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on Phases

검색결과 298건 처리시간 0.036초

새로운 달 위상 모형의 개발과 그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New Model of Moon Phases)

  • 채동현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7권4호
    • /
    • pp.385-398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달 위상 변화 모형이 예비 초등 교사들의 개념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자는 연구 참여에 동의한 2명의 예비 초등 교사들과의 사전 면담 직후에 달 위상 변화 모형을 이용한 수업을 실시하였다. 한 달 뒤 사전면담 내용과 똑같은 내용은 '달 모양을 그림으로 그려 설명해 보세요.', '달 모양에 따른 태양, 지구, 달의 위치관계를 그림으로 그려 설명해 보세요.', '달의 위상 변화 원인을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달이 한 쪽 면만 보이는 이유를 그림을 그려 설명해 보세요.'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달 위상 변화 모형을 이용한 수업은 태양, 지구, 달을 평면이 아닌 입체적으로 생각하도록 하여 달의 모양이 지구의 그림자 때문이라는 오개념을 바꾸는데 도움을 주었다. 둘째, 달 위상 변화 모형을 이용한 수업은 예비 초등 교사들로 하여금 달의 모양에 따른 태양, 지구, 달의 위치관계를 바르게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셋째, 달 위상 변화 모형을 이용한 수업은 예비 초등 교사들에게 달 위상 변화 원인에 대한 과학적 개념을 형성하게 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넷째, 달이 한쪽 면만 보이는 이유에 대한 학습은 달 위상 변화 모형을 이용하여 설명하기에는 부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연구자는 본 모형이 가진 한계점을 인식하고 좌표계에 대한 명확한 구분과 이해를 바탕으로 달 위상 변화 모형을 수업에 이용할 경우, 학습자의 공간지각력 향상 및 달의 위상 변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 PDF

중학교 3학년 과학 교과서의 '달의 위상변화' 문제점 분석 (An Analysis of 'The Phases of the Moon', Contents of 9th Grade Science Textbook)

  • 채동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8호
    • /
    • pp.874-885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달의 위상변화를 다룬 중학교 3학년 과학 교과서 6종의 삽화, 내용, 실험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달의 위상변화에 대한 교과서 삽화, 내용, 실험의 일관성 있는 새로운 구성을 제안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교과서 삽화가 달의 위상변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가?', '교과서 내용이 달의 위상변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가?', '교과서 실험이 달의 위상변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가?', '교과서 삽화, 내용, 실험이 일관성 있게 달의 위상변화를 설명하고 있는가?'를 연구문제로 선정하였다. 연구자를 포함해 교육대학원생 10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연구 참여자 모두의 의견이 일치된 내용만을 연구결과에 반영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달의 위상변화와 관련된 교과서 삽화에 우주관찰자 관점, 지구관찰자 관점이 혼재되어 나타나 있었다. 또한 일부 교과서 삽화에서는 '일출', '일몰' 등의 단어를 함께 제시하고 있어 너무 많은 내용을 하나의 삽화에 제시하고 있다. 둘째, 달의 위상변화와 관련된 교과서 내용이 불명확하게 진술되어 있었다. 특히 달의 위상변화 원인에 대한 명확하고 자세한 설명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셋째, 한 교과서를 제외한 나머지 다섯 교과서에서 달의 위상변화와 관련된 실험을 지구관찰자 관점에서 다루고 있었지만, 지구관찰자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을 하고 있지 않았다. 넷째, 교과서 삽화, 내용, 실험이 일관성 있게 달의 위상변화를 설명하고 있지 못했다.

달의 위상 작도 모듈 활용 수업에 의한 고등학생들의 달의 위상 개념 변화 (High School Students' Conceptual Change of the Lunar Phases on Instyuction Using the Lunar Phases Drawing Module)

