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9.19.08.044

A New Search for Dance Space ; A comparative Study of Spaces between Theaters and Museums  

Park, Sung-Hye (한국예술종합학교)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As dance performances in the theater space are centered on text, they have plots and make characters stand out. They also emphasize expressivity and technique, and their recognition of space is very modern and typical of dichotomous Cartesian thinking. The museum space has many similarities with the theater space in that it is a result of modernity and granted authority to present arts. The performances in museums place value more on the presence than on the representation. For this reason, works in museums, which are frequently presented in recent years, are mainly works of site-specific or performative concepts. Now, rather than being able to obtain from aesthetics defined as works, the museum is assured its own aesthetic production and justification, paying attention to the performance as an event occurring now and here.
Keywords
Space of Theater; Performances in Museum; Pung Jeong. Gag : in the 5th Dimension; Presence; Site-specific;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앙리 르페브르, 공간의 생산, 에코리브르, p.566, 2011.
2 T. Pape, N. Solomon, and A. Thain, "Welcome to This Situation: Tino Sehal's Impersonal Ethics," Dance Research Journal, Vol.46, No.3, pp.89-100, 2014(12).   DOI
3 S. Rosenberg, "Trisha Brown: Choreography as Visual art," October, Vol.140, pp.18-44, 2012.   DOI
4 A. Nicifero, "OCCUPY MoMA : The (Risks and) Potentials Musse de la Danse!," Dance Research Journal, Vol.46, No.3, pp.32-44, 2014(12).   DOI
5 이재민, "미술관 속의 춤-윌리엄 포사이스의 수행적 전시회 사건의 진실(The Fact of Matter)을 중심으로," 한국연극학, 제59권, pp.135-166, 2016.
6 전윤겅, "동시대 공연에 나타나는 '관객 참여'방식 연구 - 런던 펀치드렁크(Punchdrunk)극단의 를 중심으로," 공연문화연구, 제32권, pp.688-693, 2016.
7 이경미, "현대연극에 나타난 포스트아방가르드적 전환 및 관객의 미적 경험," 한국연극학, 제37권, pp.205-244, 2009.
8 나일화, "무용예술에 나타난 신체의 재현과 미학적 인식-굿맨(N. Goodman)과 들뢰즈(G. Deleuze)의 '기호' 개념을 중심으로," 무용예술학연구, 제63권, pp.1-17, 2017.
9 조은정, "고대 미술의 공간 재현과 선 원근법의 기원,"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제17권, pp.177-202, 2002.
10 김성기, "극장무대공간의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2권, 제11호, pp.169-176, 2006.
11 김석화, "서구 르네상스미술의 원근법과 공간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제11권, 제4호, pp.37-46, 2010.
12 제니퍼 호먼스, 아폴로의 천사들; 발레의 역사, 까치, p.178, 2014.
13 제니퍼 호먼스, 아폴로의 천사들; 발레의 역사, 까치, p.71, 2014.
14 제니퍼 호먼스, 아폴로의 천사들; 발레의 역사, 까치, p.278, 2014.
15 이재민, "공간무대의 미학-아돌프 아피아와 윌리엄 포사이드의 작품을 중심으로," 드라마 연구, 제50권, pp.41-90, 2016.
16 스티브 컨, 시간과 공간의 문화사 1880-1918, 휴머니스트, p.396, 2004.
17 http://www.mmca.go.kr, 2019.4.10.
18 권미원, 장소특정적 미술, 현실문화, p.30, 2013.
19 김말복, "컨템포러리 댄스의 몸," 무용예술학연구, 제34권, pp.1-27, 2011.
20 토니 고드프리, 개념미술, 한길아트, p.56, 2002.
21 Amanda Jane Graham, "Space Travel : Trisha Brown's Locus," Art Journal, Vol.75, Issue.2, pp.26-45. 2016.   DOI
22 이진아, "포스트드라마 연극에서 관객의 위치," 한국연극학, 제42권, pp.193-225, 2010.
23 전새미, "포스트드라마 연극에서 관객의 역할 고찰," 공연예술연구, 제4권, pp.21-40, 2017.
24 전진성, 박물관의 탄생, 살림출판사, p.49, 2004.
25 에리카-리히테 피셔, 수행성의 미학, 문학과지성사, p.172, 2017.
26 권미원, 장소특정적 미술, 현실문화, p.39, 2013.
27 송주원, 풍정.각 아카이브 2018 자료집, 안무가 자체제작, p.258,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