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ntor

검색결과 290건 처리시간 0.029초

문화역사 활동이론 관점에서 예비과학교사 공동체의 수업에 대한 반성 분석 - 3년간의 생물 실험교실 프로그램 운영 사례 (Analyzing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 Community's Reflection on their Instructions from the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etical Perspective: A Case of Three Years of Biological Laboratory Class)

  • 심현표;유금복;전상학;황세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523-53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와 학교 현장의 연계를 통하여 진행된 실험교실의 사례에서, 3년간의 수업 후 평가회에서 나타나는 예비교사 공동체의 반성을 문화역사활동이론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먼저, $Engestr{\ddot{o}}m$이 제안한 활동 체계를 이용하여 사회문화적 요소를 파악하였고, 반성의 양상을 '반성 주제의 다양성'과 '반성의 실제성'의 측면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공동체의 반성과 실행의 순환 과정 속에서 나타나는 한계점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3년간의 수업 후 평가회에서 예비교사 공동체 반성의 사회문화적 요소는 변화하였는데, 수업평가회의 정례화, 도구의 도입, 평가회 운영 주체의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 과정 속에서 반성의 주제는 다양해지고, 실제적인 논의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시간 관리, 학생의 참여, 지도서인 '멘토의 역할'에 대해서는 반성적 실천이 발전되지 못하고 매번 비슷한 패턴의 논의가 반복되었다. 이러한 결과 분석을 토대로 활동체계의 측면에서 예비교사 공동체의 반성적 논의를 촉진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R&E 프로그램을 체험한 과학영재들의 사사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인식: KAIST 신입생을 중심으로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Perception of the Impact of R&E Program based on KAIST Freshmen Survey)

  • 김경대;심재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82-290
    • /
    • 2008
  • R&E 프로그램은 한국과학영재학교와 과학 고등학교의 과학영재들을 위한 사사교육 프로그램으로, 1년 동안 현직 과학자와 과학교사가 멘토로 참여하며 학생들이 실제 연구 과제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다. 이 연구에서는 R&E 프로그램의 주요 목적인 연구 중심의 자기 주도적 학습, 과학적 탐구능력과 창의적인 문제해결능력의 신장, 과학자의 생활과 자세에 대한 인식과 희망 전공 등의 항목에 대해서 R&E 프로그램을 경험한 한국과학기술원 학부과정 신입생 182명을 대상으로 사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해서 스스로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 설문조사를 통하여 이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첫째, 프로그램 참여를 통하여 동료들과의 협력(81.0%), 전문 과학지식의 습득(80.8%), 과학자의 생활과 자세에 대한 이해(77.5%), 과학에 대한 흥미(68.7%), 과학적 탐구방법(62.7%), 창의적 사고력(61.5%) 등의 순으로 향상되었다고 긍정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KAIST 신입생들 사이에 출신 고등학교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과학적 탐구방법 향상(p<.01), 연구과제에 관한 전문적인 과학지식 향상(p<.01)의 항목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과학자로서의 품성 및 자질 함양, 과학적 탐구능력과 창의적 사고력 향상이라고 하는 과학영재를 위한 사사교육으로서 R&E 프로그램의 목적이 충분히 달성되고 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한국형 성인 ADHD 평가척도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Korean Adult ADHD Rating Scale)

  • 강태웅;김재원;반건호;송숙형;김준원;김지훈;김윤정;김의정;김태호;양수진;양재원;이소영;박준호;최지욱;한덕현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6권4호
    • /
    • pp.295-310
    • /
    • 2015
  • Objectives : Symptoms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during childhood may persist into adulthood. This study included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process of the Korean Adult ADHD Rating Scale (K-AARS), which was developed for screening and monitoring treatment of adults with ADHD. Methods : Preliminary questionnaires of the K-AARS were based on the reviews of previous adult ADHD scales and clinical experiences of the board certified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sts in Korea. For this study, 136 adults (18-50 years old) with inattention, hyperactivity and/or impulsivity symptoms were enrolled as ADHD subjects, and compared with 406 control subjects (18-50 years old) without ADHD symptoms. Construct validity was examined using explorative factor analysis and Cronbach's alpha to obtain internal reliability coefficients. Concurrent validity was evaluated by comparison with the Conners' Adult ADHD Rating Scale (CAARS). Results : An explorative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K-AARS had 8 factors (inattention, hyperactivity, impulsivity,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conduct disorder/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impairment, driving, emotional dysregulation, disorganization). K-AARS was highly reliable in terms of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s alpha 0.77-0.95) and correlation between factors (0.57-0.86). Concurrent validity with the CAARS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 The K-AARS is a valid and reliable measure for assessment of Korean adults with ADHD.

