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untain forest

검색결과 764건 처리시간 0.019초

고밀도 LiDAR 자료를 이용한 산림자원 추출에 관한 연구 (Extraction of Forest Resources Using High Density LiDAR Data)

  • 최영락;이종신;윤희천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73-81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고밀도의 LiDAR 자료를 이용하여 산림에 대한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정량화하기 위한 방법을 연구하는데 있다. 기후변화와 관련하여 온실가스 흡수량 확보를 위한 산림자원의 정량적 분석을 위해 고밀도의 LiDAR 자료 획득방법과 산림자원의 추출방안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고밀도의 LiDAR 자료를 이용하여 산림자원의 객체별 수고 및 수관을 추출 할 수 있었다. 산림자원의 수고 및 수관의 추출은 수치지형도 제작에 사용되는 평균 2.5points/㎡의 저밀도 LiDAR 자료를 사용할 경우 정확한 추출이 어려웠다. 지형, 산림자원의 특성, 데이터 용량 및 처리속도 등을 고려하여 7points/㎡의 고밀도 LiDAR 자료를 이용할 경우 다수의 개체를 추출할 수 있었다. 산악지형과 혼합지형이 대체적으로 평탄지형보다 점밀도가 높고 다수의 산림자원이 추출되었다. 또한 도엽별로 처리할 경우 경계지역에서의 개체를 추출 할 수 없었으며, 넓은 지역을 한번에 처리하기 보다는 처리시간과 대상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을 세분화하여 추출하여야 함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산림자원 정보를 이용한 온실가스 흡수량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산촌생태마을 유형별 주민 보완 요구 및 기대 효과 분석 (An Analysis of Residents' Supplementation Demand and Expected Effect by Types of Mountain Village Development Project)

  • 김성학;서정원;박영선;김종호
    • 농촌계획
    • /
    • 제19권1호
    • /
    • pp.71-80
    • /
    • 2013
  • This study aimed to categorize mountain villages according to business expense investments and investigate residents' supplementation demands and differences between expected effects by the categories. For the study, 35 villages where are completely developed on and after 2007 were selected to consider fairness among local governments. Each village leader(the head of the village or the chairperson of the management committee) was conducted a survey from 2012 May to August and one copy of survey was eliminated from the study. The study is summarized into four results. First, the types of mountain villages were categorized as a type of mountain village practice(18), a type of life environment improvement(8) and a type of forestry income(8) according by the itemized reports of the business expense investments. Second, the result of F-test(One Way ANOVA) for the average analysis by types showed that 3 out of 6 demands for the operation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nd a supplementation necessity of the program was identifi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0.01 level. The necessity of forestry resources use and sprawling development prevention are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ypes in p<0.05 level. Third, F-test results from 7 questions of desired effects through mountain village creation project revealed that promotion and market security of forestry products and local patriotism instillation through a personal exchang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ypes in p<0.05 level. Forth, the results of duplication benefits(the mountain village development projects and the village support programs with other departments) on the residents' development expectation found that when a village received a large number of projects, residents' expected effects were higher than other village residents where received relatively a small number of projects. However, the expected effects from the increasing quantities of projects were decreased.

산촌생태관광 도입에 관한 산촌방문객의 인식과 요구 조사 (A Survey on Recognition and Requirements of Mountain Village Visitors about the Introduction of Mountain Eco-tourism)

  • 김예지;김종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7권2호
    • /
    • pp.218-228
    • /
    • 2018
  • 본 논문은 산촌지역 방문객을 대상으로 산촌생태관광에 대한 인식 및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새로운 산촌 정책으로 산촌생태관광을 도입하기 위한 타당성 조사로 산림청의 산촌지역 내 산촌생태마을과 농림축산식품부의 농촌체험휴양마을을 포함한 57개 산촌 마을의 방문객 439명을 대상으로 2015년 6월 17일부터 9월 17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개별면접 설문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 산촌생태관광 참여의향에 대하여 Likert 5점 척도로 살펴본 결과, 평균 3.65점으로 산촌생태관광 도입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방문횟수는 1년에 1회(44.6%), 1년에 2회(30.1%) 순으로 선호하였다. 또한 희망 방문지역으로 강원도(44.8%)를 가장 많이 응답하였으며, 지불의향은 평균 153,320원으로 나타났다. 산촌생태관광 요구사항으로 지역관광 연계 상품 개발(평균 3.99점), 산촌생태관광 프로그램 개발(평균 3.96점) 순으로 응답하였다. 위의 결과들은 산촌생태관광의 가치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 강화와 산촌생태관광의 매력성 증대를 위한 소프트웨어 발굴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에 따라 산촌생태관광은 지속가능한 산촌이 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삼림자원화(森林資源化)를 위한 산촌문제연구(山村問題硏究) -강원도(江原道)를 중심으로- (A study on mountain village problems for making forest resources - with Kangwon province as the central region -)

