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ntee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3초

노인의 멘토링 실태와 요구에 대한 연구 (A Survey on Elders' Experience in and Preference for a Mentoring Program)

  • 김희걸;이금재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54-563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lders' experience in a mentoring program and preferred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 Methods: Two hundred and ten elders dwelling in Sungnam-si. Korea participated in the survey from April 1 to May 30, 2008. Using SPSS Win 10.0,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and t-test were performed. Result: About two thirds of the elders had experience as a mentee, and a large number of them reported that it was helpful. Compared to those without, the elders with the mentee experience were more likely to perceive that it is easier to build a mentor-mentee relationship. The most common reason for wanting a mentee experience was loneliness, whereas the most frequent reason for not wanting was feeling a burden when meeting a stranger. Preferred characteristics of a mentoring program differed between the elders who had the mentee experience and those who did not. Conclusion: This study concluded that a mentoring program is highly likely to provide psycho-social support to the elderly, Also, a large number of the elders who had never had a mentor-mentee relationship wanted to have it in the future. This study suggests that healthcare professionals include a mentoring program in health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considering preferred characteristics of a mentor-mentee relationship.

  • PDF

멘토-멘티 적합성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멘토에 대한 신뢰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Mentor-Mentee Fitnes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Mediating Effect of Trust in Mentor)

  • 심재의;장석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15-21
    • /
    • 2022
  • 본 연구는 창업의도를 유발 할 수 있는 핵심적 변수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와 관련하여 창업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요소로 멘토-멘티 적합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또한 멘티-멘토 적합성이 창업의도를 유발하는 과정에 있어서 멘토에 대한 신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창업자들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멘토-멘티 적합성은 멘토에 대한 신뢰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멘토-멘티 적합성은 창업의도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멘토에 대한 신뢰는 창업의도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멘토에 대한 신뢰는 멘토-멘티 적합성과 창업의도 간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매개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창업의도를 유발 할 수 있는 변수로 멘토-멘티 적합성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비록 멘토-멘티 적합성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상황이지만 이 변수를 활용하여 진행한 연구이기 때문에 본 연구의 가치성을 보여주었다.

관광산업의 멘토-멘티 적합성의 매개효과를 통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entor-Menti Suitability on the Will to Start a Business through Mediation)

  • 정지율;안태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303-308
    • /
    • 2022
  • 본 연구는 관광창업자들의 창업의지를 향상키기는데 있어 멘토-멘티의 적합성을 선행요인으로 선정하고 실증분석을 통해 영향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또한 멘티-멘토 적합성이 창업의지를 유발하는 과정에서 기업가정신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예비창업자와 초기창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의지를 향상할 수 있는 방안과 관련하여 멘토-멘티 적합성은 기업가정신을 매개로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검증되었다. 둘째, 멘토-멘티 적합성은 기업가정신의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검증되었다. 셋째, 기업가정신은 창업의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창업자들은 멘토-멘티 적합성이 강할수록 기업가정신의 수준은 더욱 향상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높은 수준의 기업가 정신은 창업에 대한 의지를 더욱 강하게 촉진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IPA를 이용한 직장멘토링에서 멘토의 역할 분석 : 멘토와 멘티의 관점에서 (Analysis of Mentors' Roles using IPA in the Workplace Mentoring : From the Perspective of Mentors and Mentees)

  • 김재경;최방길;최일영;손유경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69-80
    • /
    • 2021
  • Many studies have discussed the effectiveness of mentoring from a mentor or mentee perspective. However, it is is necessary to deeply understand the formal mentoring relationship from the perspective of both the mentor and the mentee because the mentoring relationship i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mentor and the mente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mentors' role through IPA was compared and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mentors and mentees. A survey was conducted on 376 employees of the financial bank, and the managers in charge of the company's official workplace mentoring and employees who participated in the mentoring program were interview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mentors are more satisfied with the rewarding experience, while mentees are satisfied with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ascendency and impact. In addition, mentees judge that "Coach", "Provides support", "Provides vision & widens horizons", "Broaden experience", "Cooperation", "Motivates", "Networking ability", "Provide cross-functional information", "Role model", "Share credit", "Teacher", and "Transfer skills, leadership, & technology" are important as mentor's roles are important. Therefore, in order to foster mentors for effective workplace mentoring, it is necessary to educate the mentor in advance about the mentors' role that the mentee considers to be important.

