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xico City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35초

색채반응 설문분석을 통한 멕시코의 색채 문화심리 연구 (A study on the cultural psychology of colours in case of the mexicans through analyzing the Colour Response Enquete)

  • 박종욱
    • 이베로아메리카
    • /
    • 제12권2호
    • /
    • pp.95-121
    • /
    • 2010
  • The colour response reflects the cultural psychology of a nation or an ethnical group. Therefore the necessity and the importance of the investigations about the colours have been raised recently because of the possibilities for the diverse and practical applications in the modern industries. But there are certain tendencies for the investigations of the colours that depend upon the traditional and generalized approaches with which the meaning of the colour is used to be limited with the generalized interpretations that does not use to pay attention o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a nation or an ethnical group. The object of this study has been planned and realized for the case study in Mexican City. In February of the year 2010 the colour response enquete had been realized during seven days and 128 peoples had participated. We've obtained information through the questionnaire method, getting the fact that the mexicans do response in some other ways.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tell us that the positive colours and the negative ones are different from the colours that the americans and the britains select. This investigation will serve as a basic study on the cultural psychology of the mexicans through the colours.

Seismic response of structures with a rocking seismic isolation system at their base under narrow-band earthquake loading

  • Miguel A. Jaimes;Salatiel Trejo;Valentin Juarez;Adrian D. Garcia-Soto
    • Earthquakes and Structures
    • /
    • 제25권4호
    • /
    • pp.269-282
    • /
    • 2023
  • This study investigates a rocking seismic isolation (RSI) system as a seismic protection measure against narrow-band ground-motions generated by earthquakes. Structures supported over RSIs are considered capable of reducing the lateral demands and damage of the main structural system through lifting and rocking. This lifting and rocking during earthquake activity is provided by free-standing columns. A single-degree-of-freedom (SDOF) system supported on a RSI system is subjected to narrow-band seismic motions and its response is compared to an analog system without RSI. The comparison is then extended to reinforced concrete linear frames with and without RSI; three-bay frames with 11 and 17 storeys are considered. It is found that the RSI systems significantly reduce acceleration and displacement demands in the main structural frames, more noticeably if the first structural mode dominates the response and for ratios of the predominant frequency of the ground motion to the predominant frequency of the main frame near one. It is also found that the RSI system is more effective in reducing lateral accelerations and displacements of the main structure when the aspect ratio, b/h, and size, R, of the free-standing columns decrease, although the rocking stability of the RSI system is also reduced.

19C 필리핀 세부(Cebu) 바하이 나 바토(bahay na bato) 주택의 기후적 인자를 고려한 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Composition influenced by climatic conditions in 19C Bahay na Bato around Cebu city in Philippines)

  • 김영훈;임수영
    • KIEAE Journal
    • /
    • 제13권6호
    • /
    • pp.29-37
    • /
    • 2013
  • The modern town houses in Philippines has been changed through Spanish colonization over 300years and American military administration in 20C. Especially Cebu, the first contemporary capital of colonized Philippines by Spain, has various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remains including old houses. By the economy condition in Cebu growing up, Bahay na bato, stone and wood house, has been settled for the elite or middle class of Cebu around 19C influenced by Spanish or Europe and Philippines native house called bahay kubo. Bahay na bato shows a common features, as revealed in this study, which all of them has a two stories with cut stone curtain wall and wooden beam and lintel, fronting the main street by approaching directly from street. And spatial separating also shown by setting living space to upper level instead of using storage or entrance hall called zaguan in lower level. Bahay na bato studied here shows a particular appearances in elevation, having volada and elaborate geometric or floral window pattern, also playing a role for ventilation with vetanilas below volada and main window in section. They have a rectangular plan with caida, sala, comedo, azotea almost similar to Spanish and ealier colonial Mexico style mixed with Philippines traditional style showing the strong spatial separation functionally and space wideness for party occasionally.

