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ssing Concept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36초

2급 지적 장애를 가진 환자의 SDA 개념을 적용한 전악 수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of an oligodontia pati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based on shortened dental arch concept: a case report)

  • 유재욱;허성주;김성균;곽재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30-335
    • /
    • 2012
  • Shortened dental arch(SDA) 개념은 여러 현실적인 이유로 적절한 대안이 없을 경우 제 2 소구치까지만 수복이 이루어져도 안정적인 교합과 저작력을 얻을 수 있다는 것으로 자연치와 임플란트를 이용한 수복시 공히 적용되는 개념이다. 본 증례는 2급 지적장애로 인해 치료시 협조를 구할 수 없으며 우식으로 인해 다수의 치아가 상실된 환자로 대구치 부위의 심한 골흡수와 상악동의 함기화 및 상악동염으로 인해 제 2 대구치까지의 수복이 용이하지 않아 가급적 위험요인을 줄이면서 최소한의 전신마취로 치료를 종결하기 위해 SDA 개념을 적용, 제 2 소구치까지만 수복이 이루어졌다. 치료 결과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할 만한 향상이 이루어졌고 추가적인 저작력의 요구는 없었으며 주기적인 재내원으로 구강위생이 강화되었다.

Orthodontic and orthopedic treatment for a growing patient with Tessier number 0 cleft

  • Baek, Seung-Hak;Park, Yoon-Hee;Chung, Jee Hyeok;Kim, Sukwha;Choi, Jin-Young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13-124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case report was to introduce the concept of orthodontic and orthopedic treatment for a growing patient with Tessier number 0 cleft. A 5-year-old boy patient with Tessier number 0 cleft presented congenitally missing maxillary central incisors (MXCI), a bony defect at the premaxilla, a constricted maxillary arch, an anterior openbite, and maxillary hypoplasia. His treatment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 management of the bony defect at the premaxilla and the congenitally missing MXCIs using a fan-type expansion plate, iliac bone grafting, and eruption guidance of the maxillary lateral incisors into the graft area for substitution of MXCIs; management of the maxillary hypoplasia using sequential facemask therapy with conventional and skeletal anchorage; and management of the remaining occlusal problems using fixed orthodontic treatment. The total treatment duration was 15 years and 10 months. Class I canine and Class II molar relationships and normal overbite and overjet were achieved at the end of treatment. Although the long-term use of facemask therapy resulted in significant protraction of the retrusive maxilla, the patient exhibited Class III profile because of continued mandibular growth. However, the treatment result was well maintained after 2 years of retention. The findings from this case suggest that interdisciplinary and customized approaches are mandatory for successful management of maxillary hypoplasia, bony defect, and dental problems in Tessier number 0 cleft. Moreover, considering the potential of orthognathic surgery or distraction osteogenesis, meticulous monitoring of mandibular growth until growth completion is important.

초등학교에서 비례 추론 지도에 관한 논의 (Teaching Proportional Reasoning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 정영옥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5권1호
    • /
    • pp.21-58
    • /
    • 2015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에서 비례 추론 지도를 위해 고려해야 할 교수학적 배경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와 미국, 영국 교과서의 비와 비례 관련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에서 비례 추론 지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여러 연구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비례 추론 지도의 교수학적 배경으로 비례 추론의 의미와 요소, 비례 추론 발달 단계와 학생들의 전략, 비례 추론 과제 유형, 비례 추론 지도 모델에 대해 살펴보았고, 이를 기초로 미국, 영국, 우리나라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이론적 고찰과 교과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이후의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에서 비례 추론 지도 개선을 위한 시사점으로 비와 비례 내용의 비중 제고, 곱셈적 비교의 강조와 덧셈적 비교와의 구분, 비의 동치 관계의 강조, 양적 질적, 대수적 기하적 비교 과제와 미지값 과제의 적절한 균형, 비례식의 성질을 이용한 형식적 절차 도입 전 비형식적 전략의 강조, 비형식적 전형식적인 시각적 모델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선천적 상악 우측 중절치 결손 환자에서 DSD (digital smile design)를 이용한 전치부 수복 증례 (Anterior esthetic restoration using DSD (digital smile design) for a patient with congenital missing tooth of maxillary central incisor)

