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gration Satisfaction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8초

Caudal Neuromodulation with the Transforaminal Sacral Electrode (InterStim): Experience in a Pain Center Regarding 12 Implants

  • Guardo, Laura Alonso;Gala, Carlos Cano;Poveda, David Sanchez;Juan, Pablo Rueda;Sanchez Montero, Francisco Jose;Garzon Sanchez, Jose Carlos;Lamas, Juan Ignacio Santos;Sanchez Hernandez, Miguel Vicente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9권1호
    • /
    • pp.23-28
    • /
    • 2016
  • Background: Sacral nerve stimulation is a therapeutic option with demonstrated efficacy for conditions presenting with perineal pain caused by different etiologies. We aimed to assess whether a sacral electrode ($Interstim^{(R)}$, Medtronic, Minneapolis, MN, USA) inserted through the caudal pathway is able to offer an acceptable level of sacral stimulation and rate of catheter migration. Methods: We present 12 patients with pelvic pain who received sacral neuromodulation via the sacral hiatus with the InterStim electrode. We evaluated patient satisfaction as well as migration and removal of the electrode, if necessary. Results: Our experience included 12 patients, 10 women and two men, with a mean age of 60 years. In eight of the 12 patients, the initial therapy was effective, and the final system implantation was performed. During subsequent follow-up, patient satisfaction was good. To date, there have been no cases of electrode displacement or migration. Conclusions: The caudal insertion of the InterStim electrode, with its own fixation system, and initially designed for transsacral insertion, appears in our experience to be a satisfactory option which can minimize electrode displacements, achieving similar results in therapeutic efficacy and causing no difficulties in removal.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일하는 방식의 변화와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의 탐색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에 실시된 일본 내각부 조사자료를 중심으로- (Changes in the work arrangements and new lifestyles after the COVID-19 pandemic: Evidence based on survey data from the Japanese Cabinet Office)

  • 이수진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6권3호
    • /
    • pp.87-106
    • /
    • 2022
  •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의 두 시기(코로나19 팬데믹 직후와 코로나19 팬데믹 2년 후)의 일하는 방식, 지방 이주에 대한 관심, 생활만족도 등의 비교를 통해, 코로나19 팬데믹이 장기화되는 과정에서 사람들이 추구하는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자료는 일본 내각부에서 코로나19 팬데믹 확산 직후(2020년 5월)부터 4차례에 걸쳐 실시한 『코로나19 영향에 의한 생활의식 및 행동의 변화에 관한 조사』 데이터이다. 제1회 조사 및 제4회 조사에 모두 응답한 응답자 중에서 20세 이상의 취업자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경권 거주자가 코로나19 팬데믹 직후에 '텔레워크 중심' 일하는 방식을 경험한 비율은 36.1%로 전국의 응답과 비교해서 높다. 둘째, 이들은 텔레워크 중심의 일하는 방식을 경험한 사람과 유연근무를 경험한 사람이 지방 이주에 대해 매우 관심이 있다는 응답이 출근 중심으로 일한 사람보다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텔레워크 경험자의 경우, 생활만족도가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에 비해서 코로나19 팬데믹 직후에 감소했다가 코로나19 팬데믹 2년 후에는 코로나19 확산 이전보다도 높은 수준으로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일하는 방식의 변화는 지방 이주를 촉진하면서 지역 활성화와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을 모색하는 돌파구로서 역할을 기대해 볼 수 있다.

초국적 이동성과 일 경험: 한국 청년들의 싱가포르 해외취업 사례 연구 (Exploring the Transnational Mobility and Work Experience of Young Koreans in Singapore)

  • 육주원
    • 동남아시아연구
    • /
    • 제28권3호
    • /
    • pp.111-158
    • /
    • 2018
  • 최근 정부 및 교육기관 차원의 해외취업/인턴십 프로그램이 증가하면서 싱가포르의 저숙련 저임금 서비스 직종에서 일하는 한인 청년들이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처럼 싱가포르 내 새로운 유형의 한인 이주자로 등장하고 있는 이 청년들과 싱가포르, 한국에서 진행한 심층면접조사를 바탕으로, 이들의 해외 취업 동기와 기대, 취업 이주 경로, 싱가포르에서의 일 경험, 귀국 후 생활을 살펴본다. 싱가포르 해외취업 경험이 있는 청년 중 다수는 싱가포르 취업 사증 중 가장 낮은 등급의 저숙련 사증인 WP(Work Permit)를 소지하고 서비스직에서 근무하며 탈숙련화를 경험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들이 취업 이주를 통해 자신들의 기대와 목표를 충족하고 있는지, 아니라면 어떻게 대응하며, 자신의 이주 경험을 어떻게 해석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최근 증가하고 있는 청년단기 해외취업 현상에 대해 만족도 효용 평가, 프로그램 정책 평가 및 제언 등을 담은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다. 그러나 이를 이주 연구(migration studies)의 맥락에서 살펴보고, 청년들의 구체적인 경험들과 그에 대한 본인들의 해석에 집중하는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는 이들의 경험을 면밀히 살피고, 이를 탈숙련화와 이동성 자본(mobility capital) 개념을 통해 해석해 봄으로써, 청년 해외취업의 구조적인 문제를 드러냄과 동시에 이들의 행위자성에 주목한다.

