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xed tea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29초

고무상 복합물로 표면처리 한 실리카를 충전한 에폭시 수지 경화물의 열적 특성 (Thermal Properties of Cured Epoxy Resin Filled with Rubber Complex-Treated Silica)

  • 최상구;서원동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2권1호
    • /
    • pp.11-19
    • /
    • 1997
  • [ ${\gamm}-Glycidoxy$ ] propyl trimethoxy silane, CTBN rubber(carboxyl terminated butadiene acrylonitrile rubber) and GMA(glycidyl methacrylate) were reacted on the surface of silica one by one in existence of TEA(triethylamine) or BPO(benzoyl peroxide). The amount of reactant was $2.5{\sim}5.8%$ of treated silica weight. The treated silica was mixed with epoxy resin and MTHPA(methyl tetrahydro phthalic anhydride) in the range of $0{\sim}60%$(wt.%) of total component. The thermal properties were tested for cured products. By using silica treated with silane/rubber or silane/rubber/vinyl, comparing with 3% of rubber mixed directly, it had 13% higher $T_g$ and 10% lower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at $35{\sim}55%$ of silica contents.

  • PDF

감국, 산국 및 구절초꽃 분말 차의 항산화활성과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hrysanthemum indicum L., Chrysanthemum boreale M. and Chrysanthemum zawadskii K. Powdered Teas)

  • 이상훈;황인국;노진우;장영득;이철희;우관식;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7호
    • /
    • pp.824-831
    • /
    • 2009
  • 감국, 산국 및 구절초꽃 열수추출물에 덱스트린과 말토덱스트린 부형제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분말차를 제조하고 이의 품질특성과 관능특성을 평가하였다. 국화차 분말의 흡습성은 국화 품종별 덱스트린 단독 첨가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부형제의 종류 및 첨가량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용해도는 덱스트린과 말토덱스트린을 8:2로 혼합한 처리구에서 당도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국화 분말차의 색도는 부형제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덱스트린과 말토덱스트린을 9:1로 혼합한 첨가구에서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이 높게 나타났으며, 국화 분말차의 pH는 $5.33{\sim}5.63$ 범위를 보였다. 갈변도와 탁도는 품종, 부형제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환원당 함량은 국화 품종별로 덱스트린과 말토덱스트린을 8:2로 혼합한 처리구에서 높았다. 총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총 항산화력은 산국 분말차가 각각 $6.47{\sim}6.75$, $1.95{\sim}1.99$$4.37{\sim}4.55\;mg/g$ 범위로 감국과 구절초 분말차보다 높았고 전자공여능은 감국 분말차가 $24.85{\sim}27.93%$로 산국과 구절초 분말차보다 높았다. 관능평가에서 색과 향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산국의 경우 쓴맛에 대한 낮은 평가로 인하여 전반적으로 기호도가 낮게 평가되었다.

한국산 허브를 이용한 혼합 침출차 가공특성 (Characteristics of Mixed Tea Prepared with Several Herbs Cultivated in Korea)

  • 주선종;최금주;김기식;박성규;김태수;오문헌;이상수;고재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00-405
    • /
    • 2002
  • 본 연구는 한국산 허브를 이용한 고품질 기능성 혼합침출차를 제조하기 위하여‘마리노 라벤다’와‘류치아 로즈마리’그리고‘슈퍼민트’‘골든세이지’‘코리아타임’을 수확하여 동결건조 후 분쇄한 건조허브의 영양성분과 향기패턴양상을 분석하고, 침출온도별 허브침출차의 특성과, 혼합침출차의 가공특성 분석결과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은 가식부 100g당 조단백질은 1.4~17.5g, 조지방은 6.1~15.8g, 탄수화물중 당질은 43.5~61.2g이었으며 조회분 함량은 7.7~10.7g이었다. 특히 류치아로즈마리의 조지방함량은 15.8%로 마리노라벤다와 슈퍼민트에 비하여 약 1.8~2.6배 높았다. 무기성분은 가식부 100g당 칼슘은 707~l.763mg, 인 234~513mg, 칼륨 2,391~3,430mg, 마그네슘 361.3~573.5mg 이었고 특히 슈퍼민트는 칼슘, 마그네슘, 칼륨, 아연, 인의 무기성분 함량이 가장 높았다. 비타민은 가식부 100g 당 비타민A 인$\beta$- Carotene 함량이 6,902~27,677$\mu\textrm{g}$ 이었고 비타민 B$_1$0.34~0.62mg, 비타민 B$_2$1.37~2.52mg, 나이아신 5.3~8.8mg, 비타민 C 102~111mg 이었고 특히 슈퍼민트는 비타민A 인 $\beta$-Carotene 함량이 27,677$\mu\textrm{g}$ 으로 가장 높았다. 침출 온도별 침출차의 pH 와 당도는 6$0^{\circ}C$에 비하여 8$0^{\circ}C$, 10$0^{\circ}C$는 낮았으나 색도 중 명도 값은 높아졌고 적색도와 황.색도 값은 낮아졌다. 혼합침출차의 특성은 시판제품에 비하여 시제품의 pH는 낮았으나 당도는 같았으며 색도중 명도는 낮았으나 적색도와 황색도는 높았다. 관능검사 결과 시판제품에 비하여 시제품의 맛, 향, 색, 상품성에서 현저히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향기패턴과 경향이 일치하였다.

