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a analysis

검색결과 2,618건 처리시간 0.036초

GNSS 가강수량 추정시 건조 지연 모델에 의한 복원 정밀도 해석 (Retrieval Biases Analysis on Estimation of GNSS Precipitable Water Vapor by Tropospheric Zenith Hydrostatic Models)

  • 남진용;송동섭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33-242
    • /
    • 2019
  • GNSS를 이용한 가강수량 복원에 있어서 가중 평균 기온과 더불어 천정 건조 지연 모델은 가강수량의 정확도에 중요한 매개변수 중 하나이다. 천정 습윤 지연은 천정 건조 지연 모델의 오차가 축적되는 경향을 가지고 있으므로, 천정 건조 지연의 편의량은 GNSS 가강수량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Saastamoinen, Hopfield 및 Black의 세 가지 천정 건조 지연 모델을 이용하여 GNSS 가강수량을 산출하고 라디오존데 가강수량과의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가강수량 산출에 필요한 가중 평균 기온을 한국형 가중 평균 기온 모델과 라디오존데로부터 실제로 관측한 가중 평균 기온을 각각 적용하여 다르게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상시관측소 5개소의 1년 분량의 GNSS 관측데이터를 취득한 후 천정 건조 지연 모델별로 가강수량을 산출하고 정밀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형 가중 평균 기온 모델에 기반하여 복원한 GNSS 가강수량이 라디오존데의 가중 평균 기온을 적용한 것보다 편의량이 작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GNSS 기상에서 널리 적용하고 있는 Saastamoinen 모델은 우리나라 관측소의 위도나 고도에 의한 편의량이 발생하여 가장 유효한 모델이 아닐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Korean Guidelines for Diagnosis and Management of Interstitial Lung Diseases: Part 2.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 Lee, Sang Hoon;Yeo, Yoomi;Kim, Tae-Hyung;Lee, Hong Lyeol;Lee, Jin Hwa;Park, Yong Bum;Park, Jong Sun;Kim, Yee Hyung;Song, Jin Woo;Jhun, Byung Woo;Kim, Hyun Jung;Park, Jinkyeong;Uh, Soo-Taek;Kim, Young Whan;Kim, Dong Soon;Park, Moo Suk;Korean Interstitial Lung Diseases Study Group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2권2호
    • /
    • pp.102-117
    • /
    • 2019
  •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IPF) is a chronic, progressive fibrosing interstitial pneumonia, which presents with a progressive worsening dyspnea, and thus a poor outcome. The members of the Korean Academy of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as well as the participating members of the Korea Interstitial Lung Disease Study Group drafted this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IPF management. This guideline includes a wide range of topics, including the epidemiology, pathogenesis, risk factors, clinical features, diagnosis, treatment, prognosis, and acute exacerbation of IPF in Korea. Additionally, we suggested the PICO for the use of pirfenidone and nintendanib and for lung transplantation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IPF through a systemic literature review using experts' help in conducting a meta-analysis. We recommend this guideline to physicians, other health care professionals, and government personnel in Korea, to facilitate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IPF.

게임을 읽는 머리, 스포츠 지능이 존재하는가? 스포츠 수행과 관련된 인지기능에 관한 문헌고찰 (Does sports intelligence, the ability to read the game, exist? A systematic revie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ports performance and cognitive functions)