  • 권오복;우종춘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9권1호
    • /
    • pp.19-32
    • /
    • 1993
  • 우리나라에서 국내목재소비량(國內木材消費量)은 과거 20-30년 동안에 급격하게 증가했고 최근에는 휴양(休養)을 위한 삼림이용(森林利用), 수원함양(水源涵養)과 국토보전(國土保全)을 위한 보안림(保安林)의 필요성(必要性)이 점차로 증대해가고 있다. 그러나 삼림(森林)을 조성해야할 삼림소유자(森林所有者)들이 산촌(山村)에서 도시(都市)로 이동(移動)하고 있으므로 삼림(森林)에 대한 사회(社會)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삼림활동(森林活動)이 어려워지고 있으며 따라서 도비화문제(都鄙化問題)가 중요한 정책과제(政策課題)로 되어 있다. 본(本) 논문(論文)은 삼림자원화(森林資源化)를 위하여 산촌문제(山村問題)를 분석한 사례연구이다.

  • PDF

산촌생태마을 운영매니저의 역할에 대한 인식 특성 분석 - 역량강화교육 개선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Cognition Characteristic for Operators' Roles in Mountain Eco Villages - focused on an improvement of empowerment training -)

  • 김성학;서정원
    • 농촌계획
    • /
    • 제19권2호
    • /
    • pp.173-181
    • /
    • 2013
  • The importance of human resources empowerment for operation and management is increasing for sustainable effects and improvement in mountain eco village development projects.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cognition characteristics of operator who works for mountain eco villages as part of the mountain village development and to suggest improvement methods in empowerment training aspects. The survey contained operator's empowerment and operator systems in mountain eco village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for the study. Operators who joined the mountain eco village operator training course by Korea Forest Service were conducted the survey on March 12th~13th in 2012 and March 13th~15th in 2013. 69 and 58 of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respectively and analyzed for the study. T-test was applied to Intergroup cognition difference and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for influential factors in necessity of operator's rol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tatistical package programme SPSS 18.0 version. According to the comparison of empowerment cognition with contingent upon training experience, 'harmony with resident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ce at p<0.05 level. In the recognition comparison for prospect of future mountain eco village development, 'various training experiences'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at p<0.01 level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prospect group.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communication with village leader', 'harmony with residents', and 'idea related to the project' have an effect on necessity of operator's empowerment significantly.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suggests improved directions for operator's empowerment training as a horizontal leader who conduces a mountain village.

산촌생태관광 도입에 관한 산촌주민의 인식 및 요구에 대한 연구 (A Research on Recognition and Needs of Mountain Village Residents about the Introduction of Mountain Eco-Tourism)

  • 김종호;김예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6권3호
    • /
    • pp.353-36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산촌주민의 산촌생태관광에 관한 인식 및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내용은 산촌생태관광 도입의견, 주민 참여의향, 정책추진 유형, 산림청에 대한 요구사항, 기대효과 등에 관한 사항으로 구성하였다. 조사 대상 및 방법은 산림청에서 조성한 33개 산촌생태마을과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조성한 산촌진흥지역 내 농촌체험휴양마을 24개 마을의 마을주민 346명을 대상으로 2015년 6월 17일부터 9월 17일까지 개별면접 설문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로 산촌생태관광 도입 의견에 대한 설문에 86.7%가 찬성한다고 응답하였고, 산촌생태관광 도입 시 78.3%가 참여의향을 나타냈다. 또한 산촌생태관광 정책 수립 시 응답자의 42.2%가 산림청 연관부처 지자체가 협력하여 추진해야 한다고 응답했으며, 산촌생태관광 도입 시 지원해야할 요구사항은 환경 및 시설과 관련하여 휴양시설 설치가 60.4%, 프로그램 및 서비스 관련하여 산촌생태관광 프로그램 개발에 67.6%로 각각 높게 나타났다. 산촌생태관광 도입을 통한 기대효과에 86.1%가 산촌방문객 증가로 산촌활성화에 도움을 줄 것이라 응답하였다. 본 연구는 산촌생태관광 정책수립 시 주민들의 인식 및 요구를 수렴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강원도(江原道) 자연휴양림(自然休養林) 프로그램의 방향(方向) 모색(摸索) (New Perspective of Forest Recreation Program in Gangwon-do)