천연산물의 조합에 의한 Bacteroides fragilis의 제어 및 그 항산화력

  • 김종덕;김민용;이세영;임종권;황선영;공재열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3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III)
    • /
    • pp.294-299
    • /
    • 2003
  • The growth of Bacteroides fragilis was inhibited by combination of natural products bearing antioxidative capacity and combined two, three and four kinds of them. Bacteroides fragilis was controlled by Paeonia Japonica, Corni Fructus, Theae Folium, Coptidis Rhizoma alone, and two mixed combinations of Paeonia japonica and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e,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e and Schizandrae Fructus, Schizandrae Fructus and Theae Folium, Schizandrae Fructus and Corni Fructus, Schizandrae Fructus and Crataegi Fructus, Paeonia japonica and Schizandrae Fructus, and three mixed combinations of Paeonia Japonica and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e and Schizandrae Fructus, Paeonia Japonica and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e and Crataegi Fructus, Paeonia Japonica and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e and Corni Fructus, and four mixed combinations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e and Crataegi Fructus and Corni Fructus and Schizandrae Fructus,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e and Crataegi Fructus and Corni Fructus and Theae Folium. As these combinations of natural products will activate some parts of body, theymay be applied to pharmaceutical applications, functional foods, antiaging tea, alsoexpected to control bacterial growth for fermentative beverage bearing multifunction.

  • PDF

천연산물의 조합에 의한 S. aureus의 제어 및 그 항산화력

  • 이세영;김종덕;김민용;김은옥;임종권;황선영;공재열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3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II)
    • /
    • pp.195-200
    • /
    • 2003
  • The growth of S. aureus was inhibited by combination of natural products bearing antioxidative capacity and combined two, three and four kinds of them. S. aureus was controlled by Paeonia Japonica, Galla Rhois, Geranii Herba, alone, and two mixed combinations of Paeonia japonica and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e, Paeonia japonica and Theae Folium, Paeonia japonica and Chelidonium Majus L, Paeonia japonica and Geranii Herba, Paeonia japonica and Schizandrae Fructus, and three mixed combinations of Paeonia Japonica and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e and Geranii Herba, Paeonia Japonica and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e and Chelidonium Majus L., Paeonia Japonica and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e and Theae Folium, and four mixed combinations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e and Chelidonium Majus L. and Theae Folium and Schizandrae Fructus, Paeonia Japonica and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e and Chelidonium Majus L. and Schizandrae Fructus,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e and Geranii Herba and Theae Folium and Schizandrae Fructus. As these combinations of natural products will activate some parts of body, they may be applied to pharmaceutical applications, functional foods, antiaging tea, also expected to control bacterial growth for fermentative beverage bearing multifunction.

  • PDF

고혈압 환자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한방 다류 개발 (Development of Functional Tea Products for Hypertension Patients with the Mixed Medicinal Herbal Extracts)

  • 안병용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1049-1053
    • /
    • 2009
  • 본 연구는 두충을 주 원료로 고안된 한방 혼합 다류가 고혈압 질환자의 혈압, 혈청지질 및 혈액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한방 혼합 다류를 시험 4주간 복용한 그룹과 시험 전 그룹을 비교한 결과, 수축기 혈압은 167.14 mmHg에서 134.86 mmHg로, 이완기 혈압은 100.00 mmHg에서 87.10 mmHg로 뚜렷하게 저하되었다. 혈청지질 중 총콜레스테롤(TC), 고밀도-콜레스테롤(HDL-C), 저밀도-콜레스테롤(LDL-C)의 농도 및 동맥경화지수(AI)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반면, 한방 혼합 다류를 복용 시 중성지방(TG) 농도가 237.10 mg/dL에서 145.00 mg/dL로 강하게 감소되었다. 시험 4주 후와 시험개시 전의 혈액학적 지표(적혈구, 백혈구, 헤마토크리트, 헤모글로빈, 혈소판 및 호모시스테인)를 비교한 경우, 유의적 변화는 관찰되지 않는 반면 평균 적혈구 혈색소 농도(MCHC)는 유의적으로 2.70%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두충을 주 원료로 고안된 한방 혼합 다류는 중성지방 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혈압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추정하며, 평균 적혈 수혈 색소 농도를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 PDF

차응애의 cyenopyrafen에 대한 감수성 (Susceptibility of Tea Red Spider Mite, Tetranychus kanzawai (Acari: Tetranychidae) to Cyenopyrafen)

  • 백채훈;김상수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70-174
    • /
    • 2010
  • 차응애에 대해 cyenopyrafen의 효력을 검정한 결과, 실내시험에서 차응애의 난, 유충, 전약충과 암컷성충에 대해 매우 우수한 약효를 보였다. Cyenopyrafen의 처리에서 생존한 차응애 암컷성충들의 산란수는 아주 적어 무처리와 큰 차이가 있었으며, 산란된 난은 전혀 부화되지 않았다. 시험약제는 125와 83.3 ppm 처리에서 차응애의 암컷성충에 대해 처리 후 15일까지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포장시험에서 cyenopyrafen은 차응애의 혼합태에 대하여 매우 우수한 밀도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시험결과들로 보아 cyenopyrafen은 차응애의 방제약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살응애제의 적정 사용농도는 83.3 ppm으로 판단된다.