MBTI와 에니어그램을 이용한 치과위생사들의 성격 분석 유형이 이직 횟수 및 근속년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rsonality types on turnover intention and job retention)

  • 이정우;김명기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48권10호
    • /
    • pp.738-753
    • /
    • 2010
  • Objectives: To deter job migration and to facilitate a more efficient personnel management system, a personality type analysis tool, such as MBTI and Enneagram, may be considered. These tools can facilitate better recognition of talent among prospective employees, as well as more efficient allocation of tasks for greater job satisfaction.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direct interviews with dental hygienists currently employed at two major dental organizations, which operate the largest networks of clinics across the greater metropolitan area. Results : First, in terms of number of turnover experiences, the Head Type showed lower task satisfaction, whereas the Body Type exhibited greater task satisfaction. Second, the Head Type showed greater job satisfaction compared to the other types. Third, the SJ Type, often considered the traditionalist in terms of long-term employments, exhibited greater tendencies toward long-term commitment with one employer. Fourth, dental hygienists, in terms of long-term employment, are negatively affected by task satisfaction, and positively affected by job satisfaction. Conclusions: It is thought to be considerable to use personality type analysis tools in clinical human resource management.

귀농·귀촌인(가구)의 정착 및 적응 실태와 정책적 함의 - 경상북도를 사례로 - (Settlement and Adaptation Status of Urban to Rural Migrants and Policy Implications : the Case of Gyeongbuk Province)

  • 이철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07-225
    • /
    • 2015
  • 본 연구는 경상북도를 사례로 귀농 귀촌의 유형별 정착 및 적응실태를 분석하고, 이에 기초하여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경상북도 귀농 귀촌인(가구)의 속성은 시 공간적으로 차별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이들의 정착 및 적응 실태는 그 유형에 따라 상이한 것으로 밝혀졌다. U턴은 영농과 농촌공동체생활의 경험을 가진 이촌향도 1세대가 주류로, 상대적으로 경종에 종사하는 비중이 크다. J턴과 I턴은 귀농 초기 영농기술과 농촌생활에 대한 경험이 없고 전원생활의 향유가 주된 동기로 상대적으로 저소득층의 비율이 높다. U턴은 상대적으로 타 유형에 비해 적응과정에 있어서의 만족도가 낮고 그 과정의 문제점은 주로 가족 및 공동체 자산을 통해서 해결하고 있다. I턴과 J턴은 정착에 대한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높지만 준비부족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정책적 함의로는 일반적이고 포괄적 지원정책의 탈피, 귀농 귀촌의 지역 및 유형별 속성에 '뿌리내려진 정책(embedded policies)'으로의 전환, 귀농 귀촌정책 거버넌스 체제의 개선, 이주 전 준비과정에 대한 지원 및 유형별 맞춤형 지원의 강화 그리고 귀농 귀촌가구와 기존 주민의 정주기반의 통합적 개선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귀농·귀촌인의 갈등경험이 주민관계, 이주 만족도, 지역사회 참여에 미치는 영향 - 경상남도 의령군 귀농·귀촌인을 대상으로 - (The Effect of Conflict Experiences of Those Who Returned to Farming and Country Affected the Relation with Residents, Satisfaction of Movement and Community Participation Rate - The Case of Returned to Farming and Country of Uiryeong-gun, Gyeongsangnam-do -)

  • 전미리
    • 농촌계획
    • /
    • 제28권3호
    • /
    • pp.61-72
    • /
    • 202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how the conflict experiences of those who returned to farming and country affected the relation with residents, satisfaction of movement, and participation rate in the community with 961 subjects that returned to farming and country in Uiryeong-gun.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15.6% of them experienced the conflicts with original residents.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experiencing conflicts by the type of movement. Those who returned to farming and country from urban areas showed more experiences of conflicts with original residents than those from Uiryeong or rural area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ducate those from urban areas on the detailed conflict cases and countermeasures against the conflicts. Third, those who returned to farming and country with conflict experiences showed more negative perception on the relation with residents, and lower satisfaction level on their returning. Fourth,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conflict experiences and relation with residents, demonstrating lower satisfaction on the returning and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as they perceived the relation with residents more negatively. These study results can be utilized as the basic data to establish the future policies on the supports for settlement of returning to farming and country.

