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ld Dementia

검색결과 206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형 전산화 인지재활프로그램이 초기 치매노인의 생성 이름대기 수행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예비연구 (The effect of computer 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generative naming in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preliminary study)

  • 변해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167-172
    • /
    • 2019
  • 본 연구는 초기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전산화 인지재활프로그램이 전두엽 집행기능 중 생성 이름대기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 치매 환자의 조기 언어중재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분석 대상은 경증치매환자 29명으로서 전산화 인지재활프로그램(CoTras)을 중재하는 실험군 21명과 지필과 테이블활동 등 전통적인 면대면 언어재활을 중재하는 대조군 8명으로 분류되었다. 실험집단과 대조집단은 모두 12주 동안 순차적 언어 회상 기억훈련, 연합회상 기억훈련, 언어 범주화 기억훈련, 언어통합 기억훈련을 진행하였다. 의미유창성과 음소유창성의 사전검사점수를 공변량으로 통제한 Welch's robust ANCOVA분석 결과, 실험집단과 대조집단은 의미유창성과 MMSE-K의 변화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05). 반면에, 음소유창성은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기초선단계에 비해서 12주간의 치료 후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치료방법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산화 인지재활프로그램이 전통적인 인지재활에 비해서 의미유창성의 향상에 효과적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노인 또는 경증 뇌질환 환자들의 운동 및 인지재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게임형 재활 시스템 (A game-type rehabilitation system that can be helpful for exercise and cognitive rehabilitation for the elderly or patients with mild brain disease)

  • 최군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229-237
    • /
    • 2021
  • 노인과 경증 뇌질환(치매 및 뇌졸중 등) 환자들 중 일정 정도의 자력 행동 능력과 인지 능력이 있는 경우에는 운동과 인지 재활을 병행해야만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기존의 재활 시스템은 대부분 운동 또는 인지 재활로 분리 또는 특화 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서 두 가지 모두를 연계하는 형태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본 논문에서는 ICT 기술의 하나인 CAN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운동과 인지 재활을 병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게임형 재활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시스템은 CAN BUS 구조를 이용하여 재활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각의 개별 모듈들을 다양한 형태로 분리 및 결합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환자(또는 노인)의 인지 능력과 운동 능력의 정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재활 환경을 구현할 수 있음을 보이고자 제안된 시스템의 프로토 타입을 실제로 제작하였다. 아울러 이 시스템을 이용한 몇 가지 실험을 통하여 여러 환경에 적용 가능한 운동/인지 병행 재활의 구현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요양병원에 입원한 경도 인지장애 노인의 자율신경 기능, 타액 코티졸과 신체활동 정도가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Neurovisceral Integration Model 기반 (Influences of Autonomic Function, Salivary Cortisol and Physical Activity on Cognitive Functions in Institutionalized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Based on Neurovisceral Integration Model)

  • 서민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94-304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objectively measured physical activity (PA) in institutionalized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and to elucidate the influence of autonomic nervous function, salivary cortisol, and PA on cognitive functions based on neurovisceral integration model. Methods: Overall cognitive function was evaluated using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and executive function was evaluated using semantic verbal fluency test and clock drawing test. Actigraph for PA, HRV and sAA for autonomous function, and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for depression were used. Saliva specimens were collected in the morning for sAA and cortisol. Results: Ninety-eight older adults from four regional geriatric hospital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took 4,499 steps per day on average. They spent 753.93 minutes and 23.12 minutes on average in sedentary and moderate-to-vigorous activity, respectively.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lower salivary cortisol level (β = - .33, p = .041) and greater step counts (β = .37, p = .029) significantly improved MMSE score. Greater step count (β = .27, p = .016) also exert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verbal fluency, and greater sAA (β= .35, p = .026)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better clock drawing test result. Conclusion: Salivary cortisol, sAA and physical activity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ognitive functions. To prevent older adults from developing dementia, strategies are needed to increase their overall PA amount by decreasing sedentary time and to decrease salivary cortisol for cognitive function, and to maintain their sympathetic nervous activity for executive function.