  • 이용규;최정기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0권1호
    • /
    • pp.28-39
    • /
    • 2004
  • 본 연구는 강원도 내 자연휴양림의 프로그램의 현황을 파악하여 향후 자연휴양림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실시하였다. 2003년 현재 강원도는 19개소의 자연휴양림(국유림 11 개소, 공유림 4개소, 사유림 4개소)을 조성 운영하고 있으며, 현행 시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으로는 숲해설, 산악자전거, 산악 마라톤, 산악스키, 숲속 음악회, 숲교실 등이 시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자연휴양림 프로그램의 새로운 방향을 위해서 문화 복지 교육 프로그램을 축으로 하여 발전 방향을 모색하였다. 문화 프로그램으로는 "전통가옥체험 프로그램", "오지체험 프로그램", "산촌 특산물 프로그램"을 구상하였으며, 복지 프로그램은 "노인복지프로그램"과 "장애인 복지 프로그램"을, 교육프로그램으로는 "숲속의 지구촌 교류" 프로그램 조성과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앞으로 주 5일 근무제 도입으로 휴양수요가 대폭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관광 강원도의 이미지를 부각시키기 위해서 자연휴양림의 지속적인 관심과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더욱 증진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산촌지역(山村地域) 구분지표(區分指標) 설정(設定)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Establishment of Division Index of Mountain Villages Region)

  • 김의경;손철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3호
    • /
    • pp.343-355
    • /
    • 1995
  • 본 연구는 면단위의 산촌지역 구분지표를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구분지표는 산촌지역의 특성을 대변할 수 있고, 시대변화에도 안정적인 인자를 선정하여 통계적인 검증과정을 통하여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산촌지역의 구분지표로서 '임야율 70% 이상으로서 평균해발고 250m 이상이거나, 또는 평균해발고 400m이상인 지역'을 확정하였다. 이러한 구분지표에 의한 산촌지역은 전 국토면적의 32.2%, 전인구의 3.6%를 포함하는 국토공간상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다른 지역에 비하여 인구 과소화가 극심하고 농업기반이 취약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Load-cell Sensor를 이용한 산지 토사유출량 계측의 현장 적용성 검토 (Evaluation of the Applicability of Sediment Discharge Measurement in Mountain Stream using the Load-cell Sensor)

  • 서준표;이기환;김동엽;우충식;이창우;이헌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644-653
    • /
    • 2018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집중호우, 태풍 등의 영향으로 산사태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산사태를 예방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은 사방사업이다. 이러한 사방사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산지에서 유출되는 토사량에 대한 정량적 측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산지계류에 Load-cell 센서를 설치하고, 분동테스트를 통하여 계류에서의 적용성과 재하 형태에 따른 출력값을 비교하였다. 개별 및 복합 하중시험을 실시한 결과, Site 1에서 평균 0.4kgf, Site 2에서 평균 0.6kgf 차이로 재하 형태의 영향은 낮게 나타났다. 또한 측정값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하중계수를 산정하였다. 하중계수를 Load-cell 측정 값에 적용하여 보정한 결과, 두 사이트에서 출력율이 각각 14.8%p, 24.6%p 상승하여 기준값에 근사하게 산정되었다. Load-cell 센서는 수위, 강우 등과 함께 시계열 분석을 통하여 산지 토사유출량을 정량적으로 산정할 수 있었다. 모니터링이 장기간 이루어진다면 산림유역에 대한 토사유출 매커니즘 구명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Load-cell과 같은 센서를 산지 계곡에 적용함으로써 계측센서 등 관련분야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농산촌 개발마을 사례별 마을개발사업에 대한 지역주민 의식 (Awareness of Local Residents on the Village Development Project According to the Types of Rural and Mountain Village Development)

  • 김종호;전준헌;이덕재;이광희;김성일;김통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6호
    • /
    • pp.714-723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산촌 체험관광마을별로 마을개발사업의 현황과 내용 그리고 이에 대한 지역주민의 의식을 조사함으로써, 향후 산촌에 체험관광 도입 시 정책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농산촌 체험마을형태인 산촌개발마을, 녹색농촌체험마을, 농촌전통테마마을, 그리고 산촌개발사업이 완료된 마을에 농촌체험마을 사업이 들어간 혼합형 마을의 각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면접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마을개발사업의 결과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는 산촌개발마을인 객현리와 녹색농촌체험마을인 부래미마을은 여러 면에서 긍정적 반응을 보인데 반하여, 혼합형 마을인 신론 도원리는 마을개발사업으로 인한 변화기 마을에 거의 없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마을개발사업에 대한 만족도는 주민소득 향상이라는 측면과 가장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또한 모든 체험마을의 형태에서 지역주민은 서비스 교육, 리더십 강의 등 교육의 필요성과 참여의향이 높게 나타났고, 녹색농촌체험마을 사업이 실시된 마을에서 마을의 발전방향으로 체험프로그램 개발에 중점을 두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