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국적 이동성과 일 경험: 한국 청년들의 싱가포르 해외취업 사례 연구

Exploring the Transnational Mobility and Work Experience of Young Koreans in Singapore

  • 투고 : 2018.07.10
  • 심사 : 2018.08.09
  • 발행 : 2018.08.31

초록

최근 정부 및 교육기관 차원의 해외취업/인턴십 프로그램이 증가하면서 싱가포르의 저숙련 저임금 서비스 직종에서 일하는 한인 청년들이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처럼 싱가포르 내 새로운 유형의 한인 이주자로 등장하고 있는 이 청년들과 싱가포르, 한국에서 진행한 심층면접조사를 바탕으로, 이들의 해외 취업 동기와 기대, 취업 이주 경로, 싱가포르에서의 일 경험, 귀국 후 생활을 살펴본다. 싱가포르 해외취업 경험이 있는 청년 중 다수는 싱가포르 취업 사증 중 가장 낮은 등급의 저숙련 사증인 WP(Work Permit)를 소지하고 서비스직에서 근무하며 탈숙련화를 경험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들이 취업 이주를 통해 자신들의 기대와 목표를 충족하고 있는지, 아니라면 어떻게 대응하며, 자신의 이주 경험을 어떻게 해석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최근 증가하고 있는 청년단기 해외취업 현상에 대해 만족도 효용 평가, 프로그램 정책 평가 및 제언 등을 담은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다. 그러나 이를 이주 연구(migration studies)의 맥락에서 살펴보고, 청년들의 구체적인 경험들과 그에 대한 본인들의 해석에 집중하는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는 이들의 경험을 면밀히 살피고, 이를 탈숙련화와 이동성 자본(mobility capital) 개념을 통해 해석해 봄으로써, 청년 해외취업의 구조적인 문제를 드러냄과 동시에 이들의 행위자성에 주목한다.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recent increase of young Koreans working in the low-skilled service sector in Singapore. Such rapid increase largely results from the Korean government's initiatives to promote labour migration of young people and the concurrent proliferation of migration agencies, against the background of growing youth unemployment in South Korea. By exploring the motivations and trajectories of young people's labour migration to Singapore, this study examines to what extent they think their expectations have been met and how they interpret their migration and work experiences.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that examines the actual voices of young migrants as part of migration studies, whilst the majority of previous research focuses on the evaluation of government support programmes based on job matching rates, surveys of participant satisfaction and etc. Young people who went to Singapore to improve their English language skills and qualifications for future employment in Korea have become frustrated due to low-skilled service jobs that consist of low pay and high labour intensity. Their credentials are devalued and they experience deskilling through this migration process. Most of them were discontent with the Korean migration agencies they used and critical about programmes offered by government institutions and universities/colleges. Despite being subject to deskilling, they did try to actively cope or resist this situa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various ways these migrants attempted to manage the gap between their initial expectations and reality. It also demonstrates how these migrants interpreted their work experiences after returning to Korea: whilst most of them did not cash off their Singapore work experience for a decent job after returning to Korea, they did not define their experience as a complete failure. Adding to cultural, social capital they gained through this experience, they acquired 'mobility capital' which includes confidence, the desire to move, and capacity to control one's own movement.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경북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