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교육 및 아동학 관련 국내 학회지에 발표된 영어교육/이중언어발달 관련 논문분석

An Analysis of Korean Domestic Research Trend in English Education and Bi- lingualism of Young Children

  • 안은숙 (경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 김연하 (백석대학교 유아특수교육과)
  • 투고 : 2009.04.30
  • 심사 : 2009.06.24
  • 발행 : 2009.06.30

초록

본 연구는 1990년부터 2008년까지 8개의 유아교육 및 아동학 관련학회지에 발표된 영어교육/이중언어 관련 논문을 37편의 연구대상, 방법, 주제, 변인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러한 연구들이 가설 검증을 통해 경험적으로 도달한 결론들을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아교육/아동학계에서 가장 관심 있게 다루어진 주제들은 영어교육 경험과 유아의 발달, 유아기 영어교육 실태 및 인식, 그리고 영어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가정환경변인과 영어교육/이중언어 발달을 다룬 연구는 소수에 그쳤으며, 이른바 '영어유치원'을 적극적으로 탐색한 연구는 한 편도 없었다. 경험적으로 증명된 결론들을 요약하면, 이중언어 아동들의 언어발달의 양상은 단일언어 아동과는 약간 다를 수 있으나 일정한 연령에 도달하면 단일언어 아동과 유사한 언어능력을 갖게 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외국어로 유아교육기관에서 영어를 배울 경우 연령이 높은 아동들이 어린 아동들보다 영어와 관련된 정보를 더 잘 처리하여 결론적으로 영어학습의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유아기 때의 영어교육경험이 초등학생들의 영어능력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은 관련 연구부족으로 아직 미지수이다. 유아교육기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교수 매체를 이용한 영어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검증연구가 여러 편 이루어졌고, 모두 대상프로그램이 어느 정도 효과적이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연구 설계나 방법이 엄정한 과학적 연구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연구결과에 해석에 주의를 요한다. 외국어로서의 영어교육연구와 이중언어발달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주장하는 바는 하나 이상의 언어에 노출된 경험은 유아들의 상위언어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a total of 37 studies about bi-lingulism and English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published in 8 academic journal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or child development fields. Research topics, participants, methods, and variables in the studies were categorized and descriptively analyzed. The research findings which had been statistically investigated were also summarized. The most frequently studied research topics were children's development and English education program exposure, actual conditions of English education in preschool settings and effectiveness of specific English programs for preschool children. However, children's home characteristics were seldom included as research variables and no research investigated so called English preschools. Several studies reported that bi-lingual children may have different language development paths from mono-lingual children but they eventually have comparable language abilities to mono-lingual children. Also some studies reported that, when learning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in school settings, older children can handle more information regarding English than younger children, resulting in better outcomes of older children. Exposure to two languages in early childhood seems to contribute to young children's meta linguistic awareness but the long term effect of English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should be further studied. Several English education programs for preschool settings were developed and the effectiveness were investigated. Even though most of them reported that their programs were effective to children's English ability or interests, the results should be carefully interpreted because their research designs and methods were not rigorous.

키워드

참고문헌

  1. 영어유치원의 문제점 (2004. 2. 22). 한겨례 신문. 자료인출 2009년 5월 1일, 출저 http://www.hani.co.kr/section-005006001/2004/02/005006001200402221210163.html
  2. 소극적인 우리아이 영어유치원 보낼까 말까?(2008, 11. 09.). 조선일보. 자료인출 2009년 5월 1일, 출저 http://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08/11/09/2008110900262.html
  3. 조복희 (2002). 생활과학연구법. 서울: 교문사.
  4. 조영달 (2006). 교육인적자원부 정책연구과제: 다문화가정 교육지원을 위한 자료 개발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5. De Houwer, A. (1995). Bilingual language acquisition. pp. 219-250. in The handbook of child language, (ed) P. Fletcher and B, MacWhinney. Oxford: Blackwell.
  6. Gathercole, V. C. M., Sebastian, E., & Soto, P. (2002). The emergence of linguistic Person in Spanish-speaking children. Language Learning, 52(4), 679-722. https://doi.org/10.1111/1467-9922.00201
  7. Hakuta, K., Bialystok, E. & Willey, E. (2003). Critical evidence: A test of the critical-period hypothesis for second-language acquisition. Psychological Science, 14, 31-38. https://doi.org/10.1111/1467-9280.01415
  8. Hoff, E. (2005). Language Development Third Edition. Thomson Learning.
  9. Johnson, J., & Newport, E. (1989). Critical period effects in second language learning: The influence of maturational state on the acquisition of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Cognitive Psychology, 21, 60-99. https://doi.org/10.1016/0010-0285(89)90003-0
  10. Kim, H. S., Relkin, N. R, Lee, K, M., & Hirsch, J. (1997). Distinct cortical areas associated with native and second languages. Nature, 388, 171-174. https://doi.org/10.1038/40623
  11. Oller, D. K., & Pearson, B. Z. (2002). Assessing the effects of bilingual: A background. in Language and Literacy in Bilingual Children, (Ed) D. K. Oller. Clevedon, UK: Multilingual Matters.
  12. Pearson, B. Z., Fernandez, S. C., Lewedeg, V., & Oller, D. K. (1997). The relation of input factors to lexical learning by bilingual infants. Applied Psycholinguistics, 18, 41-58. https://doi.org/10.1017/S0142716400009863
  13. Pearson, B. Z., Fernandez, S. C., & Oller, D. K. (1993). Lexical development in bilingual infants and toddlers: Comparison to monolingual norms. Language Learning, 43, 93-120. https://doi.org/10.1111/j.1467-1770.1993.tb00174.x
  14. U.S. Department of Education. (2003). Identifying and implementing educational practices supported by rigorous evidence: A user friendly guide.
  15. http://www.ed.gov/rschstat/research/pubs/rigorousevid/rigorousevid.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