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dern Dance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22초

공감각적 미장센의 글로벌 무대미학: 연출가 양정웅 (YANG, Jung-Ung: A Global Stylist of the Theatrical Aesthetics)

  • 장은수
    • 한국연극학
    • /
    • 제48호
    • /
    • pp.359-38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theatrical aesthetics of the performances which was produced by the theater director, Yang Jung-Ung. Yang has been one of the most influential directors working in Korea in the last 15 years. He has put up performances all over the world with the theater members from his company called Yohangza, which was founded by him in 1997, and working as the director, portrayed his style of the theatrical aesthetics through the works of its plays and musical products. In 2012, this company performed A Midsummer Night's Dream at Shakespeare's Globe Theatre. A Midsummer Night's Dream was invited to be staged at the Barbican Center in 2006. In the same year, it received the grand prize and the Audience Choice award at the Gdansk International Shakespeare Festival in Poland. The musical products like A Good Woman from Seoul and the modern Opera Wozeck are representative works of Yohangza, which are known for a unique way of exploring the meaning of life. The 2009 plays Hamlet and Peer Gynt represent Yohangza's simpler yet more insightful theatrical style. Peer Gynt, which debuted at the LG Art Center, made headlines for its innovative staging. It received the grand prix, Best Director and Best Stage Art awards at the 2009 Korea Theater Awards. Yohangza's plays show two-side "image-based" works. The company drastically reduced verbal lines and enriched the plays with Korean sentiment and aesthetics, but their scripts contained many poetic lines full of overtones. They showed a theatrical mise-en-scene of images, energetic dance, songs in chorus and percussion. For example, Korean sentiments were subtly blended into the two Shakespeare's plays, A Midsummer Night's Dream and Twelfth Nights. Their performance combines music, mime, song and dance to create an exhilarating adaptation of Shakespeare's inventive and glittering comedy. In addition, the style of Yohangza Theatre Company is a collision of the past and the present: a reworking of existing Korean styles and themes infused with contemporary elements and full of unique exploration in the plays.

무용공간의 새로운 공간 탐색 ; 극장과 미술관의 공간 연구 (A New Search for Dance Space ; A comparative Study of Spaces between Theaters and Museums)

  • 박성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44-57
    • /
    • 2019
  • 극장 공연에서의 무용 공연은 텍스트 중심으로 진행되어 플롯이 존재하고 캐릭터가 부각된다. 또한 극장 공연에서의 무용 공연은 표현력과 테크닉이 강조되는가 하면 공간에 대한 인식 역시 매우 근대적이며 이분법적인 데카르트적 사고의 전형을 보인다. 미술관이라는 공간 역시 극장 공간과 동일하게 근대적 산물의 공간인 동시에 예술이 도래하는 권위를 부여받았다는 점에서는 많은 유사점을 가지고 있는 공간이다. 미술관은 재현(Representation)에 목적을 두는 것이 아닌 현존(Presence)에 더한 가치를 두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 들어 빈번하게 소개되는 미술관에서의 작업들은 장소특정적이거나 수행적 개념의 작업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제는 미술관도 작품으로 규정된 미학에서 얻을 수 있는 것보다도 지금, 여기에서 발생되는 사건으로의 퍼포먼스에 주목하면서 미술관 스스로의 미학적 생산과 당위성을 보장받고 있는 셈이다.

현대 패션에 나타난 앤드로지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drogynous Expressed in Contemporary Fashion)