알츠하이머병과 경도인지장애에서 체질량지수와 인지기능과의 연관성 (Association of Body Mass Index and Cognitive Function in Alzheimer's Disease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 임은정;이강준;김현
    • 정신신체의학
    • /
    • 제24권2호
    • /
    • pp.184-190
    • /
    • 2016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AD),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정상군에서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의 차이를 분석하여 낮은 BMI 수치와 인지기능 저하와의 연관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version, MMSEK), 치매임상평가척도(Clinical Dementia Rating, CDR), 전반적 퇴화척도(Global Deterioration Scale, GDS)과 BMI 사이에 연관성이 있는지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총 257명의 연구대상자들이 이 연구에 포함되었고, AD 및 MCI 진단을 위해 병력 청취, 정신상태검사, 신경인지기능검사, 신체 검사가 시행되었다. 대상자의 성별 및 연령과 신체 질환도 함께 조사하였다. 전반적인 인지기능과 질병의 심각도 단계 평가는 MMSE-K, GDS, CDR으로 측정하였다. 결 과 MMSE-K 점수는 정상군>MCI>AD 순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00). CDR과 GDS점수는 정상군이 가장 높았고, AD군이 가장 낮았으며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BMI와 MMSE 점수 사이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0.238, p=0.000). BMI와 CDR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r=-0.174, p=0.008), BMI와 GDS 역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233, p=0.000). 결 론 BMI와 인지기능과의 연관성이 있으므로, 치매나 경도인지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BMI를 측정하는 것은 임상적 표지자로서 의미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AD의 진단 및 예방, 그리고 치료적 접근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향후 이에 대한 대규모의 장기 추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형 실무자용 노인인지기능 사정도구(K-GPCog)의 신뢰도, 타당도 분석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General Practitioner Assessment of Cognition (K-GPCog))

  • 박지원;김용순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12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General Practitioner Assessment of Cognition (K-GPCog) scale. Method: The K-GPCog consists of the 2 subscales, patients and caregivers. Using a sample of 412 community-based Korean older adults,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was estimated using Cronbach's alpha. To evaluate validity of the K-GPCog, correlation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Pearson r between K-GPCog and the Korean Dementia Screening Questionnaire (KDSQ). Results: Cronbach's alpha coefficients of the K-GPCog patients' and caregivers' subscales .788 and .794 respectivel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r=-.374, r=-.481, and r=-.493, respectively for the subscales of patients and primary caregivers, and total K-GPCog. The degree of diagnostic agreement about the risk for cognitive disorders of older adults showed 11.7% and 11.2% respectively for the K-GPCog and the KDSQ. Conclusion: The findings provided preliminary evidence of the K-GPCog as a useful screening measure for detecting mild cognitive disorders of Korean older adults. The K-GPCog is particularly useful to identify cognitive disorders from primary caregivers when it is difficult to assess the level of cognition of older adults.

주작환(朱雀丸)이 일시적 국소 뇌허혈 유발 백서(白鼠)에 대한 인지 및 운동기능 회복에 미치는 효과 (The Recovery Effects of Joojakwhan - A Traditional Korean Medical Poly-herbal Drug for the Cognitions and Motor Functions in Mild Stroke Rat Model by Using Transient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 김보은;강석봉;정대규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19-434
    • /
    • 2013
  • Objectives: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cognition and motor function recovery effects of Joojakwhan (JJW), a traditional Korean poly-herbal formula for treating various neuropsychiatric diseases such as dementia, for the mildly stroke rats, with 60 minutes of reperfusion transient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tMCAO). Methods: In the present study, 125, 250 and 500 mg/kg of JJW were orally administered, once per day for 10 continuous days 2 hours after the tMCAO. The body weight changes, infarct sizes under 2% 2, 3, 5-triphenyl tetrazolium chloride (TTC) stain, sensorimotor functions and cognitive motor behavior tests were serially monitored with cerebral caspase-3 and cleaved poly (ADP-ribose) polymerase (PARP)-immunoreactivities and histopathological changes. The effects of tMCAO on sensorimotor functions were evaluated by using of limb placing and body-swing tests, and the cognitive motor behaviors were also observed with water maze tests. Results: From the results of tMCAO, with marked decreases of body weights, disorders of sensorimotor functions increases the limb placing test scores, and decrease the numbers and percentages of body swings to the ipsilateral sides. The cognitive motor behaviors increases the distances and time to reach the escape platform which included the inhibitions of the decreases with repeated trials that were observed with focal cerebral cortex infarct volumes. In addition, the marked increases of the atrophy, numbers of degeneration, caspase-3- and PARP-immunoreactive cells around peri-infarct ipsilateral cerebral cortex were also observed in tMCAO controls when compared with the sham control rats,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oral administrations of JJW indicate obvious cognitions and motor function recoveries of the rats with tMCAO, mild strokes, which are mediated by neuro-protective effects through known antioxidant effects of components.

