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gO

검색결과 7,714건 처리시간 0.038초

$Al_2O_3$/MgO 유전체 보호막의 방전특성 (Discharge Properties of $Al_2O_3$/MgO as a Dielectric Protection Layer)

  • 정진만;신경;이영종;정홍배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199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07-310
    • /
    • 1998
  • In this paper, $Al_2$O$_3$/MgO belayer was prepared with Electron-beam evaporation and the properties of the film was investigated in order to improve the property of MgO film, which is used for the protection layer in PDP(Plasma Display Panel). $Al_2$O$_3$/MgO belayer were improved of roughness and it were condensed by annealing, and the result of XPS analysis for $Al_2$O$_3$/MgO belayer unchanged binding energy. To investigate electric characteristics, discharge properties of $Al_2$O$_3$/MgO belayer were compared with discharge minimum voltage for MgO monolayer through Ar discharge experiments.

  • PDF

졸-겔법에 의한 $MgO-ZrO_2$ 섬유의 제조와 특성 (Preparation of $MgO-ZrO_2$ Fibers by Sol-Gel Method and Their Characterization)

  • 황진명;은희태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1권10호
    • /
    • pp.1147-1158
    • /
    • 1994
  • From Zr(O-nC3H7)4-H2O-C2H5OH-HNO3 starting solutions, MgO-doped stabilized zirconia fibers with varying content of MgO (10~18 mol%) from different MgO sources were fabricated by sol-gel method. The MgO sources used are magnesium nitrate hexahydrate, magnesium acetate tetrahydrate, and magnesium ethylate. The phase transformation studies of a drawn MgO-ZrO2 fiber were carried out using X-ray diffraction, IR spectroscopy, and Raman spectroscopy. The microstructure, tensile strength, and microporosity of fibers were investigated using SEM, tensile strength test, and microporosimeter. Although various MgO sources such as magnesium nitrate, acetate, and ethylate were used, the crystallization behavior of MgO-ZrO2 fibers at different temperature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CubiclongrightarrowMetastable TetragonallongrightarrowMonocliniclongrightarrowCoexistence of Monoclinic and CubiclongrightarrowCubic(trace of monoclinic). At 150$0^{\circ}C$, the phase transformation of MgO-ZrO2 fibers shows the following change depending on the amount of MgO[Mg(NO3)2.6H2O]: At 10 mol%, both monoclinic and cubic phase coexist, at 12 mol%, monoclinic phase decreases rapidly, and then at 14 mol%, only cubic phase remains. When the MgO-ZrO2 fibers containing 12 mol% magnesium nitrate were heated at 80$0^{\circ}C$ for 1hr, average tensile strength of fibers is 4.0 GPa at diameters of 20 to 30 ${\mu}{\textrm}{m}$. As the heat-treatment temperatures increase to 100$0^{\circ}C$ for 1 hr, tensile strength of MgO-ZrO2 fibers decreases rapidly to 0.7 GPa.

  • PDF

CaO 첨가된 MgO의 고압 저온 소결 조건에 따른 물성연구 (Properties of CaO added MgO Sintering at High Pressure and Low Temperatures)

  • 송정호;송오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4185-419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불순물 첨가에 따른 MgO의 소결에 대한 물성변화를 확인하고자 99.9%순도, 300nm크기의 MgO 파우더에 고순도의 CaO를 0wt%, 0.25wt%, 0.50wt% 첨가하여 7GPa의 초고압 하에서 각각 $600^{\circ}C$~$800^{\circ}C$로 5분간 소결을 진행하였다. MgO(-CaO) 소결체의 미세구조와 기계적 물성 변화 확인을 위해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 X-ray diffractometry(XRD), Vickers 경도, 밀도 측정을 진행하였다. SEM 분석 결과 처리전 300nm 의 MgO 응집체는 $800^{\circ}C$ 고압소결 후 CaO첨가와 관련 없이 모두 약 520nm 입도의 소결체가 되었다. XRD 분석결과 CaO상 자체는 확인할 수 없었으나 CaO고용에 따른 MgO 피크의 쉬프트에 의해 CaO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비커스 경도치 확인결과 CaO를 첨가하지 않은 MgO 소결체에 비해 동일 온도조건에서 약 12% 증가하였으며 비슷한 경도치를 얻기 위해 소결온도를 약 $100^{\circ}C$이상 낮출 수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밀도 측정결과 $600^{\circ}C$의 낮은 온도조건 하에서도 CaO를 첨가하지 않은 MgO 소결체에 비해 약 5%이상 증가한 98%이상의 효과적인 소결밀도를 얻을 수 있었다.