  • 김종희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53-363
    • /
    • 2006
  • 이 연구는 달의 위상 작도 모듈을 활용한 수업이 고등학생들의 달의 위상 개념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고등학교 2학년 46명을 대상으로 달의 위상 작도 모듈을 활용한 수업을 실시하여 학습자의 인지구조 내에서 일어나는 개념 변화를 면담을 통하여 살펴보았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업 전에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달의 위상 개념에 대한 오개념 유형은 지구의 그림자가 달을 가린다는 S 유형, 위치 관계에 따라 지구의 그림자가 달을 가린다거나 관측자가 햇빛을 반사하는 달의 부분을 보기 때문이라는 과학 개념을 함께 가지는 SR 유형, 위치 관계에 따라 지구의 그림자가 달을 가리거나 주위 배경의 밝기에 따라 보이기도 하고 보이지 않을 수도 있다는 SB 유형, 지금까지 언급한 모든 경우로써 각 위치의 달의 위상을 설명하는 SRB 유형이 있었다. 모듈을 활용한 수업을 실시한 결과로는 수업 전 오개념을 가지고 있던 36명 중 26명이 과학 개념을 형성한 반면, 수업 후에도 과학 개념을 형성하지 못한 학생이 10명이었다. S 유형 11명 중 7명이, SR 유형 17명 중 3명이 과학 개념을 형성하지 못하였다. 특히 S 유형의 학생들은 지구의 그림자에 의해 달의 위상이 변할 것이라는 기존 개념을 쉽게 바꾸지 못하였는데, 이는 그들의 선개념이 너무 견고하였거나, 제공한 모듈에서 제시하는 위상 결정 방법이 그 학생들에게는 선개념 체계보다 문제 해결에 있어 보다 유익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로부터 학생들의 선개념은 수업에 의해 쉽게 과학 개념으로 변화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소집단 역할놀이와 토의를 통한 고등학생들의 천문개념 이해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Astronomical Concepts Using the Role-playing and Discussion in Small Groups)

  • 정남식;우종옥;정진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1-76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conceptual change prescribed by Posner et al(1982) to the astronomic content domain taught in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knowledge revealed in the test before, during and after the instruction. Also, it was to investigate the intercorrelation of cognitive levels, spatial ability and science achievement.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Students had a great variety of misconceptions related to the motion of the moon before the instruction, that is, the phases, the names of phases and the cause of changing phases by the moon's orbit about the earth, the moon's appearance and location at the given time, the relative positions of earth, moon and sun during a lunar eclipse, the cause that a full moon is not at the line of node once a month. In the analysis of students' responses concerning the cause of changing phases of the moon and a lunar eclipse,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great majority of students had rote learning rather than meaningful learning in the middle school. 2. Students' reponses during the instruction concerning the changing phases of the moon and the predictive knowledge about the motions of the earth and the moon were analyzed. 1)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test given before and after experiment, after discussion, achievement score of the whole of subjects and groups in both preformal and formal cognitive levels appeared to increase linearly. 2)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achievement scores before and after experiment, after discussion between preformal group and formal group in cognitive levels. 3. Distribution of achievement scores according to the whole of subjects and groups in preformal and formal cognitive levels shows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4. Types of conceptual changes concerning the cause of changing phases of the moon that occurred from pretest to posttest were classified as accommodation, incomplete accommodation, assimilation, no change and no model. Six of the seven students starting instruction with alternative frameworks didn't sustain those alternative models throughout instruction. Five of these six students accommodated completely and the last one partially. Seventy-nine percentage of students taking instruction with fragmental models assimilated correct propositions at the end of the instru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nceptual change model prescribed by Posner et al(1982) has promised the meaningful learning to students taking with fragmental models, especially in cases where students with misconception enter instruction. 5. High correlation between achievement score of simple-recall items and that of written items in pretest and posttest indicates that the higher students got the score in simple-recall items the better they also performed in written items.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cognitive levels, spatial ability and science achievement in the whole of subjects and groups according to the cognitive levels.

  • PDF

달의 위상변화 원인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논증과 개념 분석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guments on Causes of Phases of the Moon and Concept Analysis)

  • 김영대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61-172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논증 글을 통해 달의 위상변화 원인에 대해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개념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달 위상변화 원인에 대한 대표적인 대안개념을 포함한 5가지 설명 중 옳은 것을 선택하고 근거를 서술하도록 하는 논증 과제를 투입하였으며, 학생들의 개념 선택과 근거의 TAP 구조 및 하위 개념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생들은 달의 위상변화 원인뿐만 아니라 관련 개념에서도 다양한 대안개념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의 70.5%가 불완전한 논증 구조를 보였으며, 대안개념의 유형에 따라 주로 나타나는 오류 유형이 다르다는 특징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학생들이 지닌 선개념 점검의 중요성과 논증활동의 필요성, 대안개념의 유형에 따른 적절한 교육적 처방의 필요성을 나타낸다.

달 위상 변화의 시각화 자료에서 SBF 질문에 따른 예비교사와 초등학생의 시선 이동 차이 (The Differences in Eye Movement of Pre-service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BF Question about a Visual Material of the Change on the Lunar Phases)

  • 고민석;양일호;김오범;임성만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3권2호
    • /
    • pp.273-285
    • /
    • 2014
  •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ye movements of pre-service teachers and elementary students about a visual material of the change on the lunar phases. Eye-Tracker was used for analysis for eye-fixation time and eye movement at the structure, behavior, function question on the visual materia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re-service teacher checked the visual materials from a holistic perspective depending on the function questions and fixed eye-fixation on the moon of the behavior question concerned. On the contrary, elementary school student only checked function of the moon located in the upper part and eye-fixation focus was spread here and there regardless of the questions. Second, the pre-service teacher gazed at the sun, earth and moon in a consecutive order depending on the questions to identify their spatial relations and checked location of the moon related to the question. On the contrary,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 did not view relations between earth, sun and moon from a spatial perspective.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pre-service teacher conjures up the mechanism of the change on the lunar phases and confirms it in visual materials by visualizing change on the lunar phase model from earth's point of view while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 fails to take advantage of visual materials to visualize it from earth's point of view.

