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sses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9초

액체섬광계수기를 이용한 환경시료중 $^{241}Pu$분석 (Determination of $^{241}Pu$ in Environmental Samples Using Liquid Scintillation Counting System)

  • 이명호;홍광희;최용호;김상복;최근식;이창우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1권2호
    • /
    • pp.91-98
    • /
    • 1996
  • 알파방출핵종 존재하에 베타방출핵종인 $^{241}Pu$ 최적 분석조건을 검토하였다. 펄스파고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PSA 준위를 설정하였다. $^{241}Pu$ 표준선원을 이용하여 figure of merit가 최대가 되도록 $^{241}Pu$ counting channel를 조정하였고 계측효율이 최대가 되도록 형광체 부피를 설정하였다. 최적화된 $^{241}Pu$ 분석법을 토양과 이끼등의 환경시료에 적용하여 $^{241}Pu$ 방사능농도를 측정하였고. $^{241}Pu/^{239,\;240}Pu$ 방사능 비율로부터 우리나라의 일부 토양 및 이끼에 침적된 Pu의 근원을 규명하였다.

  • PDF

남극 세종기지 주변에 새로이 정착한 현화식물 남극좀새풀 (Deschampsia antarctica)의 개체군 공간분포 (Distribution Pattern of Deschampsia antarctica, a Flowering Plant Newly Colonized around King Sejong Station in Antarctica)

  • 김지희;정호성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6권1호
    • /
    • pp.23-32
    • /
    • 2004
  • As a baseline survey for long-term monitoring on environmental change around the Antarctic King Sejong Station, distribution pattern of Deschampsia antarctica Desv., a flowering plant newly colonized were investigated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in both austral summer 2002 and 2003. Dispersal of the seeds and vegetative leaves by skuas might lead to the colonization into this area from neighbors in Maxwell Bay. The pioneer populations were observed around ponds and a stream of the Sejong Point in January 2002, and the maximum dispersal area was four times expanded after a year. Most of the populations were formed on the stable and well-drained substrate, which consisted of moss carpet of Sanionia georgico-uncinata (65%) and pebbles (25%), while only a few young individuals were observed on the unstable and watertight silt-sandy area. Especially, S. georgico-uncinata was being effectively utilized as their primary substrate with the soft, coarse and water-contained leaves. Also the perennial mature plants of D. antarctica were mainly formed on the moss carpet rather than pebbles. A few individuals were grown on other mosses of Polytrichastrum alpinum, Bryum pseudotriquetrum, Pohlia cruda, and Conostomum magellanicum and on a liverwort of Cephaloziella varians. We expect that dispersal of D. antarctica and the following succession to grass field will be countinuously and dynamically proceeded in this area, with the characteristics of ecological niche against the initial moss populations, on the similar continuity of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continuous observations are needed with establishment of database on environmental change of micro-habitats, e.g. the water content and nutrients of soil and the underground temperature and permafrost.

Unrecorded moss species from Korean flora II

  • Yoon, Young Jun;Kim, Chul Hwan;Gorobets, Konstantin-V.;Sun, Byung-Yun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35-241
    • /
    • 2011
  • Five unrecorded species (Oedipodium griffithianum, Myurella tenerrima, Trachypus bicolor, Coscinodon humilis, Meteorium miquelianum subsp. atrovariegatum) with one unrecorded family and two unrecorded genera, were reported as new to the Korean moss flora. The monotypic family Oedipodiaceae consisting of a single genus and single species was distinguished from Splachnaceae by small plants that were 10 mm in length simple or sometimes branched, obovate-spathulate to ${\pm}$ orbicular, costa ending below the apex and entire margins except for the lower long-ciliate portion The species was first found at the top of the Mt. Seorak at an altitude of 1708 m. The two genera, Myurella and Coscinodon were found in the Korean Peninsula. Myurella tenerrima (Theliaceae) was found around the top of Jung-bong on Mt. Jiri. It was mixed with other mosses in the crevices of rocks in the alpine regions. The species is similar to M. sibirica, yet it can be distinguished by the position of papilla in the median laminal cells. Coscinodon humilis (Grimmiaceae) were found on the ridge of Mt. Gaya. C. humilis has a variety of hyaline apex according to leaf position and forms a capsule so it can be distinguished by family. Trachypus bicolor and Meteorium miquelianum subsp. atrovariegatum are unrecorded species. T. bicolor (Trachypodaceae) were found on the ridge of Mt. Gaya. T. bicolor is similar to T. humilis but distinguished by the costal lengths of the leaves. M. miquelianum subsp. atrovariegatum (Meteoriaceae) was found in Gageo-do. This species was distinguished by the plant form and morphology of stem leaves in the same genus.