전남지역 일부 청소년들의 음료 섭취 실태 및 기호도에 관한연구 (The Study on Korean Youth's Status of Beverage Consumption and Preference of beverage in Chunnam Area)

  • 김영옥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536-542
    • /
    • 1999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gate status of veverage consumption and preference of beverage among growning generation in order to provide basic knowledge for nutrition education to be able to settle right food habit of Korean youth. Four hundred and sixt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Chunnam area were asked to fill out the questionarie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The subjects usually drank total 671.6ml/day, water 304.1ml soft drink 156.9 ml milk 110.5 ml, fruit juice 36.2 ml. vegetable juice 15.5ml coffee & tea 32.9 ml and Korean tea 26.5 ml The male drank 685.5 ml and the female drank 654.9 ml. The average amount of beverage consumption per a unit weight was total 28.5 ml and middle shool students drank more than high school students but it was about the same between the male and female. The students who have snacks very often drank more than those who sometimes have. The students who like a meat-diet drank much more than those who like a vegetable or mixed-diet, And the students who eat bread often drank more than those who have rice every mealtime. The preferences of beverage were high in orange juice water milk, lactobacillus, sikhea, while some Koran and alcohoic beverage were less preferred.

  • PDF

Antimicrobial Activity of Essential Oil against Oral Strain

  • Park, Chungmu;Yoon, Hyunseo
    •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Preventive Dentistry
    • /
    • 제14권4호
    • /
    • pp.216-221
    • /
    • 2018
  • Objective: In this study, we tried to investigat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natural herbaceous plant-derived essential oils against oral disease-causing bacterial strains and establish the scientific evidences to apply them to the dentifrice, mouthwash, and other uses. Methods: We used the disk diffusion method with 23 types of 100% natural essential oils to verify the antimicrobial effect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Porphyromonas gingivalis, and Lactobacillus rhamnosus. After adhering to the surface of the plate culture medium, $20{\mu}l$ of the essential oil was prepared, and the diameter of the transparent ring was measured after incubation for 24 hours. All the experiments were repeated three times. Results: Among 23 types of oils, 13 were effective against all three strains: myrrh, ginger, basil, carrot seed, tea tree, patchouli, ylang ylang, cypress, lemongrass, cinnamon, peppermint, lavender, and eucalryptus. Seventeen oils were effective against S. mutans, and myrrh, basil, and carrot seed showed high antimicrobial activity. Eighteen oils were effective against P. gingivalis, and tea tree, carrot seed, and cinnamons showed high antimicrobial activity. Sixteen oils were effective against L. rhamnosus, and carrot seed and peppermint cinnamon showed high antimicrobial activity. Conclusion: Consequently, 13 essential oils show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three bacterial strains, which indicates these essential oils might be used as the effective materials to suppress the growth of oral-disease inducing microorganisms. Moreover, essential oils that have been analyzed activities in this study will be mixed up within the constant range and analyzed their antimicrobial effects to examine the synergistic activity among them.

매화의 향기성분 분석과 매화차 추출조건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of Prunus mume Flower and Optimum Extraction Conditions of Prunus mume Flower Tea)

  • 김용두;정명화;구이란;조인경;곽상호;나란;김경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80-185
    • /
    • 2006
  • 매화의 품종과 건조방법에 따른 향기성분을 분석하여 매화차 제조에 맞는 재료와 처리방법을 찾고, 매화의 첨가량 및 침출 온도, 녹차 첨가 비율 등을 관능검사를 통하여 살펴본 결과, 매화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분석결과 총 17종이 검출되었으며 그 중 생화의 경우 총 15종이 검출되었다. 동결건조 시료에서는 건조과정중 1가지 성분이 소실되었고 1가지 성분이 다르게 검출되었으며, 음건의 경우4가지 성분이 소실되었고 1가지 성분이 다르게 검출되었다. 3가지 품종 모두 benzaldehyde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성분 구성비율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매화차의 추출온도에 따라 색도측정 결과 a값은 감소한 반면, b값은 증가하였고, 추출시간이 길어질수록 L값과 a값은 감소하고 b값은 증가하였다. 매화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매화차 관능평가 결과 향, 색에서는 매화의 첨가량이 높을수록 기호도가 증가하였으나 0.3g이상에서는 많은 차이가 없었다. 또한 맛에 있어서는 0.3 g에서의 기호도가 3.8로 높았다. 매화의 온도, 시간별 추출물의 관능평가 결과와 녹차의 흔합비율에 따른 결과 향, 색에서는 추출물의 온도가 높을수록 기호도가 높았지만 $80^{\circ}C$가 적당한 침출온도였다. 매화와 녹차의 혼합비율에 따른 관능평가 결과는 매화의 비율은 매화와 녹차 비는 1:9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