  • 김경옥;금기숙
    • 복식
    • /
    • 제36권
    • /
    • pp.239-262
    • /
    • 1998
  • The pursuit of freedom by the individual--desire to be liberated from all forms of restrictions-- is one of the defining character-istic of the modern society. As costume is, in part, a product of the spirit of the times, it was only natural that this desire for freedom would find its expression in modern costume as well. Among various forms of restrictions, differentiaton by sex has placed one of the most significant binding influences on individual behavior. From early times, the dichotomous division by sex was incorporated into the disign of costume, and the traditional differestriction of costume by sex imposed a significant restriction on the background,“the modern androhynous look”was born as a by-product of the sexual liberation movement in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based on the concept of the individual as a complete human being rather than as a member exclusively of either the male or the female sex. This paper seeks to examine the androgynous look within a coherent theoretical frame-work, and explore new design possibilities by analyzing and understanding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the androgynous look. In addition, this paper seeks to define the functional aspects of the androgynous look based on the premise that costume is an embodiment of the spirit of the times. As for research methodology, both theoretical and historical methods are employed. Through a theoretical examination of historical documents, the meaning of the androgynous look is explored from various angles, and order to examine its place in modern fashion, an-drogynous styles are categorized and system atically analyzed. The main findings of the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Androgyny is a compound word consisting of“andro-”(meaning man) and“gyn-”(meaning woman). In modern times, this word has been associated with the socio-cultural aspect of gender rather than the physical or physiological aspect with the psh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male and female sexes. Androgynous styles also appear in fashion and general arts such as drama, film, dance, and music. In fashion, the androgynous look, represented by the visual superimposition of “masculine”and “faminine”elements, has emerged as a major element of the 20th-century costume, and has gained broad acceptance among those free spirits wishing to be liberated from the conventional conceptions of male clothing, and the unisex look. 3. The androgynous look in modern fashion reflects the spirit of the 20th century society and culture, and performs various functions as follows : expression of fun, change in gender roles, expression of the inner consciousness, and pursuit of the ideal human type.

  • PDF

한성준을 통해 본 재인 계통춤의 무용사적 가치 연구 (A Study on Dance Historical Value of Jaein Line Dance by Han Seong-jun)

  • 정성숙
    • 공연문화연구
    • /
    • 제19호
    • /
    • pp.347-378
    • /
    • 2009
  • 재인청 출신 및 재인계통 예능인들은 전통사회에서 근대사회로의 이행기에 커다란 족적을 남겼으며, 오늘날 한국의 대표적 전통춤으로 자리매김하면서 한국창작의 모태가 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용학계에서는 재인계통의 춤에 대한 관심이 미흡했으며 전통춤에 대한 연구도 기방계통 춤에만 편중되어, 재인계통 춤의 연구는 단편적이거나 개별적인 연구에 그쳤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재인계통 춤의 대표격이라 할 수 있는 한성준을 통해 재인계통 춤을 분석하고 그 무용사적 가치를 분석하는데 있다. 한성준(韓成俊: 1874-1942)은 일제강점기를 경유한 재인으로, 무계(巫系)와 재인청(才人廳) 출신의 집안 내력을 갖고 있으며, 중부권을 중심으로 전승된 경향류1) 춤 맥을 계승하였으며, 속칭 '화랭이(花郞)'이기도 했던그는 명고수, 명무로 한 시대를 풍미한 전통춤의 대부이다. 그는 전통춤 근대화에 독보적인 역할을 담당하여, 전통춤을 재구성, 집대성, 무대 양식화하여 자율성을 확립하였으며, 승무를 비롯한 다양한 민속춤들이 전승체계를 갖추어 오늘의 전통춤이 되었고 또한 창작춤 소재의 근원이 되었다. 한성준이 전승한 재인계통 춤의 무용사적 가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한국문화를 대표하는 전통예술의 반열에 올라 있으며, 세계에 보여 줄 수 있는 가장 한국적인 전통문화재가 되었다. 둘째, 그 밖의 다양한 민속춤과 창작춤과 함께 한국춤의 한 장르로 위상이 확립되어 후학들의 학문적 탐구의 소재가 되고 있다. 셋째, 현대화와 시대변천에 따라 사라져가던 전통춤 부흥에 대표적인 사례가 되어 민족정체성 발견과 주체성의 위상을 확립하고 전통춤 발굴과 전승에 기여하였다. 넷째, 수많은 무용인들이 그의 춤을 전승하는 전통춤보존회를 조직하여 전수활동을 통해 많은 이수자를 배출하고 보급하고 있으며, 전통춤을 애호하는 관객들에게 향수 할 수 있는 공연 레퍼토리가 되고 있다. 또한 재인계통의 한성준의 춤은 한국창작의 지평확산에 초석으로서 다음과 같은 가치를 발견 할 수 있다. 첫째, 창작의 새로운 방법론을 모색함에 있어서 근원을 전통에서 찾아 재발견하는데 견인차 역할을 했으며, 주제표현에 있어 전통춤에서 가져옴으로서 민족주의적 정체성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둘째, 전통춤 소재를 활용해서 동작 요소를 가져와 몸짓언어로 확장시킴으로써 현대 무용과 같이 장르의 파격적인 해체에 기여하였다. 셋째, 도전적인 새로운 접근으로 전통을 재창조하려는 지평을 마련하였고, 나아가 소박한 우리춤의 근원으로 전통주의적 미학을 지향하는 데에도 기여하였다. 이상과 같은 무용사적 가치를 지닌 재인계통의 전통춤이지만 드러난 문제점은 한성준류 춤의 이원화된 전승과 전승자에 따른 각기 다른 전승 양상은 전통의 다양한 전승이라는 측면에서는 수긍이 가나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그리고 나머지 한성준류 춤에 대한 복원과 무형문화재 지정 등을 통해 어려웠던 시대적 상황 속에서도 우리의 춤을 지키고 견인한 재인들의 예술혼이 담긴 재인계통의 전통춤이 탄탄한 줄기로 계승될 수 있도록 정책적인 배려가 요망된다.

