한 위치와 비교하였을 때 세가지 토양 모두 관수에 의한 변화정도는 미미하여 직물에 인접한 곳만 수분공급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추후 연구에서 양질사토 베드에서 관찰된 토마토 생육 불량 문제 개선과 관수멈춤 시간을 적용하여 물공급의 과잉 문제를 해결하는 보완실험이 요구되었다.

자조집단 활동과 자기효능성 증진법을 이용한 수중운동 프로그램이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통증, 생리적 지수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 of Aquatic Exercise Program with Self-help Group Activites and Strategies for Promoting Self-efficacy on Pain, Physiological Parameters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having Rheumatoid Arthritis.)

  • 김종임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30
    • /
    • 1994
  • Rheumatoid arthritis is a chronic systematic disease with unpredictable course of exacerbation and remission, characterized by pain, joint deformity and reduced activity by joint limitation. The growing public awareness of the need for health management of chronic illnesses, provides impetus for nursing to demonstrate social effectiveness by active nursing intervention in this vast area in general, and with rheumatoid condition in particular. However, nursing interventions to date have not demonstrated its active participation in the management of chronic conditions. Nursing intervention for the patients having rheumatoid arthritis is one such area that needs to be studied intensively and to demonstrate their effectiveness empirically.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wo fold : first, to develop a comprehensive program that was intensified with therapeutic joint exercises in water, self-help group activities and utilization of self-efficacy promoting strategies : and secondly, to determine the effect of aquatic exercise program on pain, physiological changes and quality of life in the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Thirty five female subjects participating in this study were selected from outpatients in the Rheumatism Center, Hanyang University hospital.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from December, 1992 to March, 1993 in seoul and Taejeon. Subjects in Taejeon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he comprehensive aquatic exercise program for the experimental group was carried out three times a week for 6 weeks in regular swimming pool. Subjects in Seoul did not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nd treated as the control group. Data were analyzed with repeated measure MANCOVA, t-test, ANCOVA, percentage of change, Kruskal-Wallis 1-Way ANOVA using SPSS $PC^+$ program.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 1) Scores on Korean pain scale, Numeric pain score, and RAI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t=2.11, p=0.022 ; F=4.40, p=0.044 : t=3.10, p=0.002). 2) There was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physiological parameters (higher joint movement parameters, F=15.64, p=0.024 ; higher lean body mass, percentage of change=+12.2, lower body weight, t=1.01, p=0.026 : lower ESR, t=1.69, p=0.001)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ired with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3) There was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pecific self-efficacy score through the comprehensive aquatic exercise program(t=2.73, p=0.011), but not in the general self- efficacy score(t=0.62, p=0.113). 4) The quality of life failed to show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as compaired with the control group (F=3.69, p=0.064). 5) In the experimental group, findings from additional analysi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pecific self-efficacy between those who continued to aquatic exercise after completing 6 week program and those who stopped (X2=0.086, p=0.690). Therefore, adherence to aquatic exercise program for 6 weeks seem to be affected mainly by self-help group activities. An indepth study to delve into articulation of mechanisms affecting the effect of aquatic exercise program be recommended. A further study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the effect of group and individual aquatic exercise program, to assess factors affecting adherence to exercise for an extended length of time.

  • PDF

위장조영검사에서 화질 개선 방법 (Quality Improvement on Upper Gastrointestinal Series)

  • 임병학;천권수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395-401
    • /
    • 2016
  • 위장조영검사는 위장에 바륨 또는 가스트로그라핀과 같은 조영제를 투여한 후 X선을 투과하여 진단하는 검사로서 일시적인 변비나 복통 외 특별한 부작용이 없는 것이 장점으로 위장계통의 질환 진단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수검자의 검사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부족으로 인한 검사 중 부적절한 움직임과 호흡조절로 화질과 검사의 정확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검사의 정확성 향상과 화질 개선의 방법으로 위장조영검사의 검사 과정과 주의할 점을 동영상으로 제작하여 검사 전 대기시간을 이용하여 시청하게 함으로써, 동영상을 이용한 교육이 화질 개선과 검사의 정확성 향상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2014년 위장조영검사 수검자 2,940명, 2015년 위장조영검사 수검자 3,076명 중 각각 30대부터 80대까지 10명씩 무작위 선출한 60명을 대상으로 교육 전, 후의 영상을 평가하였다. Image J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영상의 프로파일에 대한 반치 폭을 측정함으로써 영상을 평가하였다. 반치 폭은 교육 전 0.208 mm, 교육 후 0.133 mm로 나타났다. 따라서 검사 전 동영상교육이 화질 개선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중강도 운동훈련이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쥐의 비장세포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oderate Exercise Training on Splenocyte 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in High Fat Diet Induced Obese Mice)

