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ntoring

검색결과 365건 처리시간 0.032초

창업 멘토링 교육 요인이 창업교육 만족도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s of Start-up Mentoring Educational Factors on Satisfaction with Start-up Education and Start-up Intention)

  • 김기홍;김용태
    • 벤처창업연구
    • /
    • 제9권5호
    • /
    • pp.33-41
    • /
    • 2014
  • 최근 들어 창업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창업교육이 이뤄지고 있다. 아울러 창업교육의 양적인 증가와 더불어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창업교육 방법의 전문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창업 멘토링 교육 요인을 교육 콘텐츠 특성, 교육시스템, 멘토 역량으로 분류하여 이러한 요인들이 창업교육 만족도 및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창업 멘토링 교육 요인중에서 교육 콘텐츠 특성과 멘토 역량이 창업교육의 만족도를 높게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창업 멘토링 교육 콘텐츠 특성과 시스템은 창업의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창업교육의 효과적인 방법으로 확산되고 있는 창업 멘토링 교육에서 우수한 교육 콘텐츠 확보와 멘토 역량 강화의 중요성을 강조함으로써 향후 다양한 분야에서의 창업 멘토링 운영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있다고 하겠다.

  • PDF

초임 과학교사 지원을 위한 멘토링의 효율성 연구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the Mentoring System to Support Beginning Science Teachers)

  • 곽영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3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초임교사를 포함하여 수업전문성 개발이 요구되는 교사를 지원하기 위한 방편으로써 멘토링 체제의 효과와 가능성을 탐구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수업전문성 제고를 통한 교사의 책무성 제고가 요청되며, 여기서 현장 경험 속에서 교사의 수업전문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멘토링이 주목되고 있다. 멘토링이란 개별 교사의 전문성과 경력발달과 연계하여 해당 교사가 전문적으로 그리고 개인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으로 때로는 전문가-초보 관계로 운영된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전문성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멘토링 체제 도입 방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교과별로 멘토-멘티를 최소 3쌍 정도 구성하여 멘토링을 시범운영해 본 결과를 토대로 멘토링 체제 도입과 관련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단원의 전 차시 수업에 대하여 멘토와 멘티가 수업동영상을 만들고 그 동영상을 활용하여 수업컨설팅에 초점을 둔 멘토링(video-based discussions)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참여교사의 개인적, 집단적 발전을 촉진할 수 있었다. 멘토와 멘티가 협력하여 수업에서 드러난 증거에 기반을 둔 공동탐구를 수행함으로써 반성적 경험을 공유할 수 있게 된다. 과학과 멘토링 체제 적용 결과를 멘토링의 필요성과 목적, 초임교사 지원을 위한 멘토링의 필요성, 역할 기대에 비추어본 멘토의 자격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하였다. 결론에서는 멘토링 체제 운영상의 유의점을 논의하였다.

멘토역량과 멘토링기능이 창업멘토링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창업가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Mentoring Skills and Mentoring Functions on Start-up Mentoring Satisfaction: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Entrepreneurs)

  • 유병준;전성민;석민성
    • 벤처창업연구
    • /
    • 제13권6호
    • /
    • pp.15-25
    • /
    • 2018
  • 고용 없는 성장이 뉴노멀(New normal)로 자리 잡고 평균 수명이 늘어남에 따라 양질의 일자리를 찾는 것이 어려운 상황이다. 이러한 악조건에서 양질의 일자리 창출기능을 담당할 수 있는 창업은 정부의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으며, 그 결과 다양한 창업 지원 프로그램이 도입 운영되고 있다. 한국도 정부 주도의 다양한 창업 지원 프로그램이 2000년대 후반부터 운영되어 창업 건수가 증가하였으나, 전문성과 경험이 부족한 상태에서 창업한 경우가 많아 오래 사업을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창업자들에게 도움을 주는 방법으로 최근 창업멘토링이 주목을 받고 있으나 만족도에 대한 편차가 크며 창업가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멘토링이 효과적으로 이뤄지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진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창업멘토링 만족도를 종속변수로 보아 실증분석을 하여 창업멘토링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가설을 검정하였으며, 멘토역량과 멘토링기능이 창업멘토링 만족도를 높이지만 창업가특성의 조절효과는 유의미하지 않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유의미한 창업가특성 조절효과가 나오지 않은 이유에 대한 해석은 다양할 수 있지만, 선행연구를 고려해본다면 표본을 수집한 창업멘토링 기관이 높은 경쟁률로 인하여 면접과정을 거쳐 지원자 중 일부만 멘티로 선발하기 때문에 예측변수의 범위 제한(range restriction)이 발생하여 실제보다 작은 상관계수가 구해졌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창업가특성을 고려한 창업멘토링이 운영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주었다는 점에서 향후 창업 지원 정책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초임 과학 교사에 대한 멘토링 효과 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Exploration Factors Affecting Maintenance of the Effect of Mentoring for Beginning Science Teachers)