Metastasis Risk Reduction Related with Beta-Blocker Treatment in Mexican Women with Breast Cancer

  • Parada-Huerta, E;Alvarez-Dominguez, TP;Uribe-Escamilla, R;Rodriguez-Joya, JF;Ponce-Medrano, JA Diaz;Padron-Lucio, S;Alfaro-Rodriguez, A;Bandala, C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6호
    • /
    • pp.2953-2957
    • /
    • 2016
  • Background: Breast Cancer (BCa) is the most common malignant tumour in Mexican women. In BCa, several studies have linked ${\beta}2-adrenergic$ receptor activation with increased tumour growth and progression as related with Epinephrine-NorEpinephrine (E-NE) stimula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Beta-Blocker (BB) treatment related with reduction of the risk of metastasis in Mexican patients with BCa. Materials and Methods: We collected data of 120 patients seen at the High-Specialty Naval General Hospital in Mexico City (HOSGENAES), all of these with a histopathological diagnosis of BCa. Four groups of patients were divided as follows: without Systemic Arterial Hypertension (SAH); with SAH treatment with non-selective BB; with SAH treatment with selective BB, and with SAH treatment with other antihypertensive drugs. Chi-square, Mantel-Haenszel, Student t, and ANOVA tests were performed for data analysis. Results: On average, patients were $54.8{\pm}11.8$ years of age. Risk factors such as smoking and consuming alcohol exhibited a frequency of 33 and 36.5% respectively. Clinical stages III- IV were found in 50% of patients, while, 30% of patients had arterial hypertension (n=29 and N=96, respectively) and 17.5% used BB. One hundred percent of patients with arterial hypertension treated with BB for ${\beta}1$ - and ${\beta}2$ -adrenergic-receptors did not present metastasis globally, but patients treated with ${\beta}1$ BB presented 30% of metastasis while patients treated with no BB or without SAH had around 70% of metastasis. Conclusions: In Mexican patients with BCa and SAH treated with non-selective (${\beta}1$- and ${\beta}2-adrenergic$ receptors) BB, a decrease in the risk for metastasis was observed at the time of diagnosis.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with damped seismic buckling-restrained bracing optimization using multi-objective evolutionary niching ChOA

  • Shouhua Liu;Jianfeng Li;Hamidreza Aghajanirefah;Mohammad Khishe;Abbas Khishe;Arsalan Mahmoodzadeh;Banar Fareed Ibrahim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47권2호
    • /
    • pp.147-165
    • /
    • 2023
  • The paper contrasts conventional seismic design with a design that incorporates buckling-restrained bracing in three-dimensional reinforced concrete buildings (BRBs). The suboptimal structures may be found using the multi-objective chimp optimization algorithm (MEN-ChOA). Given the constraints and dimensions, ChOA suffers from a slow convergence rate and tends to become stuck in local minima. Therefore, the ChOA is improved by niching and evolutionary operators to overcome the aforementioned problems. In addition, a new technique is presented to compute seismic and dead loads that include all of a structure's parts in an algorithm for three-dimensional frame design rather than only using structural elements. The performance of the constructed multi-objective model is evaluated using 12 standard multi-objective benchmarks proposed in IEEE congress on evolutionary computation. Second, MEN-ChOA is employed in constructing several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by the Mexico City building code. The variety of Pareto optimum fronts of these criteria enables a thorough performance examination of the MEN-ChOA. The results also reveal that BRB frames with comparable structural performance to conventional moment-resistant reinforced concrete framed buildings are more cost-effective when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height rises. Structural performance and building cost may improve by using a nature-inspired strategy based on MEN-ChOA in structural design work.

국제항공운송 승무원이 항공기내에서 사상(死傷)을 당한 경우 법률관계 - 국내외 판례의 분석을 중심으로 - (Legal Issue in Case of Death or Injury of an International Crew While on Board)