The Effect of Adding Kami-guibi-tang to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 Treatment on the Cognitive Function of Mild Alzheimer's Disease Patients: Study Protocol of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Double-Blind Pilot Trial

  • Yang, Seung-bo;Kim, Ha-ri;Shin, Hee-yeon;Kim, Jeong-hwa;Lee, Chang-woo;Jahng, Geon-ho;Park, Seong-uk;Ko, Chang-nam;Park, Jung-mi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26-338
    • /
    • 2020
  • Background: Alzheimer's disease (AD) is a chronic neurodegenerative disease that causes disorientation, mood swings, problems with language, and difficulty remembering recent events.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s (AchEIs) and memantine have been used to slow the course of the disease, but they can neither modify its progression nor prevent disease onset.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that Kami-guibi-tang (KGT) could be beneficial for supporting cognitive function in AD patients, but few clinical trials have been published. This pilot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KGT in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in AD patients. Methods: The study will be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double-blind, single-center trial conducted using subjects diagnosed with mild AD by neurologists. Study subjects will b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 treatment or control group. The treatment group will receive KGT granules for 24 weeks, while the control group will receive placebo granules. AchEI administration will be maintained in both groups during the entirety of the study. Subjects will be assessed using the following exams: the Seoul Neuropsychologic Screening Battery (SNSB) for cognitive function;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for brain metabolite, neurotransmitter, and cerebral blood flow (CBF) measurements; the Korean version of Quality of Life-Alzheimer's Disease (KQol-AD) for quality of life; the Caregiver-Administered Neuropsychiatric Inventory (CGA-NPI) for neurobehavioral symptoms; blood tests for amyloid and tau proteins and general blood parameters; and electrocardiography (ECG) before and after taking the medication. Discussion: Our findings will provide insight into the feasibility of large-scale trials to consolidate evidence for the efficacy of KGT for dementia treatment. Registration ID in CRIS: KCT0002904 (Clinical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of the Republic of Korea).

리듬꼴에 따른 건강 노인과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리듬 재산출 수행력 비교 (Reproducing Rhythmic Idioms: A Comparison Between Healthy Older Adults and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 정현주;이은지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6권1호
    • /
    • pp.73-88
    • /
    • 2019
  • 본 연구는 건강 및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리듬 재산출 수행력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S시 및 A시 소재의 경로당, 치매안심센터, 노인 복지관 등 노인이용기관을 이용하는 만 60세 이상 85세 미만으로 자발적으로 참여를 원하는 건강 노인 30명과 경도인지장애로 진단받은 노인 27명으로 총 57명이다. 모든 검사는 개별적으로 진행되었고 리듬수행과제는 Beat Processing Device(BPD) 앱이 설치된 아이패드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BPD에는 6가지 리듬꼴이 저장되어 있으며 참여자는 무작위로 재생된 리듬꼴을 듣고 동일하게 2회 재산출하였다. 재산출된 리듬은 전산적으로 저장되었으며 결과 분석을 위해 박간의 간격 비율(R)을 계산하였다. 연구 결과, 건강 노인과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리듬 재산출 수행력의 평균값에는 차이가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박 간의 간격 비율(R)에서 두 집단 모두 <♩ ♩>에서 일치도가 가장 높았으며, <♩. ♪>에서 그 일치도가 가장 낮았다. 수행력 전반에서 건강 노인과 경도인지장애노인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리듬과제 수행 반복에 따라 두 번째 수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진 수행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건강 및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리듬 재산출 수행력에 차이는 없었지만 리듬꼴에 따른 난이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는 추후 노인 대상 음악치료에서 리듬 연주를 구성할 시 참고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arget engagement of ginsenosides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using mass spectrometry-based drug affinity responsive target stability