봉수당진찬(奉壽堂進饌)의 무대와 공연 요소 분석 (Analysis of the Stage and Performance Elements for Bongsudang-jinchan Banquet in Joseon Dynasty)

  • 송혜진
    • 공연문화연구
    • /
    • 제18호
    • /
    • pp.413-444
    • /
    • 2009
  • 본고에서는 1795년 화성 행궁에서 정조의 어머니 혜경궁 홍씨의 회갑을 맞아 열린 봉수당진찬의 의례와 악무를 "원행을묘정리의궤(園行乙卯整理儀軌)" 및 "정조실록", "홍재전서(弘齋全書)"등의 봉수당진찬 의례기록과 <화성능행도병>등의 도상자료, 일기체의 한글가사 작품인 이희평(李羲平)의 <화성일기(華城日記)>등의 자료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무대와 공연요소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잔치의 주인공에게 충(忠)과 효(孝)의 의미를 담은 음악과 춤, 꽃과 음식, 술과 글을 예를 갖춰 올리는 궁중연향은 예악(禮樂)의 원리에 바탕을 둔 국가의례로서 조선왕조 500년 동안 고유한 음악문화를 형성해왔다. 그러나 조선왕조가 막을 내리면서 '예'라는 상징적이며 총체적인 틀 안에서 상호 유기적인 관계에 놓여있던 연례의 음악과 춤들이 개별 악곡과 춤으로 해체되어 '작품화'되었고. 궁중음악과 춤의 철학이나 원리, 시공간에 대한 이해는 현저히 축소된 채, 음악과 춤의 전통은 형식과 예술적 표현 중심으로 변화해왔다. 1990년대 이후, 궁중의례 전통의 재현(再現)을 목적에 둔 연구와 행사가 추진되면서, 이와 연관된 공연예술 활동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봉수당진찬은 다양한 방식으로 현대무대화 하고 있다. 그러나 원전(原典)의 재현(再現) 및 복원(復原) 문제, 완성도 및 예술성에 대한 문제는 과제로 남아있으며, 지금까지는 "원행을묘정리의궤"에 수록된 의주의 외형적 재현에 관심을 두었을 뿐, 무대조건이나 공연요소에 중점을 둔 심도있는 분석은 부족하였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무대구성과 공연요소 중심으로 분석해 본 결과, 조선시대 궁중연향 중에서 유일하게 '행궁'에서 개최된 봉수당진찬은 '예악의 정치'를 의례와 악무로 구현하는 궁중연향의 기본적인 면모를 보여주면서도 '군신동락(君臣同樂)'의 친화의 비중이 높은 연향이었음을 밝혔다. 내연과 외연의 성격이 섞인 봉수당진찬에서는 가림막을 최소화하여 신분의 차서(次序)와 남녀유별(男女有別)의 원리를 충족시키면서도 삼면에 둘러친 휘장 안에 외빈의 자리를 마련함으로써 술과 음식, 음악과 춤을 다 같이 공유하도록 배치되었다. 또한, 연향공간의 상징성을 내포한 차일을 백관들의 공간에 치고, 임금이 솔선하여 선찬(膳饌)과 산화(散華)를 명함으로써 군신동연(君臣同宴)의 의미와 범위를 확장시킨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봉수당진찬이 '예악의 원리'가 강하게 드러나는 여느 궁중 연향에 비해 '정(情)'을 나누는 화친(和親)에 기반을 두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봉수당진찬에서는 여느 내연에서보다 임금의 역할과 비중이 높았으며, 특히 의주 외의 기록으로 전하는 여러 가지 상황 - 7작 이후에 정조가 신하들을 가까이 불러 나눈 대화, 신하들에게 음식과 꽃을 내림, 잔치를 주제로 직접 시를 짓고, 신하들에게도 이에 화답하게 한 일 등-은 의주에 따른 단선적인 연향의 진행에 변화를 주고, 연향의 의미를 확장시키는데 한 몫 하였다. 이밖에, 봉수당진찬의 주악과 정재의 구성을 분석해 본결과 연향에서 여러 인물들의 대화와 움직임이 매우 절제된 것은 여느 궁중연향과 비슷하지만, 춤과 음악을 통해 구현된 소리와 색채감은 매우 다채로웠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봉수당진찬에서는 정조 이전에 치러진 내연에 비해 다양한 종류의 정재를 상연하였고, 이 중에는 새롭게 초연된 레퍼토리도 있었으며, 또 기존의 공연을 새롭게 재구성한 것도 포함되어 있었다. 