  • 김선아
    • 항공우주정책ㆍ법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37-168
    • /
    • 2020
  • 여객이 1999년 몬트리올 협약 제17조상 사고로 인정되는 범위 내에서 사상을 당하였을 때 항공운송인은 위 협약을 근거로 손해배상을 받을 수 있다. 항공기에 탑승한 승무원이 같은 사고로 인하여 사상을 당한 경우 몬트리올협약을 배타적으로 적용받는 여객과는 달리 항공사와 체결한 근로 계약상 준거법인 노동법에 의하여 보상받게 된다. 승무원이 근로제공을 위하여 항공기에 탑승하는 것은 근로계약을 근거로 한 것이지 항공여객운송계약을 근거로 하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사고로 인하여 항공기에 탑승한 승무원이 사상을 당한 경우, 사용자인 항공사에 대하여 근로계약에 기한 채무불이행 책임을 묻는 경우에는 노동법이, 근로자 또는 유족이 사용자를 상대로 불법행위에 기한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경우에는 민법이 적용된다. 이와 관련하여 중국항공사에 근무하는 중국승무원이 대한민국에서 사고를 당하여 사망한 경우 유족이 중국 항공사를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사건에서 불법행위지인 대한민국에서 국제재판관할이 있는지 여부, 이때의 준거법은 법정지법인 대한민국법이 되는지 근로계약의 준거법인 중국법이 적용되는지 대법원 2010. 7. 15. 선고 2010다18355 판결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서울지방법원 1995.5.18. 선고 94가단14412판결은 비행근무 중 상해를 입은 승무원이 근로기준법상 재해보상,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 보험급여에 만족하지 않고, 사고에 관하여 책임이 있는 사용자나 제3자를 상대로 불법행위나 채무불이행을 원인으로 한 민사상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출근 중 기존의 질병으로 인하여 사망한 사건에서는 근로복지공단에서 망인의 사망을 업무상 재해로 인정하지 아니하여 망인의 부모가 유족급여 및 장의비 부지급 처분을 취소하는 소송에서 1심(서울행정법원 2017.8.31. 선고 2016구합 81642 판결)에서는 업무상 재해로 인정되었지만, 항소심(서울고등법원 2018.7.19. 선고 2017누74186 판결)에서 패소하여 고인의 질병 및 업무량에 관한 분석을 통하여 항소심의 판결을 비판하였다. 승무원의 근무 형태는 타 직종과는 다르게 항공기에 탑승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다른 근무지로 이동하거나 비행근무 종료 후 모기지 또는 체류지로 돌아오기 위하여 비행임무는 수행하지 않으나 비행근무시간의 50%만 인정받는 형태로 항공기에 탑승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여객과 동일하게 간주할 수는 없지만 비행임무를 하지 않는 승무원이 사고로 사상을 당한 경우 근로계약에 기인한 손해배상 청구를 할 것인지 국제항공운송에서 사고발생시 여객에게 적용되는 몬트리올협약이 배타적으로 적용될 지에 관한 논의와 함께 그와 관련된 판례인 In re Mexico City Aircrash of October 31, 1979, 708 F.2d 400 (9th Cir. 1983), Demanes v. United Airlines, 348 F.Supp. 13 (C.D.Cal. 1972), Sulewski v. Federal Express Corp., 749 F.Supp. 506 (S.D.N.Y. 1990)을 검토해 보고 유럽사법재판소(CJEU)에서 Wucher Helicopter GmbH and Euro-Aviation Versicherungs AG v. Fridolin Santer를 통하여 정의한 '여객'의 개념을 명확하게 이해해 보도록 한다.

한반도 미기록 외래식물 좀갯드렁새와 갯드렁새의 분류학적 실체 (New Record for Alien Plant of Diplachne fusca subsp. uninervia and a Taxonomic Identification of D. fusca subsp. fascicularis in Korea)

  • 김중현;김진석;심선희;이웅기;박성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30-137
    • /
    • 2020
  • 경기도 김포시 및 인천광역시 강화군 일대에서 미기록 외래식물 좀갯드렁새[Diplachne fusca subsp. uninervia (J. Presl) P.M. Peterson & N. Snow]가 발견되었다. 이 분류군은 아메리카 원산이며, 여러 나라에서 외래식물로 보고되었다. 국내에서 외래종으로 먼저 보고된 갯드렁새[D. fusca subsp. fascicularis (Lam.) P.M. Peterson & N. Snow]와 근연종이며, 모종인 D. fusca의 종하분류군이다. 좀갯드렁새는 소수, 포영 및 호영의 길이가 짧고 까락이 없는 특징으로 구별된다. 소수의 길이가 짧아 국명을 좀갯드렁새로 신칭하였다. 주요 형질에 대한 도해와 기재,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갯드렁새의 이전 학명인 D. fusca (≡Leptochloa fusca)은 형태적으로 D. fusca subsp. fascicularis와 상이하다. 갯드렁새의 학명을 기준표본, 원기재문, 최근의 논문들을 근거로 D. fusca (≡L. fusca)에서 D. fusca subsp. fascicularis으로 변경한다.

