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stomus achne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1초

찰가자미(Microstomus achne) 초기생활기의 상대 성장 (Relative Growth of Microstomus achne (Pleuronectidae, PISCES) during Early Life Stage)

  • 변순규;강충배;한경호;김진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970-972
    • /
    • 2013
  • We examined the relative growth of Microstomus achne during early life stages of laboratory-reared larvae and juveniles. Turning points in the relative growth of preanal length and upper jaw length against total length occurred during the settlement period (11.12-19.91 mm in total length). However, turning points in the relative growth of head length and eye diameter, as compared to total length, occurred during metamorphosis (17.57-22.47 mm in total length). Our results suggest that Microstomus achne concentrates its energy on the feeding apparatus (jaw) and digestive organs (intestine) rather than sensory or neural organs (eye, head) during early larval stage growth.

찰가자미, Microstomus achne의 성 성숙에 관한 조직학적 연구

  • 변순규;김성연;백재민;한경호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571-572
    • /
    • 2001
  • 찰가자미, Microstomus achne는 붕넙치과 찰가자미속에 속하며 우리나라의 동남해 연안과 일본, 소련 사할린 및 쿠릴 연해에 분포 서식하는 어류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 주로 어획되는 시기인 겨울철에 찰가자미는 남해와 동해 일부 연안에서 식용으로도 이용되나, 자원량이 많지 않은 유용 수산자원 품종으로 이들 찰가자미에 대한 연구 결과들도 많이 보고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중략)

  • PDF

수온이 찰가자미(Microstomus achne)의 난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ter Temperature on the Embryonic Development of Slime Flounder Microstomus achne)

  • 변순규;이성훈;황재호;한경호;연인호;김진도;이종하;이배익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3권4호
    • /
    • pp.265-270
    • /
    • 2009
  • 찰가자미 Microstomus achne의 어미로부터 수정란을 받아 수온이 난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찰가자미의 난발생 속도와 부화율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난발생이 개시되는 생물학적 영도는 평균 $0.4^{\circ}C$였다. 수정에서 부화에 이르기까지 평균 소요시간은 $9\sim21^{\circ}C$에서 86.5~296.67시간이 소요되었으며, 수온이 높을수록 각 발생단계에 이르는 시간이 짧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부화율은 $12\sim18^{\circ}C$에서 95.8~97.0%였으며, $9^{\circ}C$$21^{\circ}C$에서는 각각 86.9%, 9.3%가 부화되었다. 한편, $24^{\circ}C$에서는 24시간 이전에 모두 사망하였다. 기형어의 발생율은 $21^{\circ}C$에서 88.3%, $9^{\circ}C$에서는 2.1%였으며(P<0.05), $12\sim18^{\circ}C$에서는 0.4~0.8%였다.

  • PDF

찰가자미, Microstomus achne의 성성숙과 생식소발달 (Sexual Maturity and Gonadal Development of Slime Flounder, Microstomus achne)

  • 변순규;김성연;김진도;이배익;이종하;한경호;정민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79-186
    • /
    • 2011
  • 찰가자미는 우리나라 연해, 일본 서해, 발해, 황해 및 동중국해에 서식하며, 겨울철인 12월에서 3월 사이에 어획된다. 채집이 가능하였던 2006년 11월부터 2007년 3월까지 찰가자미의 생체지수, 생식소발달, 생식주기, 난경조성 및 포란수 등을 조사하였다. 찰가자미의 생식소중량지수(GSI)는, 암컷의 경우 11월에 3.8에서 12월 9.76, 1월 12.46까지 계속 상승하다가, 2월에 9.01, 3월 2.72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수컷도 11월 0.44에서 12월 2.46로 상승한 후 l월에 1.77, 2월에 1.18로 점차 감소하여 3월에는 0.4로 감소하였다. 생식소발달 단계는 성숙기(11~1월), 완숙 및 산란기(l2~2월), 퇴화 빛 휴지기 (2~3월)의 연속적인 생식 주기가 관찰되었으며, 주 산란기는 1~2월이었다. 포란수(F)와 전장(TL)과의 관계는 F=29.027TL - 767.8 (r$^2$=0.7686)로 나타났고, F와 체중(BW)과의 관계는 F=0.3998BW +24.288 (r$^2$=0.8919)로 나타났다.