협력적 멘토링 과정에서 나타나는 초임중등과학교사의 교수실행 문제점 (An Analysis on Beginning Secondary Science Teachers' Problems in their Teaching Practice through Collaborative Mentoring)

  • 박지훈;남정희;권정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557-564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과학교사의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협력적 프로그램에 참가한 초임중등과학교사의 교수실행에서의 문제점을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자는 대학교 과학교수학습센터에서 주관한 중등과학교사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멘토링 연수 프로그램에 참가한 24명의 교사 중 5번의 멘토링 과정을 모두 이행한 6쌍(12명)을 선정하였다. 연구를 위해 멘토 및 멘티 저널, 일대일 멘토링 녹음본 및 전사본, 멘토링 중간과 사후에 실시한 인터뷰 녹화본과 전사본, 멘토링 초기와 후기에 실시한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이러한 자료를 통해서 얻은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멘티교사는 수업을 준비할 때 수업목표를 명확하게 정하지 않았으며, 학생들의 성취수준을 고려하지 않고 수업내용을 선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학적인 개념 이해에서도 어려움을 나타내었다. 대부분의 멘티교사는 한 차시에 너무 많은 내용을 수업하였으며 발문의 형태는 학생들의 사고를 이끌어내는 발산적 발문보다는 수렴적 발문이 대부분 이였다. 또한 학생들의 행동을 잘 통제하지 못하여 실험수업이나 탐구수업 수행 시 힘들어 하였으며 대부분의 수업에 학생의 참여가 없는 교사중심의 강의식 수업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멘티교사들 중 일부는 자신의 교수실행에 대해 문제라고 인식한 부분에 대한 반성을 하였고 교수실행의 개선으로 이어졌다. 같은 문제점을 가진 멘티교사라도 자신의 문제점에 대해 인식하고 반성을 한멘티교사는 문제점이 해결되는 모습을 보였으나, 반성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에는 멘토링이 진행되는 동안 계속해서 동일한 문제점을 나타냈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초임 과학 교사의 교수 실행에 대한 반성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등 과학영재교육에서 초임 교사의 수업 전문성 제고 전략으로써의 멘토링 적용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Use of Mentoring as a Method of Improving Novice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ism in Secondary Science-Gifted Education)

  • 노태희;강석주;강훈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331-345
    • /
    • 2012
  • 이 연구는 중등 과학영재교육에서 초임 교사의 수업 전문성 제고 전략으로써의 멘토링 적용에 관한 사례연구로, 멘토링 과학영재수업의 특징을 수업 계획, 수업 진행, 수업 평가, 멘토링 적용 후 단계로 나누어 분석했다. 한 명의 멘토와 두 명의 멘티를 선정한 후, 멘티별로 중등 과학영재수업 중에서 총 3회에 걸친 9차시의 수업에 대해 멘토링을 실시했다. 모든 수업을 관찰했고, 수업 촬영 동영상과 수업 자료, 멘토링 및 면담 녹음 자료, 참관 노트 등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멘토링 과학영재수업의 특징으로 수업 계획 단계에서는 좀 더 체계적인 과학영재수업 구성, '과학영재수업=약간 어려운 실험수업'이라는 도식의 탈피와 다양한 교수전략 도입,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에 영향, 과학영재수업 준비 시간의 증가 등이 나타났다. 수업 진행 단계의 특징으로는 과학 영재수업의 질 향상, 수업 진행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에 영향, 수업 진행의 혼선 초래 등이 있었다. 수업 평가 단계의 특징은 수업에 대한 심도 깊은 반성 기회제공, 실제적인 수업 개선의 동력 제공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멘토링 적용 후 단계의 특징으로는 멘티의 과학영재수업에 대한 자신감 증가, 멘토의 수업 전문성 및 멘토링 기술 일부 향상 등이 나타났다.

