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saic

검색결과 1,220건 처리시간 0.032초

하전모자이크 막을 사용하여 중금속이온의 분리 (Separation of Heavy Metal Ions across Novel Mosaic Membrane)

  • 송명관;이장우;양원강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2005년도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96-101
    • /
    • 2005
  • A theory for the material transports through ion exchange membrane has been developed on the basis of nonequilibrium thermodynamics by removing the assumption of solvent flow in the previous paper and applied to a detailed study of the ionic transport properties of new charged mosaic membrane(CMM) system. The CMM having two different fixed charges in the polymer membrane indicated unique selective transport behavior then ion-exchange membrane. The separation behavior of ion transport across the CMM with a parallel array of positive and negative functional charges were investigated. It was well-known the analysis of the volume flux and solute flux based on nonequilibrium thermodynamics. Our suggests preferential salt transport across the charged mosaic membranes. Transport properties of heavy metal ions, $Mg^{2+}$, $Mn^{2+}$and sucrose system across the charged mosaic membrane were estimated. As a result, we were known metal salts transport depended largely on the CMM. The reflection coefficient indicated the negative value that suggested preferential material transport and was independent of charged mosaic membrane thickness.

  • PDF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Watermelon Isolate of Cucumber green mottle mosaic virus(CGMMV-HY1) from Watermelon Plants with Severe Mottle Mosaic Symptoms

  • Shim, Chang-Ki;Han, Ki-Soo;Lee, Jung-Han;Bae, Dong-Won;Kim, Dong-Kil;Kim, Hee-Kyu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1권2호
    • /
    • pp.167-171
    • /
    • 2005
  • We isolated the Cucumber green mottle mosaic virus(CGMMV) particles from watermelon leaves and designated as CGMMV-HY1 as a watermelon isolate and attempted to characterize the pathogenic isolate responsible for such an epidemic in watermelon and also to monitor dominant viral isolates in greenhouse. The watermelon plants infected with CGMMV generally showed mottle mosaic, mosaic, growth stunting, necrosis and deformed fruit. The reactions of indicator plants to CGMMV-HY1 were the local lesions on Nicotiana tabacum cv. White Burley, Nicotiana tabacum cv. Samsun, and Chenopodium amaranticola, and the mosaic symptoms only on Cucumis sativus, but the CGMMV-HY1 did not infect Nicotiana sylvesytis, Datura stramonium, Chenopodium quinoa, and Petunia hybrida. Purified virus particles were rod-shaped and about 300 nm long. The coat protein (CP) of purified CGMMV-HY1 was single band with molecular weight of about 16.5 kDa which was confirmed by western blot analysis probed with monoclonal antibody of CGMMV-HY1. The genomic and subgenomic RNAs of 6.4 kb and 0.75 kb were revealed by the electrophoresis on 1.2% formaldehydedenatured agarose gel. Viral and complementary CGMMV-specific primer sets were designed for spanning the genome using previously reported CGMMV sequences. A 464bp of CP gene of CGMMV-HY1 was amplified by RT-PCR and cloned into PGEM-T easy vector. The nucleotide sequence of CP gene of CGMMV-HY1 shared 98%, 99%, and 100% identities with that of CGMMV strains W, KOM, and KW respectively. Based on these results, we identified CGMMV-HY1 as a CGMMV isolate of watermelon, a member of Tobamovirus.

SIFT 기법을 이용한 AISA Eagle 초분광센서의 모자이크영상 생성 (Mosaic image generation of AISA Eagle hyperspectral sensor using SIFT method)

  • 한유경;김용일;한동엽;최재완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65-17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영상 정합기법 중 하나인 SIFT 기법을 이용하여, 고해상도의 초분광 스트립 영상에 대하여 높은 품질의 모자이크 영상을 생성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항공사진 촬영당시의 GPS/INS 정보를 이용하여 초기 기하보정된 AISA Eagle 초분광 영상에 대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세 개의 스트립으로 구성된 초분광 영상 간의 정합쌍을 추출하여 변환모델식을 구성하였고, 모자이크 영상을 생성하였다. 특히, 고품질의 초분광 모자이크 영상을 생성하기 위하여, 초분광 영상 내의 대표 밴드를 선정하고, 이를 이용한 영상 정합기법의 결과들을 분석하여 최적의 대표 밴드를 결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생성된 모자이크 영상의 위치 정확도를 비교 평가하기 위해서, GPS/INS 시스템으로 기하보정된 AISA Eagle 초분광 영상을 이용하여 생성한 모자이크 영상과의 시각적 비교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수행한 방법들의 효용성을 분석하였다.