예비 초등 교사들이 달 관측 활동에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교수법적 제안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Difficulties in Moon Observations and Their Pedagogical Suggestions)

  • 오필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6권4호
    • /
    • pp.447-460
    • /
    • 2017
  • This study asked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o conduct an inquiry of observing the moon, and analyzed the phenomena observed, difficulties experienced, and pedagogical suggestions by the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nts were 31 under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a science course in a university of education. As a part of the course, the preservice teachers observed the moon for about a month and completed personal journals which described the phenomena they observed, difficulties they experienced, and the pedagogical suggestions to help elementary students conduct the same inquiry activity. The analysis of the journals revealed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observed the moon mostly during the evening or night and that they noticed lunar phases, directions, altitudes, and color and brightness more frequently than other phenomena. The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d difficulties related to the observation time, lunar phases, directions, and altitudes, and, reflecting on their own experiences, suggested a variety of pedagogical ideas about these difficulties. The pedagogical suggestions by the preservice teachers also included how to help elementary students keep their interest and perform the moon observation for a rather long period of time. Implications for moon investigations in the elementary school science classroom and relevant research were discussed.

순간 및 연속 추력을 이용한 지구-달 최적 전이궤도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ptimal Earth-Moon Transfer Orbit Design Using Mixed Impulsive and Continuous Thrust)

  • 노태수;전경언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8권7호
    • /
    • pp.684-692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지구-달 천이를 위한 최적 궤도 설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지구와 달의 인력을 동시에 고려한 평면상 제한 3체 궤도 운동 모델을 바탕으로 지구 출발시에는 순간 추력을, 지구-달 천이 과정 및 달 임무궤도 투입시에는 연속 추력을 사용하는 혼합형 궤도전이 방법을 제시하였다. 최적화 풀이 방법으로서 Direct Transcription 및 Collocation을 이용한 비선형 프로그래밍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지구 출발 및 달 임무궤도 투입 궤적의 형상은 순간 추력의 연속 추력에 대한 상대 가중치 및 비행시간에 의하여 매우 달라질 수 있음을 파악하였다.

Electrodeposition of Copper on AZ91 Mg Alloy in Cyanide Solution

  • Nguyen, Van Phuong;Park, Min-Sik;Yim, Chang Dong;You, Bong Sun;Moon, Sungmo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38-244
    • /
    • 2016
  • Copper electrodeposition on AZ91 Mg alloy was studied in views of preferential deposition on ${\alpha}$- or ${\beta}$- phases and how to achieve uniform deposition over the entire surface on ${\alpha}$- and ${\beta}$-phases in a cyanide solution. The inhomogeneous microstructure of AZ91 Mg alloy, particularly ${\alpha}$- and ${\beta}$-phases, was found to result in non-uniform deposition of zincate layer, preferential deposition of zincate on ${\beta}$-phases, which leads to non-uniform growth of copper layer during the following electrodeposition process. The preferential depositions of zincate can be attributed to higher cathodic polarizations on the ${\beta}$-phases. Pin-hole defects in the copper electrodeposit were observed at the center of large size ${\beta}$-phase particles which is ascribed to gas bubbles formed at the ${\beta}$-phases. The activation of AZ91 Mg alloy in hydrofluoric acid solution was used to obtain uniform growth of zincate layer on both the ${\alpha}$- and ${\beta}$-phases. By choosing an optimum activation time, a uniform zincate layer was obtained on the AZ91 Mg alloy surface and thereby uniform growth of copper was obtained in a cyanide copper electroplating solution.

SRM의 진동소음 저감을 위한 2권선 여자방식 (2-phase Excitation Method for Reducing Vibration and Noise of an SRM)

  • 최기영;안진우;황영문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학회본부 A
    • /
    • pp.76-78
    • /
    • 1999
  • In this paper, the 2-phase excitation method is proposed to reduce vibration and noise. This excitation method produces reluctance torque by mutual action between two phases as well as conventional-reluctance torque due to two phases excitation at a time. The vibration and acoustic noise is reduced thought the sequential phase excitation. This is because that the scheme reduces abrupt change of excitation level by distributed. balanced excit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