  • 박지훈;남정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64권6호
    • /
    • pp.401-415
    • /
    • 2020
  • 이 연구에서는 초임 중등 과학 교사의 멘토링 효과의 지속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 참여한 초임 과학 교사인 멘티 교사는 2014년부터 2018년까지 협력적 멘토링에 참여하였던 멘티 교사 10명이고, 멘토링 진행 당시 제출하였던 1차시 및 5차시 수업 동영상, 멘티 및 멘토 저널, 2019년도에 촬영한 수업 동영상, 멘토링 프로그램 반성 설문지, 인터뷰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로부터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멘토링에서 경험한 멘티 교사의 반성적 사고의 경험은 멘토링 이후에도 지속되었으며, 이는 멘토링 효과의 지속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멘토링 당시 RTOP 점수의 상승이 있었던 그룹의 경우 반성적 사고와 반성적 실천이 나타났으며, 이들 대부분은 멘토링 이후에도 여전히 자신의 수업에 대한 반성을 바탕으로 구성주의에 기반한 수업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멘토링 당시 반성적 사고가 일어나지 않았던 멘티 교사의 경우 긍정적인 수업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멘토링에서의 반성적 실천은 이후 멘티 교사의 교수학습 방식에 영향을 미쳤다. 멘토링 당시 RTOP 점수의 상승이 있었던 그룹의 경우 멘토링 프로그램에서 배운 학생 중심 수업 모형을 자신의 수업에 적용하기 위해서 노력하였으며, 이 그룹에 속한 대부분의 멘티 교사들이 멘토링이 종료된 이후에도 그 학습 모형을 이용하여 수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반성적 사고와 반성적 실천이 멘토링 효과를 결정하는 핵심적인 요소가 될 뿐만 아니라, 멘토링 효과의 지속을 결정하는 요소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텍스트성을 활용한 다문화 멘토링 활동에서의 수업비평 탐색 (Exploring class criticism in multicultural mentoring activities using textuality)

  • 오세경;황해영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563-57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인 멘토들의 전문성 신장과 비평적인 성찰을 유도하기 위해 다문화 멘토링 수업활동에 대한 방향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멘토-멘티의 다문화 멘토링에서 이루어지는 전반적인 활동 내용 및 현상을 활동 텍스트로 보고, 일곱 가지의 텍스트성을 적용하여 다문화 멘토링 수업활동에 대한 방향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응결성은 멘토와 멘티가 다문화 멘토링 수업활동을 지속적으로 하기 위한 관계적인 측면을 뜻하고, 응집성은 수업활동 과정에서 파생되는 의미들이 결속되어 멘토와 멘티 모두에게 수업활동에 대한 하나의 주제나 정체성을 이루어 내는 것을 말한다. 의도성은 멘토가 멘토링 수업활동 전에 수업에 대한 의도나 목표를 갖는 것을 의미하고, 용인성은 다문화 멘토링 수업활동 과정에서 멘토가 생산한 텍스트를 멘티에 의해 받아들여질 때 수업활동 텍스트로서 의미를 가지는 것을 말한다. 정보성의 경우 수업활동 과정에서 멘토가 생산한 텍스트를 멘티가 예측가능할 때에는 정보성이 낮으며, 예측가능 정도가 낮을 경우에는 정보적인 가치가 높다는 관점이다. 상황성은 수업활동 과정에서 물리적인 텍스트 상황과 멘티의 상황에 따라 수업활동에 대한 상황성은 달라질 수 있고, 상호텍스트성은 다문화 멘토링 수업활동의 경우 멘토가 수업활동 텍스트를 새롭게 창조하여 생산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멘토의 학습경험, 동료 친구의 자문, 교육 등을 통해 수업활동 텍스트를 생산하는 것과 관련된다.