  • 박혜정;이준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5권3호
    • /
    • pp.170-179
    • /
    • 2019
  • 상악 전치부의 보철 수복은 치과 분야에서 심미성이 크게 요구되는 치료이다. 상악 전치부의 보철 수복을 통하여 치아의 외형, 배열, 색조 등을 개선하면 심미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전치부 심미 수복을 위해서는 진단과정에서 환자의 안모 및 치아와 입술과의 관계, 치아와 치은 관계 등을 평가하고, 환자가 요구하는 바를 정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환자와 술자 및 기공사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하여 환자의 요구사항을 충실히 반영하기 위한 도구로서 DSD (digital smile design) 개념을 적용할 수 있다. 이 증례에서는 상악 중절치의 선천적 결손으로 인하여 대칭성을 구현하기 불가능한 상황에서 DSD를 활용하여, 환자 안모와 상악 전치부의 전체적인 조화를 추구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으며, 이를 통해 환자와 술자 모두 만족할 만한 심미적인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가상문서를 개념을 활용한자기 주도적 학습지원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upporting System of a Self-Directed Learning using Virtual Document Concept)

  • 노진순;이용배;맹성현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234-245
    • /
    • 2002
  • World-Wide Web으로 인하여 인터넷상의 다양하고 고품질의 자료들을 교육용으로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시대가 도래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료들은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 좀 더 정제되고, 교육과정에 맞는 흐름을 가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흐름 제공을 위해서는 웹 상에서 분산되어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디지털 문서들을 교육 목적에 맞게 새로운 순서, 즉 문맥화 된 순서를 가진 자료로 재구성할 수 있어야 하고, 이와 같이 재구성된 자료들은 문서간의 부드러운 내용 전개를 위해서는 부가적인 설명이나 기존 문서에 빠져 있는 내용들을 보완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상의 수많은 리소스들을 재가공하여 교육과정에 맞는 흐름을 부여하기 위하여 가상문서 개념을 도입하였다. 이와 같이 저작된 가상문서를 이용하여 검색엔진의 형태로 학습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학습자의 수준과 목적에 맞는 문서를 검색하여 학습할 수 있는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유도하려고 한다.

  • PDF

Fiber post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지대주에 보철물을 결합하는 SB-locking method: A case report (SB-locking method for keeping implant restorations mechanically in place using fiber post: A case report)

  • 정민아;이성복;이석원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8권4호
    • /
    • pp.356-362
    • /
    • 2020
  • 강동경희치대병원 보철과에서는 치료계획단계에서 마지막 결과를 미리 형상화하고 그것에 입각하여 치료를 진행하는 Top-Down 개념의 치료접근법을 2006년부터 실행하고 있다. 이번 증례도 그 개념에 입각하여 임플란트 수술에 앞서 미리 최종 보철치료의 방법과 결과를 형상화시켜 놓고 치료를 진행한 실례이다. 임플란트 보철의 여러 방법 중 시멘트 유지방식은 임플란트의 기울기에 구속받지 않고 간단하게 보철물 제작이 가능하나, 접착 후 치은 연하의 잉여 시멘트를 완전하게 제거하기 어렵고, 필요할 때 탈착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전치부 임플란트 보철수복 시 SB-locking method의 유지방식을 이용하여 시멘트 유지방식의 문제를 해결하면서 심미적인 임플란트 보철수복이 가능했던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부산지역 중학교 교사의 교육적 가치와 장애요인이 해양스포츠 계발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Effect of Educational Value and Barrier's Factors on Developmental activity of the marine sports in a middle school teachers in Pusan)

  • 지삼업;문선호;이재빈;김남영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0권2호
    • /
    • pp.147-155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 developmental activity of the marine sports among the educational value and barrier's factors in a middle school teachers in Busan.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352 questionnaires which participated in the survey chosen by convenient sampling from the middle school teachers who working the area of Busan. A total of 338 responses were used in data analysis; 14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form data analysis because of incomplete or missing data. To conduct this study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by SPSS 10.0. The result of this study disclosed; first, The factors of educational value such as self-concept development, collaboration, human relationship, and emotional development were statistically causal relationship with the developmental activity of the marine sports. The other factors of creativity, leisure activity, and health were not statistically causal relationship with the development activity of the marine sports. Second, the barrier's factors of facility and weather were statistically causal relationship with the developmental activity of the marine sports. The other barrier's factors of safety accident, program, and participation expense were not statistically causal relationship with the developmental activity of the marine sports.