특히 <선유락>이나 <검무> 등, 지방 관아 및 민간의 레퍼토리를 궁중연향으로 수용한 점, 풍류방에서 즐겨 연주되기 시작한 생황을 <학무> 와 연계한 것은 전통적인 규범과 관습에 매이지 않고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는 궁중연향의 '열린구조'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누벨당스 작품에 나타난 퍼포먼스 의상의 미적 특성 연구 - 필립 드쿠플레(Philippe Decouflé)의 안무작품과 필립 기요텔(Philippe Guillotel)의 의상디자인을 중심으로 - (Performance Costumes and Stage Direction Characteristics Shown in the Nouvelle Danse Work - Focused on the Philippe Decouflé's choreography work and costume design of Philippe Guillotel -)

  • 김향자;김영삼
    • 복식
    • /
    • 제65권5호
    • /
    • pp.126-141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works of choreographer Philippe $Decoufl{\acute{e}}$ and the performance costumes designer Philippe Guillotel, and identify the intrinsic values shown i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in their works. And it proposes a vision and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and performance of modern fashion phenomenon of media convergence performing arts complex.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shown in Philippe $Decoufl{\acute{e}}$'s art pattern applies dynamic improvisation, decategorization reflected in the media interactivity, time and space of a variable scalability, complex artistic genres and transcends cultural boundaries.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formance costume can be described as a co-existence between dynamics of aesthetic layers, 'Media body' represented by the interaction of the compounds with the technology, and integrated variable expandability. And aesthetic values inherent in the performance costumes are summarized as abstraction, playfulness, reproducibility, and theatricality. Modern fashion performance and limited production of the center 'costumes' in the fashion images can be used in diverse ways, and innovative marketing has gone through a change in image production. Metaphysical text of the advanced performance genre can be presented in a new perspective to fashion derivatives 'Media body'. And the aesthetics of popular culture kitsch, the grotesque, and surrealism in theater will produce creative stage direction.

