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uctural Layers and History of Folding in the Western Part of the Baegunsan Syncline, Samcheog Coalfield, South Korea

백운산향사(白雲山向斜) 서단부(西端部)의 구조계층(構造階層)과 습곡작용(褶曲作用)의 과정(過程)

  • Published : 1982.03.31

Abstract

Typical stratigraphic sequences of Paleozoic form the Baegunsan Syncline (equal to Hambaeg Syncline) and Taebaegsan Group is the basement in the southern part of Kangweon Province. Deformation pattern depends on their stratigraphic site and their internal properties. In the biotite schists and meta-sandstones of Pre-Cambrian sequences, flow folds and ptygmatic folds are developed, and high strain deformation is pervasive. Deformational patterns of Cambro-Ordovician are variable because of their various formations. Fracturing is pervasive in the Jangsan Quartzite and Daegi and Maggol Limestone. Welldeveloped slaty cleavage and angular folds of kink and chevron types are the prevailing structures of pelitic rocks. The most characteristic feature of limestone alternated with argillite is the "Compositional cleavage (Author's proposal)" known as the "Worm-eatern" structures. It was known that this structures have a sedimentary origin. But their preferred orienation of long axis of erosional lime holes, originated from tectonic deformation of folding. And this structures have the same character as the axial plane cleavages. Fracturing and long wave concentric folds are dominant characters of the Upper Paleozic sequences. In this area, two folds are superimposed. Field studying and analysis of structures show that the cross-folds of NS-direction are pervasive and were deformed by the EW-directional Baegunsan Syncline. The cross-folding is the major and penetrative deformation and prior to Baegunsan Syncline.

삼척탄전서부지역(三陟炭田西部地域)의 양단부(兩端部)에 해당하는 본연구지역(本硏究地域)은 태백산통(太白山統)을 기저(基底)로 하여 "조선-평안계(朝鮮-平安系)"의 층서(層序)가 해방전(解放前)에 수립(樹立)되었고 정창희(鄭昌熙)에 의하여 "평안계(平安系)"는 대폭 수정(修正)되었다. 특히 이 지역의 지질구조(地質構造)는 층서확립(層序確立)과 함께 "백운산대향사(白雲山大向斜)"구조(構造)가 이미 오래전에 인지(認知)되었으나 동서성(東西性)의 대습곡구조(大褶曲構造)와 남북성(南北性)의 교차습곡구조(交叉褶曲構造)와의 생성시기(生成時期)의 선후관계(先後關係)에 대해서는 다른 견해(見解)가 대립(對立)되어 왔다. 이 지역(地域)을 대향사(大向斜)의 남익부(南翼部)인 녹전구(碌田區), 북익부(北翼部)인 문곡구(文曲區), 비부(鼻部)인 예미구(禮美區)로 나누어 구조요소(構造要素)를 관측해석(觀測解析)하였던 바, 세 지역의 층이면(層理面)에 대한 ${\pi}$도(圖)에서 얻은 대원(大圓)의 극(極)과 선구조(線構造)의 최대치(最大値)는 비교적 잘 일치하는데 남북성(南北性) 교차습곡(交叉褶曲)의 경향(傾向)과 같다. 이는 남북성교차습곡(南北性交叉褶曲)의 형성과정(形成過程)에서 제구조요소(諸構造要素)가 생성(生成)되었고 동서성대향사(東西性大向斜) 구조(構造)와는 무관(無關)하다는 것을 입증(立證)하므로 선남북성교차습곡후동서성대향사(先南北性交叉褶曲後東西性大向斜)의 습곡작용(褶曲作用)이 있었음을 뒷받침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본역(本域)에 발달(發達)하는 소구조요소(小構造要素)는 대체로 교차습곡(交叉褶曲)에 수반(隨伴)된 것으로 후기(後期)의 백운산향사(白雲山向斜)에 의해서 담란(擔亂)되고 있다. 기반암층(基盤岩層)에는 동사습곡(同斜褶曲)이, 하부고생층(下部古生層) 중의 규암층중(硅岩層中)에는 심한 단열(斷裂)이, 니질암층(泥質岩層) 중에는 각상습곡(角狀褶曲)이, 탄산염암층(炭酸鹽岩層)중에는 조합벽개(組合劈開)가, 상부고생층(上部古生層)중에는 평행습곡(平行褶曲)이 우세하여 층서(層序)에 따른 변형양식(變形樣式)의 차이(差異)를 보이고 있어 구조계층(構造階層)이 성립(成立)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