  • 장혁기;박희근;정준현;이왕록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8호
    • /
    • pp.1176-1182
    • /
    • 2011
  • 본 연구는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쥐를 대상으로 저지방식이와 중강도 운동이 비장세포의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4 주령의 C57BL/6 마우스를 대상으로 고지방식이(45% fat)를 5 주간 처치하여 비만을 유도한 후, 저지방식이(10% fat)로 전환한 후 통제군(운동미실시, n=10)과 운동군(중강도운동실시, n=10)으로 나누어 8 주간 트레드밀을 이용하여 중강도 운동을 주 5회, 1 일 30-60분 실시하였다. 운동종료후 비장세포를 분리하여 Concanavalin A (10 ug/ml)로 24시간 자극 후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beta}$, IL-6, TNF-${\alpha}$를 Bio-Plex를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독립 t 검증을 실시 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0.05 수준으로 하였다. 비장세포에서 발현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beta}$, IL-6, TNF-${\alpha}$는 저지방식이를 단독처치한 통제군에 비하여 중강도 운동을 병행실시한 운동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한 결과(p<0.01)를 나타내어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쥐에서 저지방식이의 단독처치보다 중강도 운동의 병행 처치가 전염증 사이토카인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하구하상 모니터링 정밀도 향상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Accuracy Improvement of Estuary Riverbed Monitoring)

  • 박운용;김용보;백기석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3-34
    • /
    • 2003
  • 최근 GPS는 기준점 측량을 비롯한 각종 정밀측량과 항법 등에 그 효율성이 점점 증대되고 있다. 또한 구조물의 변위해석, 해양조위관측, 하천수위관측 및 수심측량 장비와의 조합에 의한 해저, 하상 지형의 모니터링 등에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논문은 DGPS, RTK-GPS와 Echo Sounder 조합 해석에 의해 하구, 하상 모니터링 시 그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기초 실험으로 하구 지질특성을 고려한 수조 실험을 통해 Echo Sounder의 오차 보정량을 산출하고, 하구, 하상 3차원 모니터링을 위한 S/W를 개발하여 현장 실험에 적용, 제반 문제점을 보완하였다. GPS와 Echo Sounder의 조합에 의한 하구, 하상 지형 해석시 측량선의 유동에 의해 수면과 송수파기간의 거리변화에 대한 홀수에 의한 오차는 기하학적인 재배치를 통해 제거할 수 있었고, $z=BM+SAH-DBR_{(i)}-DRT-ED$의 보정식을 산출하였다. 또한 Echo Sounder와의 하구, 하상 지질 특성에 대한 수심측정 오차는 실험 수조를 이용하여 평균 입경-ES잔차 관계를 파악하고 회귀분석을 통해 $Y=0.00474{\ast}ln(X)-0.0045$의 보정식을 산출하여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 PDF

이중분광계수 모니터기반 진정제 투여가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환자의 의식하 진정상태, 생리적 안정성 및 회복시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Bispectral Index Monitoring Based Sedative Administration on Conscious Sedation, Physiological Stability and Recovery Time in Patients Receiving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 이미정;황문숙;임현숙;박미옥;허지원;강기주;김재준;조명숙
    • 임상간호연구
    • /
    • 제18권2호
    • /
    • pp.284-295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clarify effects of bispectral index monitoring sedative administration, compared to MOAA/S (Modified Observer's Assessment of Alertness and Sedation), on conscious sedation, physiological stability and recovery time for patients undergoing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Method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patients who underwent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because of early gastric cancer. Participants were assigned randomly to an experimental group receiving sedatives based on bispectral index monitoring or to a control group with the MOAA/S instrument. Movements, belching, memory, pain, discomfort, physiological stability (MBP, PR, $SpO_2$), and recovery time were measured during the treatment and recovery. Data were analyzed using Spearman partial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Mixed model and Wilcoxon rank sum test to determine differences in the parameters. Result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for conscious sedation(movement, belching, memory, pain, or discomfort), physiological stability and recovery tim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no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two types of monitoring. Thus, use of a bispectral index monitor in clinical practice enabling medical staff to readily assess the conscious sedation of for these patients is expected to be increasingly used as an objective assessment tool for conscious sedation for patient safety.

비보호 좌회전 지체도 추정모형의 개선 (Improvement of the HCM Delay Estimation Model for Exclusive Permitted Left Turns)

  • 김진태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07-118
    • /
    • 2003
  • 미국 도로용량편람(HCM)은 도심부 신호 교차로 운영상태 평가를 돕기 위하여 지체도 추정 수리모형을 제시하고 있다. 2000년도 개정판 HCM모형은 전문가들의 최근(up-to-date) 연구결과가 반영된 것이며 많은 교통공학자들에 의해 실무 및 연구에 활용되고 있다. HCM은 비보호 좌회전 움직임의 경우, 별도의 부가절차를 통해 포화교통류율을 보정할 것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HCM 지체도 산정 모형식은 보호현시 직진 움직임을 기준으로 설계된 모형이기 때문에 비보호 좌회전 움직임의 지체도를 과소 추정하는 문제점을 내제한다. 본 논문에서는 (1)HCM지체도 모형의 설계과정을 검토하고 (2)이를 토대로 HCM 지체도모형을 통한 비보호 좌회전 지체도 추정에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고 (3)새로운 비보호 좌회전 지체도 추정 수리모형을 제안한다. 다양한 교통상황. 제어상황을 현장실험에서 통제함에 어려움이 있어 모의실험을 통한 제안모형의 검증을 수행하였다. 검증을 위해 마련된 120가지 경우의 다양한 비보호 좌회전 교통상황에서 (1)CORSIM 모의실험 지체도, (2)HCM 모형추정 지체도, (3)제안된 모형추정 지체도를 비교하였으며, 비교분석 결과 모의실험 지체도를 기준으로 HCM지체도 추정모형은 설명력이 0.47로, 제안된 모형의 설명력은 0.77로 분석되었다.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가족기능,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go-Resilience, Family Function and Acculturative Stress on Mental Health of the Youth of Multicultural Families)