축지소극장의 근대성 문제에 대한 연구 -가부키(歌舞伎), 신파(新派), 신극(新劇)의 연관성- (A study on the controversy of the modernity of the Tsukiji Little Theater -With a focus on Kabuki, Shinpa, and Shingeki-)

  • 김현철
    • 한국연극학
    • /
    • 제48호
    • /
    • pp.421-446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ed light onto the historical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Tsukiji Little Theater's modern performances. The Tsukiji Little Theater holds a position of great importance to the history of both Japanese and Korean modern theater. Some, however, are under the completely opposite impression. There are also mixed opinions about whether the Tsukiji Little Theater is a "model example" of the modern theatrical movement or a "bad example". Based on this controversy, we look into the definitive characteristics of the Tsukiji Little Theater based mostly on "the controversy over translated foreign plays", "the controversy of foreign plays versus original plays", "the value of kabuki" and "Shinpa as a rival". This paper looked into the differences in controversy over translated foreign plays in the Tsukiji Little Theater and the controversy in existing translated foreign plays. It mostly looks at the "casuistry of foreign plays" and the "cultural engineering theory of foreign plays"to get a grasp on the controversy surrounding existing translated foreign plays. Meanwhile, the "internally critical meaning" towards the original plays of renowned writers was strong in the controversy of foreign plays in the Tsukiji Little Theater. Kaoru Osanai defined the 1920s as a dark period, and persisted that because of the activity of the Shingeki movement, foreign plays were needed instead of low-level original plays.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original plays and foreign plays publicly performed at the Tsukiji Little Theater to analyze the "controversy of translated foreign plays versus original plays". The Tsukiji Little Theater mostly put on shows with a strong sense of resistance or that defied the old times. This caused there to be a lot of emphasis put on the rebellious mindset towards old conventions and ideologies for most of the plays, both foreign and original, and the problem arises that little mind was paid to the integrity or beauty of the works. In looking at the "value of kabuki", this paper looked into Kaoru Osanai, who was deeply involved in kabuki actors. He evaluated traditional Japanese arts highly not because of the literary value of their scripts, but because he recognized the value of how they were performed. In order to create a new spectacle, music, dance and mime was taken in from countries around the world, and kabuki was regarded highly as a means of expression on stage. Finally, we also examine the recognized reasons for treating Shinpa as a rival.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hese reasons and a complex about the audiences they drew. The Shinpa performances always had many spectators and were successful, but those at the Tsukiji Little Theater were so unpopular with the public that it was hard for them to financially run their theater group. The empty seats in their theater constantly made the modern intellectuals in the Shingeki movement feel inferior.

무용 예술 의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ance Costumes)

  • 이순홍
    • 복식
    • /
    • 제47권
    • /
    • pp.125-142
    • /
    • 1999
  • Dancing along with mankind has existed in various ways form old age to the present. This dancing combined with artistic meaning is called the art of dancing. This study is mainly about the functions decorations and expressions of dancing costume and the claracteristics of the costumes by the 20th century designers Leon bakst Oskar Schlemer Pablo Picasso. The dancing costume were not so much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ublic from old age to middle age. In 18th and 19th centuries the length of the cotstumes become short from the knee to the thigh. The functions have much to do with the development of dancing for example the appearance of toeshoes. The costumes are designed not to prevent the movements of dancers smooth line in old age and ladylike vend high-blown line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Cotton and hemp textiles are turning into the transparent forms such as lace and gauge. The personal ornaments earings and necklaces have change into the pattern with wings and tassels. The dancing costumes of Leon Bakst Oskar Schlemer and Pablo Picasso are designed after the due consideration of body shape. Bakst focused on the beauty of smooth lines with splendid colors and decorations. Schlemer analyzed the body abstractly and metaphysically and expressed it with detaile and simple lines. Picasso emphasized cubic forms with cubism and expressed the characteristics of costumes with clear colors and smooth curved line. Bakst Schlemer and Picasso made the early 20th century the age of functional dancing costumes putting a light on the concept of space and foundation for the modern dancing costumes.