K2O-CaO-MgO-SiO2-P2O5계 유리의 제조 및 용출특성 (Dissolution Properties of K2O-CaO-MgO-SiO2-P2O5 Glasses)

  • 이용수;윤태민;강원호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0권11호
    • /
    • pp.1132-1137
    • /
    • 2003
  • 환경친화적인 유리비료로서의 응용을 위해 인산염계 유리의 용출특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0.1K₂O-0.1SiO₂-0.6P₂O/sub 5/계 유리를 기본조성으로 하고, CaO와 MgO의 함량변화를 준 다양한 유리조성에 대한 유리 형성 조건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CaO 및 MgO의 함량변화에 따른 열적특성 및 용출 특성 변화를 확인하였다. MgO 함량의 증가에 따라 유리 전이온도 및 연화온도는 증가하였으며, CaO 및 MgO의 함량변화에 따라 용출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CaO을 첨가한 Mg 및 Mg-Al 합금의 산화거동 (Oxidation behavior of CaO added Mg and Mg-Al alloys)

  • 하성호;이진규;정승부;김영직;조형호;김세광
    • 한국주조공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26-130
    • /
    • 2007
  • Oxidation behavior of CaO added Mg and Mg-5Al alloys was investigated. At $500^{\circ}C$, oxidation rate of pure Mg was abruptly increased, while that of CaO added Mg was remarkably reduced with increasing CaO content. As a result of surface analysis by AES, there was the thin oxide layer mixed with MgO and CaO in CaO added Mg. Oxidation behavior of CaO added Mg was similar to that of Ca added Mg. Oxidation rate of 0.6CaO added Mg-5Al alloy was much lower than that of Mg-5Al alloy at $500^{\circ}C$ and both alloys showed the linear weight change at $400^{\circ}C$.

전로용 MgO-C질 내화벽돌의 손상요인 (Wear Mechanisum of Carbon Bearing BOF Refreactories)

  • 김의훈;오영우;이철수;김종성;김종희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1-59
    • /
    • 1986
  • It was the first time the MgO-C brick was developed for the lining materials in the hot spots in electric are furnace in 1972. MgO-C brick is high registant to thermal and structural spalling. Futhermore for the reason that carbon is hard to react with slag and MgO is high fireproof MgO-C brick shows a high corrosion registance to slag attack compared with conventional basic refractories. Owing to their excellent properties the use of MgO-C refractories are being developed widely in the field of shaped refractories and even in that of monolithic refractories. In this paper the oxidation of carbon the infiltration of slag into the brick texture and effects of addition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The use of fused MgO-clinker and high purity carbon as raw materials increased the corosion registance and hot modulus of rupture of MgO-C brick. 2) As the oxidation reaction of the carbon proceeded the slag infiltrated into the brick texture. And then the slag components reacted with the MgO grains and formed low melting point compounds particulary CaO.MgO.$SiO_2$ and 3CaO.MgO.$2SiO_2$ that resulted in the wear of the brick. 3) It is recongnized the Al, Si, $B_3C$ effects on the oxidation registant properties of MgO-C brick by contribu-ting to the decrease of permeability according to the formation of $Al_4C_3$, SiC, $B_2O_3$ and the decrease of open pores relating to the formation of MgO.Al2O3, $SiO_2$, 3MgO.$B_2O_3$ at the decarbonized layer.

  • PDF

전자빔 증착법으로 증착한 MgO-CaO 박막의 교류형 PDP 보호막 적용을 위한 저전압 특성 연구 (Low-voltage characteristics of E-beam evaporated MgO-CaO films as a protective layer for AC PDPs)

  • 조진희;김락환;이경우;김정열;김희재;박종완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70-74
    • /
    • 1999
  • Plasma Display Panel(PDP)에서 보호막 물질로 사용중인 MgO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MgO-CaO 박막을 전자빔 증착법으로 제조하였다. MgO 최대 증착속도는 1025 $\AA$/min이었으며 CaO 첨가비가 증가함에 따라 증착속도는 감소하였고, XRD 패턴은 전체적으로 낮은 2$\theta$각 방향으로 이동하였다. MgO 대한 CaO의 최대 고용도는 0.13이다. 최적전압특성을 나타낸 조성은 Mg 47.1 at%, Ca 1.3 at%, O 51.6 at%이었으며 이때 방전개시전압은 176 V, 메모리마진은 0.5였으며 증착속도는 515$\AA$/min이었다.