  • 용타위 아차랏;박진한;우민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325-339
    • /
    • 2021
  • 연구의 목적은 문헌고찰을 통해 스포츠 관련 인지기능과 이를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검사도구를 제안하고, 스포츠 지능 연구의 기초를 마련하는 것이다. 문헌고찰은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지침인 PRISMA 연구법에 근거하여 수행되었다. 게재년도 2008-2020년으로 검색기준 설정 후, 키워드를 통해 검색된 총 429편 중 본 연구의 문헌선택 기준을 충족한 45편이 최종 분석되었다. 고찰된 논문 결과를 요약하면, 선수들은 비선수보다 특정 인지기능이 우수하고, 스포츠 전문성이 높을수록 해당 인지기능이 더 높았으며, 종목에 따라 인지기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5편에 대한 종합적 분석결과, 스포츠 수행과 관련된 주요 인지기능은 실행기능(억제능력, 인지유연성), 정보처리속도, 공간능력, 주의력으로 요약된다. 각 인지기능 측정을 위한 검사도구로 억제능력은 정지신호과제, 인지유연성은 설계유연성검사, 정보처리는 단순반응검사와 선택반응검사, 공간능력은 심적회전검사, 주의력은 주의연합검사가 적절하다.

간암에 대한 한약치료: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의 프로토콜 (Herbal Medicine for Liver Cancer: A Protocol for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권승원;송가연;양승보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559-566
    • /
    • 2022
  • 서론: 본 체계적 문헌 고찰의 프로토콜 논문은 간암의 한약 치료에 대한 효과와 안전성의 근거를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방법: 본 체계적 문헌 고찰은 간암에 한약 치료에 대한 무작위 대조 임상시험을 포함할 것이다. 오직 무작위 대조 임상시험 유형의 임상 연구만 포함할 것이다. 시험군의 한약 치료는 한약을 사용한 모든 제형을 포함할 것이며, 대조군은 다른 치료, 플라시보 치료, 서양의학적 치료 등을 포함할 것이다. 다음 11개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검색할 것이다: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MEDLINE, EMBASE, AMED, CINAHL, Chinese database(CNKI), 그리고 다섯 개의 한국데이터베이스(OASIS, DBpia, RISS, KISS, and NDSL). 연구의 선정, 데이터 추출 및 분석 등의 업무는 3명의 연구자가 독립적으로 수행할 것이다. 비뚤림 위험 평가를 포함한 연구의 질적 평가는 Cochrane risk-of-bias assessment tool을 사용할 것이다. 결과: 본 간암에 대한 한약 치료의 체계적 문헌 고찰은 최신의 근거를 요약적이고 분석적으로 제공할 것이다. 결론: 간암의 한약 치료에 대한 효과와 안전성의 근거를 제시할 것이며, 이는 종양학이나 한의학과 보완·대체의료 분야의 종사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저가형 드론의 외부표정요소에 따른 위치결정 정확도 분석 (Positional Accuracy Analysis According to the Exterior Orientation Parameters of a Low-Cost Drone)

  • 김두표;이재원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2권2호
    • /
    • pp.291-298
    • /
    • 2022
  • 최근 개발되는 드론은 저가이면서 운용의 편의성 또한 높아 드론을 이용한 공간정보 제작 및 활용이 나날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저가형의 드론은 저정밀도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IMU (Inertial Measurement Unit)를 탑재하여 영상을 취득하기 때문에 영상이 초기에 가지고 있는 위치정보 및 회전각 요소의 정확도가 낮다. 또한, 기체가 작고 가벼워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일정한 중복도를 유지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가 위치결정 정확도에 영향을 미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외부표정요소 변화에 따른 위치 정확도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시기에 촬영한 영상을 Pix4D Mapper로 영상처리하고 성과물의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외부표정요소에 따른 정확도 변화를 세밀하게 분석하기 위하여 1차 처리 결과의 외부표정요소를 2차 처리 시 메타데이터로 활용하였다. 이후 외부표정요소를 스트립별로 나누어 변화량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회전각 요소 중 Omega, Phi값의 변화는 표고위치 정확도, Kappa값은 평면위치 정확도의 저하에 더욱 관련되어 있음을 입증하였다.