외국인 노동자의 임금에 대한 공정성인식 (Perceived Wage-Fairness of Migrant Workers in Korea)

  • 이정환
    • 한국인구학
    • /
    • 제24권2호
    • /
    • pp.179-206
    • /
    • 2001
  • 이 연구는 한국내 외국인 노동자들이 자신의 임금에 대해 공정성을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으며 또 이러한 인식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한국에서 비슷한 일을 하는 자국인과 한국인 노동자와의 비교를 통해 살펴본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서울, 경인지역의 제조업체에 취업하고 있는 조선족 중국한족, 베트남인, 인도네시아인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전반적으로 외국인 노동자들은 자신들의 임금에 대해 불공정성을 느끼고 있으며, 이러한 성향은 특히 같은 일을 하는 다른 자국인 노동자보다는 한국인 노동자와의 비교에서 더 강하게 나타난다. 주요 변수별로도 공정성 인식은 비교대상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데, 먼저 자국인과의 비교에서는 나이가 적을수록, 여자보다는 남자가, 이주전 월평균수입과 취업비용이 적을수록, 근로조건 만족도가 높을수록 공정성 인식도 높게 나타난다. 한국인과의 비교에서는 필리핀인, 인도네시아, 베트남인, 조선족, 한족의 순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불법체류자가 합법체류자보다, 근로조건만족도가 높을수록 공정성 인식도가 높게 나타난다.

  • PDF

협력적인 차량 엣지 컴퓨팅에서의 태스크 마이그레이션 (Task Migration in Cooperative Vehicular Edge Computing)

  • 문성원;임유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10권12호
    • /
    • pp.311-318
    • /
    • 2021
  • 최근 사물인터넷의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실시간 및 고성능의 처리를 요구하는 서비스들을 위해 멀티 액세스 엣지 컴퓨팅(MEC)이 차세대 기술로 부상하고 있다. 제한적인 서비스 영역을 가지는 MEC 사이에서 사용자들의 잦은 이동성은 MEC 환경에서 다뤄야 할 문제 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성이 많은 차량 엣지 컴퓨팅 환경(VEC)을 고려하였으며, 강화 학습 기법의 일종인 DQN을 이용하여 마이그레이션 여부와 대상을 결정하는 태스크 마이그레이션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기법의 목표는 차량 엣지 컴퓨팅 서버(VECS)들의 큐잉 지연시간의 차이를 이용한 로드 밸런싱을 고려하여 QoS 만족도 향상과 시스템의 처리량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제안한 기법을 다른 기법들과의 성능 비교를 통해 QoS 만족도 측면에서 약 14-49%, 서비스 거절률 측면에서는 약 14-38%로 더 좋은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차량 엣지 컴퓨팅 네트워크에서 로드 밸런싱을 위한 UAV-MEC 오프로딩 및 마이그레이션 결정 알고리즘 (UAV-MEC Offloading and Migration Decision Algorithm for Load Balancing in Vehicular Edge Computing Network)

  • 신아영;임유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11권12호
    • /
    • pp.437-444
    • /
    • 2022
  • 최근 무선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계산 집약적이고 지연시간에 민감한 태스크를 처리하기 위해 모바일 엣지 서비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지상에 고정되어 있는 MEC는 출퇴근 시간과 같이 태스크 처리 요청이 일시적으로 급증하는 상황에 대해 유연하게 대처할 수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UAV(Unmanned Aerial Vehicle)를 추가로 이용해 모바일 엣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 등장하였다. UAV는 지상 MEC 서버와 달리 배터리 용량이 제한되어 있어 UAV MEC 서버 간 로드 밸런싱을 통해 에너지 효율성을 최적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UAV의 에너지 상태와 차량의 이동성을 고려하며 유전 알고리즘 기반의 태스크 오프로딩과 Q-learning 기반의 태스크 마이그레이션을 통한 로드 밸런싱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차량 속도와 수에 따른 실험을 진행하고, 로드 분산, 에너지 사용량, 통신 오버헤드, 지연 시간 만족도 측면에서 성능을 분석하였다.

Recognition and Intent-to-Participate of Rural Migrants on Urban and Rural Exchange Business in Namhae County, South Korea

  • Park, Myeong Sik;Kim, Inhea;Huh, Keun Young;Bui, Hai Dang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85-300
    • /
    • 2021
  • Background and objective: Rural migrants are an important human resource in urban and rural exchange (URE) busines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ir awareness and intent-to-participate.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ural migrants' recognition and intent-to-participate of URE business and to propose the enhancement of them both. Methods: The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analyze the socio-demographic background, motivations, satisfaction with settlement, intent-to-persist, and intent-to-participate of URE business including tourism. The data of 144 respondents was subject to the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The motives of migration were to enjoy leisure life after retirement, increased tiredness of city life, health problems, etc. The satisfaction with settlement was 3.67 at 5-point Likert scale. The intent-to-recommend and intent-to-publicize were 3.40 and 3.46, respectively. The intent-to-participate was 3.45, which was affected by the necessity of URE business and the support of central/local governments, and also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satisfaction with settlement, intent-to-recommend, intent-to-publicize, tourism resources for green tourism or rural tourism, driving a car in Namhae county, and the service and price of meals. They thought the missions that the Namhae county office must focus on were to establish an internal/external public relations systems, establish a support system of central/local governments, and foster/support local leaders.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atisfaction with settlement and intent-to-persist, expand exchanges with local people, improve internal/external public relations systems, foster/support leaders, improve transportation in the county, enhance the service and price of meals, and develop/operate URE programs including tour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