  • PDF

비행시간형 직층돌 이온산란 분광법을 사용한 MgO(001) 면에 성장된 TiO막의 구조해석 (Structure Analysis of TiO Film on the MgO(001) Surface by Time-Of-Flight Impact-Collision Ion Scattering Spectroscopy)

  • 황연;이태근;박병규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57-62
    • /
    • 2002
  • MgO(001)면 위에 Ti 금속을 증착시킨 후 400℃에서 산소에 노출시킴으로써 헤테로 에피탁시 TiO 막을 성장시켰다. 성장된 TiO막의 원자구조를 비행시간형 직충돌 이온산란 분광법을 사용하여 해석하였다. MgO(001)면에 성장된 에피탁시 TiO막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고 있음이 밝혀졌다. Ti및 O 원자가 MgO 원자의 위에 위치하여 면내방향의 격자상수는 MgO의 격자상수와 일치하고, TiO막의 표면은 3차원적 섬 형상이 없는 평활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RF magnetron sputtering으로 성장된 ZnMgO박막의 구조적, 광학적 특성 분석 (Optical and structural properties of ZnMgO thin films by RF co-sputtering)

  • 강시우;김영이;안철현;조형균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7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Vol.8
    • /
    • pp.178-178
    • /
    • 2007
  • II-VI의 넓은 밴드갭 (3.37 eV)을 가지는 ZnO는 solar cells, transparent conductive electrodes, ultraviolet light emitters, and chemical sensors 등에 응용되고 있다. 특히 고효율 ZnO계 발광 소자 구현을 위하여 MgO (7.7eV), CdO (2.0eV) 등의 고용을 통한 밴드갭을 엔지니어링 하며, 단파장 영역의 광원을 확보하기 위하여 MgO 첨가를 통한 밴드갭 에너지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의 연구가 활발하다. 그러나 ZnO의 wurtzite 구조와 MgO의 rocksalt 구조의 상이한 결정구조로 인하여 Mg의 고용한계는 4 at. %, 4.1 eV 알려져 있다. 본 실험에서는 p-type Si (100), c-sapphire (0002)과 GaN 기판 위에 MgO (99.999 %)와 ZnO (99.999 %) 두가지 타겟을 사용하여 RF co-스퍼터링법으로 ZnMgO 박막을 증착 하였다. 이때 ZnO 타겟의 power 밀도는 고정 시키고 MgO 타겟의 power 밀도를 변화 시키며 Mg의 함량을 조절하여 그에 따른 광학적 구조적 특성의 변화를 연구 하였다. 성장된 ZnMgO 박막은 MgO 타겟의 power 밀도가 증가할 때 Mg의 함량이 10 at. %까지 증가 하며, 그에 따른 표면의 거칠기 및 입계 크기가 감소하며, 박막의 성장속도 또한 감소함을 SEM과 AFM을 통하여 알 수 있었다. XRD를 동하여 ZnMgO 박막의 (0002) peak의 위치는 $34.50^{\circ}{\sim}34.7^{\circ}$로 오른쪽으로 이동하며, c-축으로 성장하였음을 알 수 있다. PL과 UV룰 동하여, Mg의 함량이 증가 할수록 박막의 밴드갭 에너지는 3.2 eV에서 4.1 eV 로 증가하였다.

  • PDF

MgO가 과잉첨가된 $30Pb(Mg_{1/3}Nb_{2/3})O_3-20PbTiO_3-50Pb(Mg_{1/2}W_{1/2})O_3$계 세라믹스의 미세구조와 유전특성 (Microstructure and Dielectric Properties in $30Pb(Mg_{1/3}Nb_{2/3})O_3-20PbTiO_3-50Pb(Mg_{1/2}W_{1/2})O_3$ Ceramics with Excess MgO Addition)

  • 길영배;이응상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31-36
    • /
    • 1997
  • 유전율이 높고 온도안정성이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는 Pb(Mg1/3Nb2/3)O3-PbTiO3-Pb(Mg1/2W1/2)O3 계 세라믹스를 산화물혼합법 및 precursor방법으로 제조함에 있어 과잉 MgO의 첨가에 따른 미세구조와 유전특성의 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MgO를 5mol%이상 과잉첨가하여 100$0^{\circ}C$에 소결한 시편의 유전율은 5000이상이고, -55$^{\circ}C$에서 1$25^{\circ}C$범위에서 변화율은 +25%에서 -5$0^{\circ}C$ 정도를 나타냈다. XRD 분석결과 perovskite상과 Pb2WO5 결정이 주된상이었으며, 소결온도 및 MgO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cubic pyrochlore상인 Pb3Nb4O13와 PbWO4는 감소하였다. SEM에 의한 미세구조의 관찰에서 MgO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결정성장이 촉진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것이 소결온도 증가에 따른 pyrochlore상의 감소와 함께 유전율을 증가시키는 원인이었다. BSE관찰에서 화학성분 분포의 불균일성이 나타났으며, 각각의 소결온도에서 생성되는 결정상과 함께 유전율의 온도의존성을 완만하게 만드는 원인임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