FAO 수산 가이드라인과 국내 수산경영학 교과와 내용 구성의 비교 연구 (A Comparison Study on Curriculum Contents between FAO Technical Guidelines and Korean Fisheries Management)

  • 이동호
    • 수산경영론집
    • /
    • 제47권3호
    • /
    • pp.93-110
    • /
    • 2016
  • Most of the changes that make paradigm shift have been involved international level problems related to environment, resource and structure problems in these days. Resolving those common issues the United Nations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UN FAO) has played most important role in fisheries with publishing the series of the technical guidelines for responsible fisheries papers. The guidelines for responsible fisheries have introduced for applying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with considering overall changes in fisheries domains. And also have objectives that establishing the discipline of fisheries worlds. Although these papers are remarkable, there is still few research or education contents of them in Korea.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is a kind of social science that influenced by environmental, social changes so called paradigm shift. So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g that has the educ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is accommodation or adaptation of them with grasping the phenomenon continuously. The aims of this study are exploring the FAO's the technical guidelines for responsible fisheries documents and contents of college's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and finding out the overall systematic topics and themes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contents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did not including the concept of responsible fisheries even were out of date in using statistical data. And there is some missing issues that including fisheries policy, resource management, and related law should be enhanced. This study suggests the framework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with comparing analysis on FAO's document and college's course of study in Korea. The proposed framework of major topics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that still needed to be improved should be a milestone of understanding and debating the core factors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education and research.

전자기록의 출처확인 지원전략 (A Verification Strategy for the Origin of Electronic Records)

  • 송병호
    • 기록학연구
    • /
    • 제25호
    • /
    • pp.47-89
    • /
    • 2010
  • 전자기록을 잘 관리한다는 것은 결국 기록이 필요할 때 믿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전자기록은 진본성과 무결성면에서 취약점이 있고 현행 표준이나 방법들은 이에 대한 보완관리를 목적으로 해서 개발되었다. 그러나 전자기록은 진본성과 무결성을 독립적으로 고려하기 힘들므로 본 논문에서는 출처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출처확인이 우선 잘 이루어지는 지원 전략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현행 방식들은 검증 정보 수록 및 확인에 태만하며 장기검증에 문제가 있고 출처확인이 안되는 기록에 대한 대응책 마련이 미흡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한 출처확인에 필요한 요소들을 설명하고, 장기 검증이 가능하도록 전자기록보존포맷을 고정부와 변동부로 나누고 출처는 고정부에서만 확인하는 새로운 검증방법을 제안하며, 출처확인이 실패해서는 안되는 중요 기록물에 대하여 예방, 회피, 탐지복원 방안을 제시한다.

임프란트 식립시 상악동점막거상술후 예후에 관한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OF MAXILLARY SINUS GRAFT FOR IMPLANT PLACEMENT)

  • 박래연;이종한;김오환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0권2호
    • /
    • pp.166-172
    • /
    • 1998
  • Missing of the upper posterior dentition can cause alveolar bone resorption & pneumatization of Maxillary sinus wall, which makes traditional implant placement impossible, The solution includes various methods to the posterior maxilla to provide adequate bone support for implant installation and long-term survival. -- sinus floor elevation, sinus-lift graft, inlay graft using LeFort I osteotomy, onlay graft, This is a clinical Sr. retrospective study on implant surgery & prosthodontic restoration with upper edentulous posterior jaw from Jan. 1990. to Jun. 1997 at implant clinic of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Six hundred ninety-nine implants were placed on upper posterior jaw of two hundred seventeen patients, among them one hundred sixty-five implants were placed in forty-four patients with sinus lift. 2. The height of the remained alveolar bone was classified on the base of Misch's concept. This included seventy-nine SA-1s, ninety-seven SA-2s, sixty-five SA-3s and sixty SA-4s. 3. Ninety percent of implants were successfully integrated in non-grafted area and eighty-seven percent of implants were successully integrated in sinus lift a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