둥근대이끼(산주목이끼과)의 신분포지 및 형태적 특징 (A Short Record for the New Distribution and Some Morphological Characters of Plagiothecium platyphyllum Mönk. (Plagiotheciaceae))

  • 황규진;박선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98-403
    • /
    • 2020
  • 둥근대이끼(P. platyphyllum)는 산주목이끼과 산주목이끼 속에 속하는 선류 식물이다. 중국, 일본, 유럽, 북한에 분포하고 있다. 특히, 북한 지역에는 관모봉, 금강산, 묘향산, 차일봉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남한 지역에는 2017년 전라북도 완주군 운주면 산북리 대둔산 수락계곡에 자생하고 있음이 처음 확인되었다. 식물체의 색깔은 녹색에서 암녹색이고 윤기가 난다. 줄기에는 중심속이 발달해 있다. 가지는 불규칙하고, 가지잎은 편평하게 붙는다. 잎은 난상 피침형으로 2.0~2.5 × 1.0~1.4 mm이며, 비대칭하는 것이 특징이다. 잎 중앙세포는 80~127 × 10~16 ㎛로서 형태는 장사방형이다. 본 연구에서 둥근대이끼의 형태학적 기재와 동정을 위한 주요 형태 형질의 사진, 도해 및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미기록종을 포함한 소요산의 선태류

  • 홍원식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권1호
    • /
    • pp.26-31
    • /
    • 1960
  • 1. Mt. Soyo is situated in the central part of Korea, approximately 37$^{\circ}$56'W. Latitude, 127$^{\circ}$4'N. Longitude. This mountain is about 530 meters above sea level, and consists mainly of granites. Above 200 meters the area is covered with oak trees (Quercus mongolica, Q. aliena) with a kind of Rhododendron (Rhododendron mucronulatum, R. schlippenbachii) as undergrowth. About 500 packets of bryophytes were collected by the writer in 1959. 2. The mosses collected in this region were of 68 species belonging to 51 genera. Those species may roughly be divided, as follows; 1) 15 species (22.1%) are distributed also in Europe and North America (Holarctic element). 2) 2 species (2.9%) occur also in Kamchatka and the Aleutians (North Pacific element). 3) 14 species (20.6%) are widely distributed every where (Cosmopolitan element). 4) 19 species (27.9%) occur also in the temperature region of the Far East (East Asiatic element). 5) 3 species (4.4%) occur also in Indomalaya and India (Tropical element). 6) 15 species (22.1%) are endemic to Japan and Korea. 3. The Hepaticae collected in this region are of 11 species belonging to 7 genera. Those may roughly be divided, as follows; 1) 4 species (36.4%) are distributed also in Europe and North America (Holarctc element). 2) 5 species (45.5%) occur also in the temperature region of the Far East (Asiatic element). 3) 1 species (9.1%) occur also in Indomlaya. 4) 1 species (9.1%) are endemic in Japan and Korea. 4. The species which are new to the flora of Korea are as follows; 1) Leucobryum glaucum (L.) Schimp. 2) Psedoleskeopsis dicurvata (Mitt.) Broth. 3) Thuidium delicatulum (Hedw.) Mitt. 4) Dolichotheca perrobustum (Broth.) Broth. 5) Brachiolejeunia sandvicensis (Gott). Evans. 6) Porella vernicosa Lindb. ssp. gracillina (Mitt.) Ando.

  • PDF

익산 미륵사지석탑의 생물침해 방지를 위한 보존처리제 적용실험-K201 생물처리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emical treatment of biodeterioration about stone pagoda of Iksan Mireuksaji-Focusing on bio-treatment using K201)

  • 양희제;정용재;김사덕;김광훈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24호
    • /
    • pp.81-98
    • /
    • 2003
  • The biodeterioration on Iksan Mireuksaji pagoda has been studied with fucus on application of K201 as a chemical treatment. Total of 39species, including 10 algae, 16 lichens, 6 mosses and 7 unidentified bacteria and fungi, were collected and identified on the surface of the pagoda. Most of them caused serious discoloration on the surface. The effectiveness and stability of K201 was examined by applying it on some part of the pagoda. A mild spraying of solution diluted to half of original reagent was good enough to eliminate all the deteriorating species on the surface. Most of discoloration disappeared after the treatment except the red color caused by iron subst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regent was compared with water wash. The stone was first washed with water and the dirt on the surface was scrubbed off from the surface. The initial surface of the stone was clearer in water wash. However, many of the deteriorating species reappear in 4 weeks after water wash. Although spraying of the reagent K201 could noteliminate all the remnant of dead organisms as good as scrubbing the surface, no deteriorating algae or lichen was observed until two month after treatment. Therefore, spraying method with chemicals seems more stable and reliable way to remove the biodeterioration than physical scrubbing of the surface.