시큐리티요원의 멘토링유형과 경력개발 및 경력만족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Types of Mentoring, Career Development and Career Satisfaction among Security Agents)

  • 김찬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351-358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시큐리티요원의 멘토링유형이 경력개발 및 경력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2010년 서울소재 5개소 경호경비회사의 시큐리티요원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판단표집법을 이용하여 최종분석에 이용된 사례 수는 총 227명이다.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총 3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 자료를 토대로 멘토링유형, 경력개발, 경력만족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분석, 변수간에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값이 .606이상으로 나타났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큐리티요원의 멘토링 유형은 경력개발에 영향을 미친다. 즉, 체계적 멘토링이 활성화되면, 혁신적 자기 개발, 전문능력 개발, 정보경쟁력 개발은 촉진된다. 반면 비체계적 멘토링이 활성화되면 정보경쟁력 개발이 촉진된다. 둘째, 시큐리티요원의 멘토링 유형은 경력만족에 영향을 미친다. 즉, 체계적 멘토링이 활성화될 경우 경력만족은 증가한다. 셋째, 시큐리티 요원의 경력개발은 경력만족에 영향을 미친다. 즉, 혁신적 개발, 전문능력 개발이 촉진되면, 경력만족은 증가한다.

청년 창업 멘토링이 기업가정신과 초기 기업의 창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심층 인터뷰와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Youth Startup Mentoring on Entrepreneurship and Early Startup Business Performances -Centered on In-depth and Focus Group Interviews-)

  • 안혜진;이승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560-575
    • /
    • 2020
  •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창업 멘토링이 (예비) 창업자의 기업가 정신과 초기 기업의 창업 성과에 미치는 실질적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참여자들의 숨겨진 의도를 분석하기 위해 문헌연구법, 심층 인터뷰,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연속적으로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멘토링에 대한 기대가 높았던 참여자일수록 부정적인 평가를 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멘토링을 기대 이하라고 말한 경우도 다수였다. 둘째, 창업 멘토링은 기업가정신 형성에 긍정적 영향을 끼쳤으며 그중에서도 창조·혁신 분야에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드러난다. 셋째, 창업 멘토링은 창업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기관이 멘토-멘티 사이에 적극적으로 개입할 필요가 있다. 넷째, 대다수의 참여자가 창업 멘토링에 대해 낮은 만족도를 표하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창업 지원 기관의 의도와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와 향후 창업 멘토링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초등학교 도서관의 학부모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arents Mentoring Programs Supported by Elementary School Libraries in Seoul)

  • 조인숙;김희숙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55-166
    • /
    • 2009
  • 본 연구는 서울시 북부교육청에서 실시하고 있는 저소득층 학생을 위한 학교도서관 내 학부모 멘토링 프로그램을 조사 분석하기 위하여 서울북부지역 5개 초등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학교도서관 학부모 멘토링 프로그램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우선 학교별 멘토링 현황을 분석하고 멘토, 멘티, 전담자에 대한 설문조사 및 담임교사와 방과 후 교사를 포함한 면담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멘토링 후에 멘토가 작성한 멘토링 활동일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학교도서관 학부모 멘토링 프로그램은 학교도서관의 역할을 확대하고 사회적으로 소외받을 수 있는 대상아동에 대하여 독서를 통하여 더 넓은 세계를 접하도록 함으로써 책과 함께 한 작은 소통이 궁극적으로 사회양극화 해소를 위한 하나의 계기를 만들어 가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창업 멘토링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Study of the Entrepreneurial Mentoring Scale)