Evaluation and Verification of Barley Genotypes with Known Genes for Resistance to Barley yellow mosaic virus and Barley mild mosaic virus Under Field Conditions in South Korea

  • Kim, Hong-Sik;Baek, Seong-Bum;Kim, Dea-Wook;Hwang, Jong-Jin;Kim, Si-Ju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7권4호
    • /
    • pp.324-332
    • /
    • 2011
  • Soil-borne barley yellow mosaic disease caused by Barley yellow mosaic virus (BaYMV) or Barley mild mosaic virus (BaMMV) gives a serious threat to the winter barley cultivated in the southern regions in Korea. It is important to develop resistant varieties for stable and high-yield production.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22 genotypes of exotic barley germplasms carrying the resistance genes rym1 through rym12, with the exception of rym10, and to determine the genes that confer resistance to BaYMV or BaMMV in Korea. Using the traditional visual scoring of symptoms at 4 locations over 3 years, average disease rate values differed (P < 0.001) among the genotypes. ELISA test revealed the presence of both BaYMV and BaMMV in all of the field sites but Jinju and significantly different rates of infection among genotypes and years. Barley genotypes differed in how virus quantities and pathogen-induced symptoms were correlated, especially in response to BaYMV. Disease incidence was affected by the climatic conditions present during the early growing stage before overwintering. A Chinese landrace, 'Mokusekko 3', carrying rym1 and rym5 was comparatively resistant at all locations studied. The barley genotypes carrying either rym6 or rym9 were susceptible to the viral strains. The genotypes carrying rym5 were resistant in Jinju and Milyang but susceptible in Iksan and Naju. The resistance genes rym2 and rym3 were effective in local strains and would be potent contributors to disease resistance.

동심원 모자이크 영상 표현을 위한 Lifting을 이용한 3차원 웨이브렛 압축 (3-D Wavelet Compression with Lifting Scheme for Rendering Concentric Mosaic Image)

  • 장선봉;지인호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64-173
    • /
    • 2006
  • 동심원 모자이크 데이터 구조는 천천히 움직이는 카메라를 통해 얻는 비디오 시퀸스의 구조와 유사하다. 동심원 모자이크는 이러한 구조의 데이터들을 정렬하거나 합쳐서 모자이크 영상을 얻게 된다. 따라서 동심원 모자이크는 엄청나게 많은 양의 데이터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압축은 필수적이다. 따라서 압축 데이터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특정 장면을 복호화 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동심원 모자이크의 압축을 위하여 3차원 리프팅 변환을 사용하였다. 리프팅 변환은 웨이브렛의 장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연산량과 메모리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3차원으로 변환된 압축 비트 스트림은 프레임들 사이에 복잡한 연관성을 갖게 되어 특정 장면의 검출에 대한 복잡도가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비교적 우수한 압축 성능을 가지면서 특정 장면의 검출에 대한 복잡도를 낮추기 위해 3차원 변환된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압축하였다 압축은 가변적인 비트율을 사용하여 압축된다. 또한 리프팅 구조의 특징을 사용하여 압축 데이터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특정한 장면을 복호화 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박과 작물에 발생하는 Watermelon Mosaic Virus에 관한 연구 (Incidence of Watermelon Mosaic Virus in Cucurbits)

  • 이순형;이기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91-195
    • /
    • 1981
  • 모자익병징을 나타내는 호박, 박, 오이, 참외, 수박의 박과작물에서 Watermelon Mosaic Virus(WMV)를 분리동정하였다. 이병주로 부터 분리된 WMV는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Sulzer)에 의해 쉽게 충매전염되었고 종자전염은 되지 않았다. 지표식물검정결과 명아주에서는 접종엽에 대형의 국부병반이, 호박, 박, 오이, 참외, 수박에서는 접종상엽에서 모자익병반이 나타났고 담배(Nicotiana tabacum, Bright yellow), 담배 (Nicotanan glutinosa), 동부, 페추니아, 독말풀에서는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다. WMV isolate의 물리적 성질은 내열성 $55\~65^{\circ}C$, 내희석성 $10^{-4}\~10^{-5}$배, 내보존성 $7\~8$일간이었다. WMV isolate의 항혈청반응은 미량침강법에서 양성으로 나타났고 바이러스립자의 형태는 전자현미경검경결과 대부분이 750nm의 사상입자이었다. 이상의 시험결과로 박과 작물에서 분리한 바이러스가 WMV 임이 확인되었다.

  • PDF

국내 토끼풀에서 분리한 Cucumber mosaic virus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Cucumber mosaic virus Isolated from Trifolium repens in Korea)

  • 박태선;최국선;홍진성
    • 식물병연구
    • /
    • 제22권1호
    • /
    • pp.55-58
    • /
    • 2016
  • 고추포장 주변의 모자이크 및 기형의 병징을 보이는 토끼풀에서 CMV를 분리하여 CMV-Tr1으로 명명하였다. 토끼풀로부터 RT-PCR, PCR-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및 외피단백질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CMV를 동정하였다. 기주식물 반응결과 N. benthamiana를 포함한 5종의 담배와 오이, 꽈리 및 토마토의 상엽에서 모자이크 병징을 나타내었고, 명아주와 동부에서는 접종엽에 국부괴사 병반을 나타냈다. CMV-Tr1의 외피단백질을 CMV-As와 비교한 결과 99.5%의 상동성을 보였으며, 계통분석 결과 CMV subgroup IB에 속하는 CMV의 한 계통으로 확인되었다.