  • PDF

한국자생 동충하초의 채집 및 자원보고 (Report on the Genus Cordyceps and Its Anamorphs Collected in Korea)

  • 남성희;정이연;홍인표;지상덕;황재삼;;한명세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8-30
    • /
    • 2005
  • 국내 자생 동충하초균의 발생환경과 그 발생빈도를 조사하고 수집된 표본의 형태적 특성에 의해 동정하였다. 국내 산지 19개소에서 1999년부터 2002년까지 수집된 동충하초는 5속 17종이었으며(Cordyceps gracilioides, C. japonica, C. longissima, C. martialis, C. militaris, C. myrmeopila, C. nutans, C. pruinosa, C. sphecocephala, C. tricentri, Hirsutella nutans, Paecilomyces cicadae, P. farinosus, P. tenuipes, paecilomyces sp., Shimizuomyces paradoxa, Tilachidiopsis nigra), 그 외 중국도입 C. sinensis균 특성ㄷ 추가조사하였다. 국내수집 균주는 계곡 및 저습지, 이끼지역, 활엽수림 등에 주고 분포하였으며, 제한된 조사지역과 채집시기에 비하여 다양한 종이 발견되었으나, 종별 채집 수는 10여 점으로서 발생빈도는 대체로 낮았다. 제주도는 내륙과 격리된 남쪽에 위치하므로 비교적 온난하며 한라산은 기후의 수직분포가 커서 종의 분포가 다양하며 특이한 것으로 평가된다. 수집종은 온도가 높고 습기가 많은 8월 초순에 많이 채집되었으며, C. nutans, C. militaris, P. tenuipes의 발생빈도가 현저히 높았고 그 중에서 C. nutans는 667념 중 65%로서 우점종이었다. Cordyceps는 숙주개체 당 1~2개의 자좌를 형성하며, 자낭각 배열과 이차포자 발달에는 종내 변이가 없으나, 자좌의 수, 형태, 색상 드은 발생환경 및 숙주에 따른 변이가 인정되었다.

진천태화4년명 마애불의 풍화훼손도 평가와 보존처리 (Conservational Treatment and Deterioration Assessment of the Sculptured Standing Buddha Named Taehwa 4 Year in the Jincheon, Korea)

  • 이찬희;김선덕;한병일;김영택;이명성
    • 보존과학회지
    • /
    • 제16권
    • /
    • pp.39-51
    • /
    • 2004
  • 진천태화4년명 마애불 입상은 암회색 셰일의 암벽에 선각되어 있으며 전면은 $N40^{\circ}W$의 주향과 거의 수직에 가까운 배면경사를 갖는다. 불상이 선각된 암반은 미세엽리와 층리가 발달되어 있으며 , 크고 작은 불연속면이 불규칙하게 분포한다. 마애불은 거의 전신에 걸쳐 박리와 박락된 부분이 많아 신체의 각 부분이 불분명하다. 마애불 주변에 분포하는 암석의 표면에는 지의류와 선태류의 오염이 심각하며 잡초와 수근이 암석의 기계적 및 생물학적 풍화작용을 가중시키고 있다. 보존처리를 위해 1차 건식세척과 증류수를 이용한 2차 습식세척을 실시하였다. 암석의 이탈부위와 균열부위는 석조문화재 보존처리용 고분자 화합물을 이용하여 충전 및 접착하였다. 박락이 발생하는 표면에는 에칠 실리케이트를 사용하여 발수경화처리를 하였으며 표면의 이질감이 발생하지 않도록 색 맞춤을 하였다. 마애불 상부의 비탈로부터 흘러내리는 우수를 제어하기 위해 배수로를 만들었다. 또한 주변의 수목 및 잡초를 제거하여 향후 지의류의 발생을 억제시켰다. 이 마애불은 다양한 요인의 표면풍화에 의해 석재 자체의 성능이 저하되어 있으므로, 장기적인 모니터링과 함께 종합적인 보존방안을 연구해야 할 것이다.