  • Zhu, Zhu;Li, Ruimei;Qin, Wei;Zhang, Hantao;Cheng, Yao;Chen, Feiyan;Chen, Cuihua;Chen, Lin;Zhao, Yuna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6권6호
    • /
    • pp.750-758
    • /
    • 2022
  • Background: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is a transitional condition between normality and dementia. Ginseng is known to have effects on attenuating cognitive deficits in neurogenerative diseases. Ginsenosides are the main bioactive component of ginseng, and their protein targets have not been fully understood. Furthermore, no thorough analysis is reported in ginsenoside-related protein targets in MCI. Methods: The candidate protein targets of ginsenosides in brain tissues were identified by drug affinity responsive target stability (DARTS) coupled with label-free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LC-MS) analysis. Network pharmacology approach was used to collect the therapeutic targets for MCI. Based on the above-mentioned overlapping targets, we built up a proteineprotein interaction (PPI) network in STRING database and conducted gene ontology (GO) enrichment analysis. Finally, we assessed the effects of ginseng total saponins (GTS) and different ginsenosides on mitochondrial function by measuring the activity of the mitochondrial respiratory chain complex and performing molecular docking. Results: We screened 2526 MCI-related protein targets by databases and 349 ginsenoside-related protein targets by DARTS. On the basis of these 81 overlapping genes, enrichment analysis showed the mitochondria played an important role in GTS-mediated MCI pharmacological process. Mitochondrial function analysis showed GTS, protopanaxatriol (PPT), and Rd increased the activities of complex I in a dose-dependent manner. Molecular docking also predicted the docking pockets between PPT or Rd and mitochondrial respiratory chain complex I.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d that ginsenosides might alleviate MCI by targeting respiratory chain complex I and regulating mitochondrial function, supporting ginseng's therapeutic application in cognitive deficits.

기억력 향상을 위한 작업치료 중재 연구 분석: 국내 단일대상연구 중심으로 (Analysis of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Research for Improving Memory: Focus on Single-Subject Research Design in Korean Academic Journals)

  • 정유진;최유임
    • 재활치료과학
    • /
    • 제10권4호
    • /
    • pp.39-52
    • /
    • 2021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억력 장애를 가진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기억력 향상을 위한 작업치료 중재를 수행한 단일대상연구의 특성을 확인하고 질적 수준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1년부터 2020년까지 기억력 향상 작업치료 중재 연구 중 단일대상연구 설계를 적용한 총 6편의 논문을 분석한 문헌연구로, 연구내용에 대한 일반적 특성 및 연구방법의 질적 수준을 분석하였다. 결과 : 분석대상의 질적 수준은 66.7%(4편)가 중간 수준이었고 33.3%(2편)는 높은 수준이었으며, 낮은 수준의 연구는 없었다. 단일대상연구 설계 유형은 모두 반전설계로 ABA가 가장 많았다. 대상자는 뇌졸중, 치매, 경도인지장애 환자였으며, 대상자 수는 1~3명이었다. 독립변수는 오차배제훈련, 어플리케이션 활용 중재, 전산화인지훈련, 시간차회상훈련이었다. 종속변수는 공통변수인 기억력과 함께 집중력, 뇌파변화,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및 우울이었다. 중재시간은 30~40분, 중재회기는 6~15회기였으며, 총 연구기간은 3~8주로 다양하였다. 중재 결과 모든 연구에서 중재 후 종속변수가 향상된 것으로 보고되었다. 결론 : 기억력훈련에 대한 단일대상연구 적용 작업치료 중재 연구들은 모두 중간 이상의 질적 수준을 보여 임상에서 적용 시 근거기반자료로 의의가 있으며, 기억력 향상에 효과적인 연구들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