조현병과 제1형 양극성장애의 진단 경계를 넘어선 공통적 후보유전자로서의 CACNA1C에 대한 단일염기다형성 연합 연구 (Association between a Genetic Variant of CACNA1C and the Risk of Schizophrenia and Bipolar I Disorder Across Diagnostic Boundaries)

  • 이보라;백지현;조은영;양소영;최유진;이유상;하규섭;홍경수
    • 대한조현병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43-50
    • /
    • 2018
  • Objectives : Genome-wide association studies (GWASs) and meta-analyses indicate that single-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in the a-1C subunit of the L-type voltage-dependent calcium channel (CACNA1C) gene increase the risk for schizophrenia and bipolar disorders (BDs).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genetic variants on CACNA1C and schizophrenia and/or BDs in the Korean population. Methods : A total of 582 patients with schizophrenia, 336 patients with BDs consisting of 179 bipolar I disorder (BD-I) and 157 bipolar II disorder (BD-II), and 502 healthy controls were recruited. Based on previous results from other populations, three SNPs (rs10848635, rs1006737, and rs4765905) were selected and genotype-wise association was evaluated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nder additive, dominant and recessive genetic models. Results : rs10848635 showe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schizophrenia (p=0.010), the combined schizophrenia and BD group (p=0.018), and the combined schizophrenia and BD-I group (p=0.011). The best fit model was dominant model for all of these phenotypes. The association remained significant after correction for multiple testing in schizophrenia and the combined schizophrenia and BD-I group. Conclusion : We identified a possible role of CACNA1C in the common susceptibility of schizophrenia and BD-I. However no association trend was observed for BD-II. Further efforts are needed to identify a specific phenotype associated with this gene crossing the current diagnostic categories.

장애인 코로나19 영향 연구 동향 분석: 주제범위 문헌고찰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on people with disabilities: Scoping review)

  • 김주희;김예순;김현지;호승희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9-50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 scoping review of the impact of COVID-19 on people with disabilities. Methods: PRISMA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Group's key questions (PICO) for systematic reviews, a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from January 1, 2020 to June 30, 2023 using the "AND" search formula. The databases used were Korea DB: RISS, SCIENCEON, and KoreaMed, and International DB: PubMed, CINAHL, and Embase. Results: Among a total of 22 selected articles, 4 studies were published in korea journals: 3 were survey studies (75.0%), 1 was an analysis study (25.0%), and 18 studies were published in international journal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we confirmed the differences in difficulties between PwD (People with Disability) and PwoD (People without Disability) in the COVID-19 situation, differences by disability type, and post-COVID-19 impact. In order to examine this systematically and objectively, the results were examined by dividing them, which are components based on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Conclusion: In order to respond well to crises and establish effective health policies in similar pandemic situations in the future, understanding and exploration of more diverse types and areas of disability are necessary. In additi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ppropriate health education and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disability type and ICF component area are requir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appropriate health education and health promotion programs tailored to the type of disability and ICF component area.

위암 수술 후 항암치료를 병행한 한의치료의 유효성 및 안전성: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프로토콜 (Efficacy and Safety of Combination Treatment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after Gastric Cancer Surger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rotocol)

  • 김종희;곽은빈;박소정;김동현;김수담;박지혜;유화승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61-371
    • /
    • 2023
  • Objectives : Gastric cancer is a malignant tumor of the digestive tract that not only has a high mortality rate, but also affects quality of life.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acupuncture and herbal medicines can increase the survival rate for Gastric cancer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reatment played an important role when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chemotherapy. However, there is still insufficient evidence to support the efficacy and safety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in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after surger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evaluate the effect of oriental medicine treatment on patients as a complementary therapy for Gastric cancer. Methods : 2 researchers will search using EMBASE, Pubmed, CNKI, Cochrane Library, CiNii, KMBASE, KISS, OASIS, RISS, ScienceON. The search period of the database is from inception until June 2022. This study will includ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GC for acupuncture and herbal treatment. Primary outcomes include anti-cancer effects. Secondary outcomes evaluate survival rates and improvements in quality of life. The data uses Review Manager Software 5.4. Results : This study will provide a systematic evaluation by synthesizing the anti-cancer effect, survival rate and quality of life of Gastric cancer whe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is combined with chemotherapy. Conclusion :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ill provide a basis for determining whether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reatment for Gastric cancer treatment is an effective and safe treatment method in clinical practice.