성공창업 실현 지원을 위한 효과적인 멘토링 플랫폼 구축방안: 한밭대 이노폴리스캠퍼스 육성사업을 중심으로 (Effective Mentoring Platform Alternative to lead a Successful Startup: In the Center of Hanbat Innopolis Campus Program)

  • 양영석;김명숙
    • 벤처창업연구
    • /
    • 제11권6호
    • /
    • pp.143-152
    • /
    • 2016
  • 성공적 창업을 위해 창업자들을 지원하는 많은 시스템 중 가장 많이 활용하는 것이 멘토링 지원프로그램들이다. 이에 따라 관련 멘토 모집 및 멘토 운영프로세스들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창업관련 멘토링의 성과에 대하여서는 많은 의구심을 가지는 것 또한 현실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성공창업 실현을 위해 효과적인 멘토링 플랫폼 구축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5년동안 진행해 온 한밭대 이노폴리스캠퍼스 육성사업의 멘토링 프로그램의 개요와 운영구조, 운영조직, 진행 프로세스 등에 대한 사례를 설명하고자 한다. 운영구조에서는 전문멘토그룹, 코칭그룹, 전문가그룹, 운영그룹 등을 통해 멘토링 플랫폼 구축하고 운영방식은 문제해결방식의 시스템적 접근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운영구조 중 코칭을 위한 전문가의 필요성과 멘토링 시스템을 통한 문제해결 프로세스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있다. 즉, 창 업자와 전문멘토들이 직접소통을 하는 데는 시간적, 물적 비용이 너무 소요됨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소통을 위한 준비를 해줄 창업전문가의 필요성과 이를 창업자의 문제를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진행프로세스를 제안한다. 또한 성공창업의 사례를 예시로 보여줌으로써 멘토링 플랫폼 구축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의도적으로 연조직에 노출시킨 수산화인회석 코팅 임플란트의 골유착과 안정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f Osseointegration and Stability of Intentionally Exposed Hydroxyapatite Coating Implants)

  • 정경인;김수관;문성용;오지수;조지호;임형섭;김정선;임성철;정미애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4권1호
    • /
    • pp.12-16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exposure of hydroxyapatite coating on the amount of bone formation and stability in the dogs. Methods: In this study, hydroxyapatite coated implants (HAPTITE) was placed over the femur bone surface of four dogs about 1 mm. The experimental group was divided into 4 weeks group of 8 implants and 8 weeks group of 8 implants, and then they were sacrificed. The stability of implants was evaluated twice with Osstell$^{TM}$ mentor (Osstell AB, Goteborg, Sweden) at right after placement and sacrifice. The amount of bone formation was evaluated through histomorphometric examination. Results: The stability of implants was in normal range, and tended to increase as time goes by. Mean percentages of new bone formation rates were $90.5{\pm}6.6$ at uppermost 1 mm bone level adjacent to soft tissues (level 1) and $92.9{\pm}4.1$ at next 1 mm bone level (level 2) in 4 weeks group, $90.1{\pm}11.5$ at level 1 and $95.9{\pm}2.3$ at level 2 in 8 weeks group. Mean percentages of bone-implant contact rates were $85.1{\pm}10.8$ at level 1 and $88.1{\pm}13.8$ at level 2 in 4 weeks group, $88.5{\pm}14.4$ at level 1 and $95.3{\pm}3.1$ at level 2 in 8 weeks group.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new bone formation rate and bone-implant contact rate between uppermost 1 mm bone level adjacent to soft tissues and next 1 mm bone level.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ne formation between 4 and 8 weeks group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exposed hydroxyapatite coated implants to soft tissue showed favorable bone formation and implant stability.