  • 조장현;박정열
    • 벤처창업연구
    • /
    • 제12권5호
    • /
    • pp.67-77
    • /
    • 2017
  • 본 연구는 창업 멘토링 특성에 맞는 창업 멘토링 척도 개발을 목표로 진행되었다. 최근 들어 창업에 대한 니즈가 커짐에 따라 창업교육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창업 멘토링은 그 비중과 중요성이 커지고 있지만, 창업 멘토링 특성을 반영하여 고안된 창업 멘토링 척도에 대한 연구가 그동안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구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질적 양적 연구를 수행하였는데, 먼저 문헌연구와 전문가집단 토론을 거쳐 창업 멘토링 기능 측정을 위한 설문 문항을 도출하고, 설문을 진행하여 이를 실증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의 1단계로 문헌연구를 진행하고 2단계에서 전문가집단 토론을 통해 창업 멘토링 기능의 하위요인과 측정 문항을 도출하였다. 3단계로 박사급 전문가들이 2단계에서 도출된 창업 멘토링 기능 측정을 위한 설문 문항을 선정하고, 4단계로 내용 타당도와 안면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설문지로 전국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에 소속된 창업 멘토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153부). 다음으로 5단계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문제해결, 네트워킹, 의사소통, 동기부여라는 4개 요인을 도출하였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여 최종적으로 4개 요인과 15개 측정 문항에 대해 요인들 간 구조가 타당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학문적으로는 국내 최초로 질적 양적 접근방법으로 창업 멘토링 특성을 반영한 창업 멘토링 기능 척도를 연구했다는 점이다. 다음으로 실무적으로는 창업 멘토들을 대상으로 멘토링 기능 측정을 보다 정확할 수 있게 되어 향후 창업 멘토링 프로그램의 수준을 높이는데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기업가적 기민성과 멘토링 및 멘토링 횟수와 기업성과 관계에서 기회인지의 매개효과 영향 (Mediating Effect of Opportunity Recognition Among Entrepreneurial Alertness, Mentoring, & Number of Mentoring on New Ventures' Performance)

  • 박미정;이선호;황보윤
    • 벤처창업연구
    • /
    • 제16권4호
    • /
    • pp.1-24
    • /
    • 2021
  • 최근 정부는 제2 벤처 붐 확산을 위해 창업지원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지원 규모도 늘리고 있다. 그러나 창업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창업가가 갖추어야 할 기업가정신 교육이나 멘토링이 중요한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정부 지원프로그램에 선정된 기업 중 일부에서는 사업화 자금만을 목적으로 하고 기업가정신 교육이나 멘토링 등의 프로그램 참여를 기피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정부 창업지원사업에 선정된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제공되고 있는 멘토링의 내용과 횟수, 그리고 기업가적 기민성이 기회인지를 매개로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연구함으로써 기업가적 기민성과 멘토링 프로그램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본 연구 실증분석에 따르면 첫째, 기업가적 기민성의 하위요인인 연합-연결력을 제외하고는 관찰-탐색력과 평가-판단력은 기회인지를 매개로 기업의 성과(재무, 비재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금조달, 기술지원, 경영지원 멘토링은 기회인지를 매개로 기업의 재무 및 비재무성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멘토링 횟수 또한 기회인지를 매개로 기업의 재무, 비재무성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기업가적 기민성 하위요인 중 연합-연결력이 기회인지를 매개로 기업성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볼 때 프로그램 운영자들이 프로그램 설계와 운영시 창업자의 전략적 의사결정 기회를 침해하지 않는 방안에 대해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재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정부 창업지원 사업에서 창업기업에 제공되는 멘토링이 중요하다는 것이 실증적으로 규명된 만큼 각 창업기업의 성과목표에 맞는 맞춤형 멘토링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기여점은 기업가정신에 관한 연구에서 핵심 구성 요소로 다루어지고 있는 기업가적 기민성과 기회 인지, 그리고 실무적 측면에서 창업기업 성과에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는 멘토링과 멘토링 횟수에 대한 요인들을 기업성과 영향 요인으로 이론적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는 점이다. 아울러 멘토링을 지원하는 창업기업 지원 기관들에게 논리적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