찰가자미 자어에 있어서 먹이생물의 영양강화을 위한 해양세균 (Erythrobacter sp. $S{\pi}-1$)의 이용 (Availability of Marine bacteria (Erythrobacter sp. $S{\pi}-1$) for enrichment of livefood in the slime flounder larvae, Microstomus achne)

  • 강석중;임영수;박상언;이원재;최병대;박흠기;박유수;오혜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798-802
    • /
    • 1999
  • 찰가자미 (Microstomus achne) 자어를 대상으로 해양세균 (Erythrobacter sp. S$\pi$-1)을 공급한 rotifer와 Artemia의 영양개선효과를 Super Selco, 유지효모, 해수산 Chlorella와 비교 조사하였다 해양세균이 포함된 EPS-SR과 Super Selco를 공급한 rotifer에서 지방산중 DHA의 비율이 해수산 Chlorella를 공급한 rotifer보다 높았고, 그 결과 이들을 섭취한 자어의 성장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해양세균이 포함된 EPS-A를 공급한 Artemia는 DHA와 n-3 HUFA의 비율이 다른 영양강화제와 영양강화제를 공급하지 않은 Artemia보다 높았다. 따라서 ESP-A를 공급한 자어의 성장과 생존률이 다른 영양강화제와 영양강화제를 공급하지 않은 자어보다 높게 나타났다. 해양세균 Erythrobacter sp. S$\pi$-1의 먹이 효율적인 측면에서 찰가자미 자어를 대상으로 할 때 먹이생물의 영양을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찰가자미(Microstomus achne)의 난발생 및 자치어 형태 발달 (Embryonic and Larva Development of Slime Flounder, Microstomus achne)

  • 변순규;이성훈;황재호;한경호;강경완;김진도;김이청;이배익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3권4호
    • /
    • pp.281-289
    • /
    • 2009
  • 이 연구는 2006년 1월부터 3월까지 전남 여수시 거문도 해역에서 어획된 찰가자미의 어미로부터 실험실 내 자연 산란을 유도하여 난발생 및 자치어 형태 발달을 관찰하였다. 수정란은 무색 투명한 분리부성란이고, 유구는 없었으며, 난경은 1.64${\pm}$0.03 mm(n=50)였다. 부화에 소요되는 시간은 수온 $9.8\sim13.0^{\circ}C$(평균 $11.4{\pm}1.6^{\circ}C$)에서 수정 후 168시간 40분이었으며, 부화 직후의 평균 전장은 4.05${\pm}$0.18 mm(n=20)였다. 부화 직후 자어는 막지느러미가 발달하였고, 물방울 모양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입과 항문은 열려 있지 않았다. 이때 근절은 14~15+33~34=47~49개였으며, 난황은 장경이 평균 1.64${\pm}$0.12 mm, 단경은 평균 1.23${\pm}$0.19 mm였다. 부화 후 12일째 자어의 전장은 평균 7.32${\pm}$0.42 mm(n=20)로 난황은 완전히 흡수되어 후기 자어기로 이행하였고, 막지느러미 가장자리에는 별 모양 흑색 소포와 나뭇가지 모양의 황색 소포가 더욱 밀집되었고, 척색은 국화 모양의 흑색 소포가 밀집되어 4~5개의 흑색 소포대를 형성하였다. 부화 후 90~93일째 평균 전장이 19.91${\pm}$1.63 mm(n=20)였고, 모든 지느러미 줄기 수가 정수에 달하였으며, 모든 반문이 형성되어 치어기로 이행하였다.