팀 기반 학습을 수강한 간호대학생의 경험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on Team-Based Learning)

  • 김현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30-41
    • /
    • 2018
  • 본 연구는 TBL(Team-Based Learning) 수업을 경험한 간호 대학생의 체험 의미를 밝히고자 하는 현상학적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TBL 수업을 적용하여 학습성과를 향상시킴으로써 임상현장에서 요구하는 전문 간호 인력 양성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참가자들은 성인간호학 TBL 수업을 수강한 간호학과 7명의 학생들이다. 자료는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되었으며, Colaizzi의 현상학적 분석 방법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유의한 연구 결과로 9개의 개념기술과 5개의 주제군이 도출되었다. 학생들이 경험한 주요 주제군은 '최상의 결과를 위해 매진함', '자기주도적인 학습태도가 형성됨', '공동의 지식창조자가 됨', '활동적인 수업시간', '무의미한 동료평가'였다. 주요 개념기술은 '자신의 역할을 다 하기 위해 최선을 다함', '사전학습으로 수업을 준비함', '사전학습을 통해 자신감이 형성됨', '친구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문제해결', '서로의 멘토가 되어줌', '함께 협력하여 문제해결을 함', '친밀감이 형성됨', '활기찬 수업시간', '친분에 얽매인 동료평가'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의 수업과 자기 주도적 학습을 가능하게 하여 간호학생들의 학습성과 향상에 기여함으로써 임상현장에서 요구하는 전문 간호인력 양성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외국의 소외계층 학생을 위한 영재교육 프로그램 비교: 미국, 영국, 독일, 호주, 이스라엘 사례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Gifted Programs Abroad for Economically Disadvantaged or Minority Students: The Cases of US, UK, Germany, Australia, and Israel)

  • 이신동;이경숙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3호
    • /
    • pp.439-463
    • /
    • 2015
  • 본 연구는 소외계층 및 다문화 가정의 영재 대상 한국형 헤드 스타트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 외국의 소외계층 영재교육 프로그램 비교분석을 통해 개발될 프로그램의 성격과 내용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미국, 영국, 독일 호주, 이스라엘의 소외계층 영재를 위한 14개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목적, 선발 대상 및 방법, 내용, 효과에 따라 분석한 결과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외계층 영재교육 프로그램은 교육 격차를 좁히기 위해 조기 선발을 하며 중재반응(RTI)모형의 다층식(Tiered) 프로그램을 중재 프로그램으로 사용한다. 둘째 소외계층 영재교육 프로그램은 정규 교육과정안에서 확대된 학교 심화형태로 제공하여 영재교육의 형평성과 수월성을 추구한다. 셋째 소외계층 영재는 다면적, 역동적 평가를 통한 강점 중심의 선발 방식을 사용한다. 넷째 일반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소외계층 영재가 들어갈 수 있도록 준비시켜주며, 가교 역할을 하는 과도기적 성격을 가진다. 다섯째 인지능력 발달 외에 사회 정서적 발달 프로그램과 진로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부모교육, 멘토링 등을 포함한다. 여섯째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 외부의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며 정부 부처 간의 협력을 구축한다.

초등영재와 일반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 학업소진 비교 및 관계 분석 (Comparison of Academic Stress, Stress Coping and Academic Burnout between Elementary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and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 안종혁;유미현
    • 영재교육연구
    • /
    • 제24권2호
    • /
    • pp.169-189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영재학생 및 일반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학업소진을 비교하고 변인들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을 정서적으로 잘 이해하고 지도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뿐 아니라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소진을 감소시켜 정서적으로 건강한 발달을 도모할 수 있다는 데 의미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일반학생이 영재학생보다 학업스트레스, 학교 학업스트레스, 과외 학업스트레스를 더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 영재학생은 적극적 및 사회지지 추구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며 일반학생은 소극/회피적 및 공격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 일반학생은 영재학생에 비해 학업소진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등 일반학생은 주당 평균 사교육(학원 및 과외 학습) 시간이 평균 이상인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학업소진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업스트레스가 높은 영재학생이 스트레스 대처방식 중 소극/회피적 및 공격적 대처방식의 사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분석 결과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소진과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학업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학업소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