  • PDF

Anthropology of power and passion, active nihilism: theme analysis on Sung, Suk-je's novel

  • Lee, Chan
    • 비교문화연구
    • /
    • 제28권
    • /
    • pp.37-53
    • /
    • 2012
  • This paper examines 'an active nihilism' in Suk-je Sung's novels in detail. The focus of this study is formed from the critical mind in a critical perspective that in Korean novels before and after 2000s, characters who embody 'problematic individuals' of $Luk{\acute{a}}cs$ have disappeared and those close to 'active nihilists' has become the mainstream. The most representative example of this phenomenon is Suk-je Sung's novels. 'Active nihilists' in his novels are described as 'ascetics' who mastered various spheres such as 'billiard', 'baduk gambling', 'alcohol', 'dance', and 'book collecting', and so on. In the sense that they reject the transcendental conditions of the modern world and live in the space and time of play in which they can display their passion and potentiality to the maximum, they beings jumping over the 'reality principle'. Also, what they want to repeat is not the endless exchange of labor and capital according to the capitalist system of exchange but rather the repeated existence of their power and passion. This 'anthropology of power and passion' is 'active nihilism' which could be expressed as the 'subject of creating new value' and 'Dionysian affirmation' by Nietzsche. Suk-je Sung's novels sharply prove the stylistic essence of 'a novel' which has to create its own form every time, constantly renewing the narrative style of the past ideal model. In this respect, they are very problematic and his innovation of a form draws the attention. Further, this will certainly be the important object of research in the diachronic dimension of contemporary Korean novel.

니혼부요(日本舞踊)의 전승과 이에모토(家元) 제도 (A Study on tradition of Nihonbuyo(日本舞踊) and the Imoto(家元) system)

  • 남성호
    • 공연문화연구
    • /
    • 제40호
    • /
    • pp.71-109
    • /
    • 2020
  • 일본의 대표적인 전통무용인 니혼부요(日本舞踊)는 가부키무용에서 출발하여 수많은 유파를 형성하였으며 이에모토 제도에 의해 운영되어왔다. 가업(家業)계승이라는 점에서 이에모토(家元)는 고대부터 존재해왔지만 근세봉건 시대에 제도로서 성립되었다. 특히 니혼부요에 있어 이에모토 제도는 근대 이후에 크게 발전하였다. 이에모토 제도(家元制度)는 일본사회의 한 특징으로 여겨져 왔으며 전통예술의 계승에도 크게 기여해왔다. 즉 이에모토 제도는 기본적으로 뛰어난 스승의 기예를 왜곡없이 온전하게 전승하는 것을 최고의 권위로 여긴다. 구체적으로는 분야나 유파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띠고 있지만 의제(擬制) 가족제도 내에서 이에모토를 정점으로 하는 조직 및 제도이다. 본고에서는 니혼부요의 성립과 배경을 검토하고 습명제도를 통해 이에모토의 명성과 권위를 이어가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니혼부요계는 유파의 범람이라고 할 정도로 수많은 유파가 존재한다. 이러한 유파를 가부키배우계통, 안무가계통, 여성예인계통, 지우타마이(地唄舞)계통, 신무용계통으로 구분하여 각 유파의 성립배경과 특성을 통해 이에모토 제도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전통계승이라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는 한편, 창의적이고 개인의 자유로운 표현을 중요시하는 예술계에 있어서 이에모토의 경직된 조직경영, 봉건사회의 산물, 권력화, 이에 따른 예술의 고착화 등 부정적인 비판의 목소리도 끊이지 않는다. 그러나 전통을 중시하는 일본사회에서 이에모토 제도는 쉽게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오히려 다양한 예술장르가 공존하는 오늘날 전통예술에 대한 가치를 살리고자 이에모토 내부의 자성과 함께 젊은 무용가들의 도전이 시작되고 있다. 니혼부요계의 이에모토 제도에 대한 고찰을 통해 점차 형해화되어가고 있는 무형문화재에 대한 재인식의 계기가 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