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7/jkase.2012.32.2.331

A Case Study on the Use of Mentoring as a Method of Improving Novice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ism in Secondary Science-Gifted Education  

Noh, Tae-Hee (Seoul National University)
Kang, Seok-Joo (Seoul National University)
Kang, Hun-Sik (Chu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v.32, no.2, 2012 , pp. 331-345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As a case study on the use of mentoring as a method of improving novice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ism in secondary science-gifted educ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mentoring science instructions for science-gifted students at the plan, performance, evaluation, and post-mentoring stages of the classes. One mentor and two mentees were selected, and mentoring in each mentee's instructions was conducted during nine classes over three times. We observed the total classes, and analyzed taped videos, the materials, the transcripts for mentoring and in-depth interviews, and field notes. The analyses of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mentoring instructions, at the planning stage of the classes, exhibited the construction of more systematic classes, the escape from the schema that science instructions for science-gifted students were instructions using somewhat difficult experiments and the uses of diverse teaching strategies, the influence of the psychological burdens on developing science-gifted education programs, and the increase of the time preparing the classes. At the performance stage of the classes, the characteristics included the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the classes, the influence of the psychological burdens on teaching the classes, and the inducements of some confusion on performing them. At the evaluation stage of the classes, the characteristics included the provision of the opportunities in deeply reflecting my own classes, and the provision of the practical power for improving the classes. Finally, the characteristics at the postmentoring stage could be attributed to the increase of mentees' self-confidence about their instructions and some development of mentors' teaching professionalism/mentoring skills.
Keywords
mentoring; science-gifted education; novice teacher; teaching professionalism;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8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손영완, 최도성 (2010). 초등과학영재교육에 대한 교사.학부모.학생의 인식에 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 24(2), 68-93.
2 강석진, 김보경, 노태희 (2004). 초등학교 교사의 자기주도 학습력과 과학 교수 효능감 및 기타 배경 변인들의 관계. 초등과학교육, 23(4), 326-331.
3 배미정, 김희백 (2010). 중등과학영재 지도교사의 수업전문성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4), 412-428.
4 고문숙, 이순덕, 최정희, 남정희 (2009). 초임 과학교사의 반성적 실천을 위한 협력적 멘토링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5), 564-579.
5 김득호, 강경희, 박현주 (2009). 과학영재교육원 운영에 대한 서울시과학영재교육원 교사들의 고려사항.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1), 90-105.
6 김선경, 백성혜 (2011). 중학교 과학영재 담당교사의 수업전략 특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2), 295-313.
7 김정진, 박경규 (2008). 조직변화에 대한 개인특성과 심리적 저항 및 조직몰입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21(3), 429-450.
8 김종미 (2009). 멘토링에 대한 초등 초임교사의 인식. 초등교육연구, 22(4), 301-326.
9 곽덕주, 진석언, 조덕주 (2007). 우리나라 예비교사들의 '실천적 경험에 대한 반성'의 특징. 교육학연구, 45(4), 195-223.
10 곽영순 (2010). 멘토링 전후의 초임 과학교사의 수업 특징 변화. 한국지구과학회지, 31(4), 403-417.
11 곽영순 (2011). 초임 과학교사 지원을 위한 멘토링의 효율성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1), 1-13.
12 남정희, 김현옥, 고문숙, 고미례 (2010a). 멘토링을 통한 초임중등과학교사의 탐구지향적 교수실행 변화.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5), 544-556.
13 남정희, 이순덕, 임재향, 문성배 (2010b). 멘토링을 통한 초임중등과학교사의 수업에서의 교사학생상호작용 변화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8), 953-970.
14 노태희, 김영훈, 양찬호, 강훈식 (2011a). 과학영재교육에서 초임 교사들의 PCK 측면에서의 수업 전문성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8), 1214-1228.
15 노태희, 이주석, 강훈식 (2011b). 중등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6), 970-985.
16 서혜애, 이윤호 (2003). 영재교육기관의 교수.학습실태 분석. 중등교육연구, 51(2), 69-86.
17 심규철, 김현섭 (2006). 지역 영재교육원 과학영재교육 담당 교사의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4(4), 479-484.
18 윤지현 (2011). 멘토링을 통한 수업 시연 준비 과정에서 나타나는 중등 과학 예비교사들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 요소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이봉우, 손정우, 최원호, 이인호, 전영석, 최정훈 (2008). 과학영재교육에서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 초등과학교육, 27(3), 252-260.
20 이재권 (2006). 공자의 교학사상. 동서철학연구, 39, 5-41.
21 정기영, 전미란, 최승언 (2008). 과학영재 담당교사의 과학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및 현황 조사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7(2), 161-177.
22 조혜진 (2009). 보육시설에서 초임교사를 멘토링하는 경력교사의 어려움과 효과적인 멘토링을 위한 중요 요소. 유아교육연구, 29(5), 21-43.
23 주호수 (2000). Dick & Carey의 체계적 교수설계 모형의 활용. 비교교육연구, 10(1), 75-103.
24 한국교육개발원 (2010). 영재교육 전문성 신장을 위한 제2기 영재교육 담당교원 전문연수 -교수법 집중과정 우수 영재교육 교수학습 사례 자료집-과학. 연구자료 CRM2010-17-2.
25 황정훈, 김영민 (2009). 정규 과학영재학교, 교육청 영재교육원, 일반 중고등학교 과학교사의 과학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비교 연구. 영재교육연구, 19(3), 697-727.
26 Bradbury, L. U. (2010). Educative mentoring: Promoting reform-based science teaching through mentoring relationships. Science Education, 94(6), 1049-1071.   DOI   ScienceOn
27 Dick, W., Carey, L, & Carey, J. O. (2005). The systematic design of instruction (6th Ed.). Boston: Allyn & Bacon.
28 Hudson, P., Usak, M., Fancovicova, J., Erdogan, M., & Prokop, P. (2010). Preservice teachers' memories of their secondary science education experience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19(6), 546-552.   DOI
29 Hudson, P. (2004). Toward identifying pedagogical knowledge for mentoring in primary science teaching.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13(2), 215-225.   DOI   ScienceOn
30 Hudson, P., & Skamp, K. (2002). Mentoring preservice teachers of primary science. The Electronic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7(1), http://unr.edu/homepage/jcannon/ejse/ejse.html.
31 Pegg. J. M., Schmoock, H, I., & Gummer, E. S. (2010). Scientists and science educators' mentoring secondary science teachers. School Science & Mathematics, 110(2), 98-109.   DOI
32 Schon, D. A. (1983). The reflective practitioner: How professionals think in action. New York: Basic Books.
33 Strauss, A., & Corbin, J.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Thousand Oaks, CA: 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