  • PDF

경주 분황사석탑의 풍화훼손도 평가와 보존과학적 진단 (Deterioration Assessment and Conservational Scientific Diagnosis of the Stone Pagoda in the Bunhwangsa temple, Gyeongju, Korea)

  • 이정은;이찬희;이명성
    • 보존과학회지
    • /
    • 제18권
    • /
    • pp.19-32
    • /
    • 2006
  • 경주 분황사석탑은 암석을 벽돌 모양으로 다듬어 쌓아올린 모전석탑으로서, 모전석을 이루는 암석은 주로 안산암질암이다. 전석은 부분적으로 모서리 마모와 균열이 발생되어 있으며 다중박리와 박락, 양파껍질과 같은 분해, 구열상 균열 및 암편상 탈락이 진행 중이다. 화강암질암으로 구성된 기단부와 동서남북 방향의 감실 및 인왕상은 지의류와 이끼류에 의한 피복오염이 심하며 부분적으로 암흑색 및 황갈색 이차 수화물에 의한 무기오염물도 관찰된다. 또한 강수의 침입에 의한 상대적 수분 유지시간이 긴 감실이나 북쪽 탑신 부분은 매우 습한 상태이다. 이런 부분에서는 방해석, 석고, 점토광물 등과 같은 수화성 이차광물과 염화물의 결정화에 의해 박리와 박락이 촉진되고 있다. 삼층 옥개석의 경우 탑의 전반적인 불균형으로 인해 부재의 균열 및 이탈이 발생되어 있어 전석의 교체와 보강이 필요하다. 동남쪽 사자상과 동북쪽 사자상은 알칼리 화강암이며 . 서남쪽 및 서북쪽 사자상은 암편질 응회암이다. 이 석탑의 총표면부재수는 9,708개이며 균열된 부재는 11.0%, 암편 탈락부재는 6.7%이며 이차적 오염물질이 피복된 부재는 전체의 7.0%에 달한다. 이 석탑은 환경변화와 물리적, 화학적 및 생물학적 요인의 표면풍화에 의해 석재 자체의 기능이 저하되어 있으므로 장기적인 모니터링과 함께 종합적인 보존방안을 연구해야할 것이다.

  • PDF

우리나라의 고기후 복원을 위한 습지 퇴적물의 안정동위원소 분석 가능성 연구 (The Applicability of Stable Isotope Analyses on Sediments to Reconstruct Korean Paleoclimate)

  • 박정재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77-494
    • /
    • 2008
  • 호수나 습지 퇴적물을 대상으로 동위원소분석을 실시하여 얻은 결과들은, 다양한 해석들을 통해 고기후를 복원하는데 일조할 수 있다. 호소퇴적물의 경우 보통 유기 무기 탄산염 등을 추출하여 산소 탄소 동위원소 분석을 실시하게 된다. 산소동위원소 분석은 과거의 기온과 습도 변화를 정량적 정성적으로 복원하는데 이용되며, 탄소동위원소 분석결과는 호수의 주위환경 변화나 인간의 영향 등을 파악하는데 유용하다. 그리고 고산습지의 피트 층에 존재하는 반부패상태의 물이끼는 탄소동위원소분석의 좋은 시료이며 기온, 대기 중 이산화탄소압 등 고기후 정보를 제공해준다. 해안의 염습지나 염하구 등의 습지지역에서는 육상기원의 유기물과 해상기원의 유기물이 서로 탄소동위원소비율값에서 차이를 보인다는 점을 이용하여 해수면 상승에 관한 연구를 할 수 있다. 또한 탄소동위원소비율이 상이한 C4 식물과 C3 식물이 염도에 따라 분포가 변한다는 점을 이용하여 몬순과 관련된 연구를 할 수도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까지 동위원소분석방법을 이용한 고환경 연구들이 활성화되어있지 않은 상태이며, 이는 연구방법에 대한 관심 부족과 국내에서는 적절한 시료 채취에 어려움이 존재한다는 점에 기인한다. 제주도의 하논, 무제치늪이나 용늪 같은 고산습지, 그리고 해안의 염습지 등에서 얻은 퇴적코어들에 동위원소 분석을 시행하면, 우리나라 고환경 연구에 도움이 되는 흥미로운 결과가 산출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