  • PDF

서해 중부 연안생태계 수산자원의 종조성과 계절변동 (Seasonal variation of fisheries resources composition in the coastal ecosystem of the middle Yellow Sea of Korea)

  • 이재봉;이종희;신영재;장창익;차형기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6권2호
    • /
    • pp.126-138
    • /
    • 2010
  • To investigate seasonal variation of fisheries resources composition and their correlationships with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coastal ecosystem of the middle Yellow Sea of Korea, shrimp beam trawl were carried out for the fisheries survey. Fisheries resources of 81 species, 57 families, and 6 taxa totally were collected by shrimp beam trawl in the middle coastal ecosystem of Yellow Sea of Korea. Species were included 6 species in Bivalvia, 6 in Cephalopoda, 22 in Crustacea, 2 in Echinodermata, 5 in Gastropoda, and 40 in Pisces. Diversity indices (Shannon index, H') showed seasonal variation with low value of 2.14 in winter, and high value of 2.67 in spring. Main dominant species were Oratosquilla oratoria, Octopus ocellatus, Acanthogobius lactipes, Cynoglossus joyneri, Rapana venosa venosa, Loligo beka, Chaeturichthys stigmatias, Raja kenojei, Microstomus achne and Paralichthys olivaceus, that were occupied over 58% of total individuals, and 55% of wet weight. Fisheries organism made four coordinative seasonal groups by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showing stronger seasonal variation than spatial variation. PC from PCA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ross-correlationships with seawater temperature, $NH_4$-N, TP and chlorophyll a (P < 0.05).

찰가자미, Micromus achne 자어의 성장과 발달에 따른 소화효소 활성의 변화 (Changes of Digestive Enzyme Activity in Slime Flounder, Micromus achne Larvae with Growth and Development)

  • 박상언;임한규;한현섭;이종하;임영수;이종관;이상민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33-239
    • /
    • 2003
  • 부화 직후부터 변태를 완료하는 58일째까지 찰가자미 자어에서 소화효소들의 활성과 성장이 조사되었다. 자어들은 먹이를 공급하지 않는 조건과 충분히 공급하는 두 가지 조건에서 사육되었고 일정한 간격으로 성장과 함께 acid phosphatase(ACPase), alkaline phosphatase (ALPase)의 비활성 및 trypsin-like enzyme과 pepsin-like enzyme의 활성 변화를 파악하였다. 절식구에서 전장의 성장은 부화 후 7일까지 빠르게 증가하였으나, 이후부터는 거의 변화가 없었고 먹이 공급구의 경우 부화시 5.13$\pm$0.18mm였던 것이 58일 후 13.43$\pm$1.40mm로 성장하였다. 절식구의 개체 당 건조 체중은 부화 직후부터 기아로 사망이 발생한 12일째까지 시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였다. 먹이 공급구의 경우 난황이 흡수될 때까지는 감소하였지만, 부화 후 20일째부터 빠르게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ACPase와 ALPase 비활성은 절식구의 경우 실험을 종료할 때까지 증가하였으나, 먹이공급구는 부화 후 20일까지 증가한 후 실험을 마칠 때까지 서서히 감소하였으며 두 실험구 사이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절식구의 trypsin-like enzyme 활성은 부화 후 3일부터 증가하여 6일째에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난황을 완전히 흡수한 이후부터는 활성이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먹이 공급구의 경우 부화 후 3일부터 난황을 완전히 흡수할 때까지 빠르게 증가하였고,20일째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Trypsin-like enzyme 활성은 부화 후 8일부터 먹이공급구가 절식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epsin-like enzyme 활성은 두 실험구 모두에서 부화 초기에는 증가하였으나, 절식구에서는 실험종료 시까지 감소하였고, 먹이 공급구는 부화 후 10일째 높은 활성을 나타낸 후 일시적으로 감소하지만 부화 후 20일째 다시 높은 활성을 나타낸 후 실험 종료 시까지 서서히 감소하였다. Pepsin-like enzyme 활성은 8일째와 10일째 절식구가 먹이공급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ACPase, ALPase의 비활성 및 trypsin-like enzyme과 pepsin-like enzyme치 활성은 자어의 성장이나 형태 발달과 깊은 연관이 있었다. 그리고 trypsin-like enzyme과 pepsin-like enzyme의 활성은 자어의 발달 단계, 성장 및 먹이 공급 등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자어의 건강이나 성장 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 간접적인 지표로써 이용 할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