  • 송순택;최희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16-125
    • /
    • 2020
  • 본 연구는 경기도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이 인식하는 자아탄력성과 가족기능 및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들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원조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 중학생 304명을 대상으로 기술통계분석,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이 문화적응 스트레스 하위변인인 과정스트레스를 높게 지각할수록, 자아탄력성의 하위변인인 감정조절을 낮게 지각할수록 우울불안이 높아져 정신건강 수준이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자아탄력성을 고취시킬 수 있는 다양한 심리정서 프로그램의 개발과 문화적응 과정의 스트레스를 극복할 수 있는 지원방안 마련, 다문화가정을 지원할 수 있도록 관련 법률의 제도적 보완 등을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U-12 유소년 축구선수의 운동수행력 및 의학적 평가 (Evolution of Exercise Performance and Medical Assessments in U-12 Youth Football Players)

  • 서상원;이호성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6권5호
    • /
    • pp.665-677
    • /
    • 2017
  • 이 연구는 U-12 유소년 축구선수를 대상으로 운동수행력과 의학적 평가를 상세히 분석한 후에 축구를 통한 운동수행력의 변화 및 의학적 문제점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유소년 축구클럽에 참여하고 있는 초등학교 선수를 유소년 축구선수 집단(Youth football players group; YFG, n=15; $11.2{\pm}0.9$ 세)과 축구를 하지 않는 건강한 일반 유소년을 통제 집단(Control group; CON, n=15; $11.5{\pm}0.6$ 세)으로 각각 분류하여 운동수행력(건강관련 체력, 운동관련 체력, 기능적 움직임 및 동적 균형) 및 의학적 평가(하지정렬, 관절가동범위 및 도수근력검사)를 측정하였다. 왕복 오래달리기, 50-m 달리기, 눈 감고 외발서기, 능동적 하지직거상, 회전 안정성 및 비주측의 종합점수는 CON과 비교해서 YFG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하지만, 하지정렬에서 주측 및 비주측의 Q각, 관절가동범위에서 비주측의 발목관절 발등굽힘, 주측 및 비주측의 발목관절 발바닥굽힘, 도수근력검사에서 주측의 엉덩관절 폄 및 벌림, 무릎관절 굽힘 및 폄, 비주측의 무릎관절 굽힘 및 폄은 CON과 비교해서 YFG에서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U-12 유소년 축구선수는 부분적으로 운동수행력은 우수하게 나타났지만, 의학적 평가에서는 부정적인 결과를 확인하였다.

저산소증을 동반하지 않는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의 인지기능장애 (Cognitive Dysfunction in non-hypoxemic COPD Patients)

  • 김우진;한선숙;박명옥;이승준;김성재;이정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2권5호
    • /
    • pp.382-388
    • /
    • 2007
  • 연구배경: 저산소증을 동반한 COPD 환자에서 인지기능 장애를 보이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저산소증이 없는 COPD 환자에서의 인지기능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또한, COPD 환자는 수면장애를 동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저산소증이 없는 COPD 환자들의 인지기능을 평가하고, 인지기능 장애를 가진 COPD 환자들에서 수면장애가 얼마나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방 법: 90% 이상의 동맥혈 산소 포화도를 가진 28명의 COPD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환자의 평균 나이는 70.7세였다. 대조군은 건강검진을 위해 내원한 33명의 건강성인을 대상으로 하였고, 대조군의 평균 나이는 69.5세였다. 모든 환자 및 대조군은 the Korean version of the Consortium to Establish a Registry for Alzheimer's Disease(CERADK)를 이용하여 신경인지기능을 평가하였다. 결 과: COPD 환자군은 단어목록회상(p=0.03)과 단어목록재인(p=0.006) 항목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보였다. 9명의 환자에서 유의미한 인지기능 장애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 중 7명의 환자에서 수면다원검사를 시행한 결과, 5명의 환자에서 시간당 5회 이상의 apnea-hypopnea index를 보였다. 7명의 환자에서 동맥혈 산소 포화도 감소 지수 및 평균 사지 운동 지수는 각각 3.6/시간과 38.6/시간이었다. 결 론: 이 연구는 저산소증이 없는 COPD 환자에서 언어기억 장애를 가진다는 것을 시사하며, 이렇게 인지기능 장애를 가진 COPD 환자들이 수면장애를 동반하고 있어 이에 관한 추가연구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