증기운 폭발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확률론적 평가 (Probabilistic Assesment of the Effects of Vapor Cloud Explosion on a Human Body)

  • 윤용균;주은혜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31권1호
    • /
    • pp.52-65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멕시코시티 외곽에 있는 프로판 저장기지인 PEMIX 터미널에서 발생한 프로판 누출에 따른 증기운 폭발을 분석하였다. 누출된 4750 kg의 프로판에 대한 TNT 등가량은 9398 kg으로 평가되었다. 폭원으로부터 40~400 (m) 떨어진 지점에서의 최대과압, 양의 압력 지속시간, 충격량과 같은 폭발변수를 TNT 등가법과 다중에너지법을 적용하여 구하였다. 폭발 변수들을 이용하여 구한 프로빗 함수를 적용하여 폐 손상, 고막 파열, 머리 충격, 전신 전위 충격으로 인한 손상 확률을 평가하였다. 고려한 모든 거리에서 다중에너지법을 이용하여 구한 최대과압이 TNT 등가법을 적용하여 구한 최대과압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200 m 이후 지점부터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다중에너지법에 의해 구해진 최대과압을 적용하여 구조물 손상 범위를 평가한 결과 폭원으로부터 100 m 이내에 있는 구조물의 경우 완전히 붕괴될 것으로 예측되고, 400 m 떨어진 구조물의 유리창도 거의 파손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폐 손상에 의한 사망 확률은 충격파 진행방향으로 위치하고 있는 인체의 자세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체 주변에 반사면이 있는 경우 사망 확률이 가장 큰 것으로 평가되었다. 충격파가 폐 손상, 고막 파열, 머리 충격, 전신 전위 충격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결과 전신 전위 충격 < 폐 손상 < 고막파열 < 머리 충격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랑스 미식 문화의 사례를 통해 본 음식 문화의 유산화(heritagization)와 활용 및 가치증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eritagization of food culture and its utilization and value enhancement through the case of the Gastronomic meal of the French)

  • 박지은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5권4호
    • /
    • pp.296-312
    • /
    • 2022
  • 본 연구는 사회적으로 창조된 유산으로서 오랜 역사를 지닌 프랑스의 미식 문화의 사례를 통해 유산화(heritagization)의 개념 및 과정, 나아가 유산적 차원에서의 음식 문화의 지속가능한 가치 증진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유산은 한 사회가 전승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인식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유산은 한 사회가 보존하기로 선택한 대상이자 그 사회 또는 집단의 정체성을 상징한다. 프랑스는 19세기에 역사적 기념물의 보전을 위해 정책적으로 유산을 지정 및 보호하기 시작하였으며, 유산은 사회적 구축의 창조물로서 가치를 보존·증진하는 대상이 되었다. 세계화와 함께 확산된 유산에 대한 관심은 1972년 유네스코의 국제기구 협약을 기점으로 더욱 강화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관심은 점차 자연 및 도시적 관점의 경관이나 무형문화유산에까지 확장되었고, 2003년에는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이 채택되면서 세계 각국의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 한편 음식 관련 유산의 경우 등재기준 설정의 어려움과 잠재적 상업화 가능성의 이유로 목록에서 배제되어왔다. 그러나 2010년에 지중해·멕시코·프랑스의 음식 문화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에 등재됨으로써 음식 문화에 대한 관심은 물론 한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의 음식 유산 등재에 대한 노력을 촉발시켰다. 프랑스의 음식 문화에 대한 관심은 자국의 문화유산이자 국가적 정체성으로서 오랜 역사를 갖고 있다. 미식가들과 협회 등 민간단체는 물론 정부차원에서도 국가적 정체성과 유산으로서 미식 문화의 보전 및 대중화를 위해 노력하였고, 이론적 논의는 물론 유산목록 작성과 관련 정책을 통해 미식 문화를 유산으로 구축하였다. 그리고 미식도시 네트워크, 국가 식품 프로그램, 프랑스 미식의 해 추진 및 라벨링 등 제도적 접근을 통해 유산의 지속가능발전을 추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