국내 초석잠에 복합 감염된 3종 바이러스의 분리 및 동정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a Mixed Infection of Three Viruses in Chinese Artichoke in Korea)

  • 김은경;유재원;박지수;민동주;박석현;홍진성
    • 식물병연구
    • /
    • 제24권1호
    • /
    • pp.81-85
    • /
    • 2018
  • 2016년 충북 충주에서 모자이크 병징을 보이는 초석잠을 채집하였다. 담배와 명아주에 즙액접종을 실시한 결과 담배에서 접종엽에 괴사반점이 나타나고 명아주 2종에서 상엽에 퇴록반점을 동반한 모자이크 병징이 관찰되었다. 기주반응과 결과를 통해 여러 바이러스의 복합감염을 추정할 수 있었고, 추정되는 바이러스의 확인을 위해 속특이 및 종특이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RT-PCR을 수행하여 3종의 바이러스(AMV, CMV, TMV)를 검정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초석잠에서 3종의 바이러스 감염을 확인하였고 CMV의 감염에 대한 첫 보고이다.

MPEG 압축 정보를 이용한 모자이크 구성 (A Composition of Mosaic Images based on MPEG Compressed Information)

  • 설정규;이승희;이준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1C호
    • /
    • pp.47-55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압축된 MPEG2 비디오 스트림이 포함하고 있는 정보들을 이용하여 카메라의 움직임에 따른 연속적인 프래임의 변위를 추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모자이크 이미지를 구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MPEG의 매크로 블록 단위의 움직임 벡터로부터 근사적인 광 플로우(Optical Row)를 구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팬(Pan), 틸트(Tilt) 등의 카메라 동작에 따른 프래임의 변위량을 추출한다. 추정된 변위량은 모자이크 이미지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연속되는 비디오 프래임의 기하학적인 변환을 결정한다. 본 논문의 모자이크 구성은 Nicolas가 제안한 분석적 가중치 등을 이용한 혼합(blending) 방법을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분석적인 가중치를 이용한 혼합방법은 평균이나 미디안에 의한 혼합방법보다 배경의 급격한 변화가 적으며 비디오 프래임의 정보를 충실히 활용함을 알 수 있었다. 구성된 모자이크는 압축정보를 디코딩하고 정확한 광플로우를 구성하는 방식에 비해 부호화 과정에 포함된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매크로 블록 단위의 근사적인 광플로우를 이용하기 때문에 계산량을 줄일 수 있다. 구성된 근사적인 모자이크는 비디오의 정보를 요약하고 있기 때문에 압축된 비디오 검색을 위한 대표 프레임 등에 사용될 수 있다.

First Report of Cucumber mosaic virus Isolated from Wild Vigna angularis var. nipponensis in Korea

  • Kim, Mi-Kyeong;Jeong, Rae-Dong;Kwak, Hae-Ryun;Lee, Su-Heon;Kim, Jeong-Soo;Kim, Kook-Hyung;Cha, Byeongjin;Choi, Hong-So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0권2호
    • /
    • pp.200-207
    • /
    • 2014
  • A viral disease causing severe mosaic, necrotic, and yellow symptoms on Vigna angularis var. nipponensis was prevalent around Suwon area in Korea. The causal virus was characterized as Cucumber mosaic virus (CMV) on the basis of biological and nucleotide sequence properties of RNAs 1, 2 and 3 and named as CMV-wVa. CMV-wVa isolate caused mosaic symptoms on indicator plants, Nicotiana tabacum cv. Xanthi-nc, Petunia hybrida, and Cucumis sativus. Strikingly, CMV-wVa induced severe mosaic and malformation on Cucurbita pepo, and Solanum lycopersicum. Moreover, it caused necrotic or mosaic symptoms on V. angularis and V. radiate of Fabaceae. Symptoms of necrotic local or pin point were observed on inoculated leaves of V. unguiculata, Vicia fava, Pisum sativum and Phaseolus vulgaris. However, CMV-wVa isolate failed to infect in Glycine max cvs. 'Sorok', 'Sodam' and 'Somyeong'. To assess genetic variation between CMV-wVa and the other known CMV isolates, phylogenetic analysis using 16 complete nucleotide sequences of CMV RNA1, RNA2, and RNA3 including CMV-wVa was performed. CMV-wVa was more closely related to CMV isolates belonging to CMV subgroup I showing about 85.1-100% nucleotide sequences identity to those of subgroup I isolates. This is the first report of CMV as the causal virus infecting wild Vigna angularis var. nipponensis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