환자움직임 감지를 위한 효율적인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혼성 모드 영상처리시스템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an efficient hardware and software mixed-mode image processing system for detecting patient movement)

  • 정승민;정의성;김명환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호
    • /
    • pp.29-37
    • /
    • 2024
  • 본 논문에서는 환자와 같은 특정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추적하기 위한 효율적인 영상처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진화된 차 영상에서 객체의 윤곽선추출을 위하여 기존 알고리즘대비 대비 정밀한 감지가 가능하고 혼성모드설계에 용이한 세선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영역을 추출한다. 연산량이 많은 이진화와 세선화 단계를 RTL(Register Transfer Level) 기반으로 설계하여 논리회로 합성을 거쳐 최적화된 하드웨어 블록으로 대체된다. 설계된 이진화 및 세선화 블록은 표준 180n CMOS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논리회로로 합성한 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동작을 검증하였다. 소프트웨어기반의 성능비교를 위해 32bit FPGA 임베디드시스템 환경에서 640 × 360 해상도의 샘플 영상을 적용하여 이진 및 세선화 연산에 대한 성능분석도 실시하였다. 검증결과 혼성모드 설계가 이전의 소프트웨어로만 이루어지는 처리속도에서 이진 및 세선화 단계에서 93.8% 향상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안된 객체인식을 위한 혼성모드 시스템은 인공지능 네트워크가 적용되지 않는 엣지 컴퓨팅 환경에서도 환자의 움직임을 효율적으로 감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팬데믹에 따른 소비자의 피부 관련 관심 영역 변화 분석: 구조적 토픽모델링을 중심으로 (Analyzing Changes in Consumers' Interest Areas Related to Skin under the Pandemic: Focusing on Structural Topic Modeling)

  • 김나경;박지원;문형빈
    • 지식경영연구
    • /
    • 제25권1호
    • /
    • pp.173-192
    • /
    • 2024
  • 최근 뷰티 산업은 급격한 성장과 혁신으로 빠르게 발전하였으며,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마스크 착용 및 비대면 생활의 증가와 같은 생활 양식 변화에 따라 새로운 전환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상에 나타난 소비자의 피부에 대한 의견을 분석하여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뷰티 산업의 변화를 수요 측면에서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7년부터 2022년까지 소셜 미디어에 게재된 게시글 중 '피부 고민'을 포함한 96,908개의 게시글을 수집하고 이를 구조적 토픽모델에 적용하여 피부 관련 주제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소비자가 고민하고 있는 피부 관련 주제는 총 22개로 구분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들 주제는 크게 뷰티 제조업, 뷰티 서비스업·연관산업, 피부고민, 기타 등 4가지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는 분석 기간을 코로나19 팬데믹의 확산 양상을 기준으로 7개 단계로 나누고 각 토픽의 비중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상승, 하강, 일정, 진동으로 구분하여 보았다. 코로나19 팬데믹 전과 후 시점에 대하여 주제별 비중의 변화 양상을 분석한 결과, 피부 고민 중 피부 트러블(여드름)과 이와 관련된 제품(스팟패치)은 상승 분야로, 뷰티 연관산업 중 성형외과와 한의원은 하강 분야로, 뷰티 제조업 중 수분 마스크팩, 메이크업 제품은 큰 변화가 없는 일정 분야로 나타났다. 또한 코로나 발생기간 내에서 팬데믹이 최고조에 달한 시기에는 바디케어 제품과 관련된 토픽이 급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뷰티 산업의 수요 변화에 대응하여 기업이 제품 개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으며, 팬데믹 발생 시 정부가 경제적 지원 정책을 수립하는 경우 정책 추진의 근거로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