초임 중등 과학교사를 위한 협력적 멘토링에서 나타나는 멘토의 멘토링 특징과 멘티의 반성적 실천 사이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or Teachers' Mentoring Characteristics and Mentee Teachers' Reflective Practice in Collaborative Mentoring for Beginning Science Teachers)

  • 박지훈;남정희;강유진;박종석;손정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15-128
    • /
    • 2019
  • 이 연구는 협력적 멘토링에서 나타나는 멘토교사의 멘토링 특징과 멘티교사의 반성적 실천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로부터 멘티교사의 반성적 실천을 증진시킬 수 있는 멘토교사의 멘토링 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직경력 7년 이상의 멘토 4명과 초임중등과학교사 4명을 선정하여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멘토링 과정에서 수집한 자료들은 멘토 및 멘티 저널, 멘티교사의 5차시 수업 녹화본 및 전사본, 학습지도안, 수업평가지, 일대일 멘토링 녹음 및 전사본, 사전 설문, 중간 설문과 사후 설문, 일대일 멘토링 효과 설문 등이었다. 멘토교사의 멘토링 특징은 멘토교사의 상호작용 방법과 수업 피드백에 의한 지원의 내용과 빈도수로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멘티교사의 반성적 사고는 자발적 반성과 지원에 의한 반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멘티교사의 반성적 실천은 RTOP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멘티교사의 교수 실행에서의 문제점을 멘티교사 스스로 파악할 수 있도록 대화를 유도하는 멘토교사는 멘티교사의 반성적 실천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 멘토교사의 반성적 사고 유도 질문은 멘티교사의 자발적 반성을 이끌어 내었으며, 자발적 반성은 멘토교사의 지원에 대한 반성 및 반성적 실천을 증진시켰다. 또한 멘토교사가 수업 피드백을 통한 지원을 제공할 때 멘티교사 스스로 자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있도록 조력자의 역할을 할 경우 멘티교사의 반성적 실천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

초임 과학교사의 반성적 실천을 위한 협력적 멘토링의 효과 (The Effect of Cooperative Mentoring on Beginning Science Teachers' Reflective Practice)

  • 고문숙;이순덕;최정희;남정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64-579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교수행위에 대한 반성적 사고와 반성적 실천을 유도하는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을 통하여 초임 과학교사의 수업 및 인식에 있어서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은 교수피드백, 세미나와 워크숍, 자기평가, 협의회의 4개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참여자는 3명의 멘토교사와 박사 석사과정에 있는 교사 2명, 대학교수 1명, 3명의 멘티교사 등 총 9명으로 구성되었다. 멘토링 과정에서 멘티수업 녹화본 및 전사본, 학습지도안, 일대일 멘토링 녹음 및 전사본, 멘토 저널과 멘티 저널, RTOP 교수관찰지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업의 분석은 RTOP을 이용하였으며, 멘티교사의 수업에 있어서의 인식과 변화는 저널과 일대일 멘토링 면담자료를 통해 알아보았다. 2회에 걸친 멘토링 과정에서 나타난 멘티들의 수업에 대한 인식과 변화를 살펴보면, 자신의 교사위주의 강의식 수업과 오개념 및 교과내용지식의 부족 등에 대한 문제점을 스스로 인식하였다. 또한 효과적인 발문기술의 부족 및 적절하지 못한 교수언어 사용 등에 대한 교수기술 및 태도 측면과 평가의 전문성 부족, 학습공동체 구현 등의 교실문화 측면에 대한 문제점을 반성하고 이를 개선, 실행하려는 반성적 실천을 통해 실제 수업에서의 변화를 보여주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협력적 멘토링 과정을 통해서 초임 과학교사의 반성에 의한 반성적 실천에서 일부의 변화가 있었으나, 반성의 요소가 모두 반성적 실천으로 이어진 것은 아니었다. 이는 단기간의 멘토링을 통해서는 멘티교사의 반성적 실천을 이끌어내기가 어려움을 시사한다. 따라서 초임 과학교사의 교수의 전문성 발달을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중장기적인 멘토링이 필요하다고 본다.

협동학습을 위한 U-CoMM 시스템 (A U-CoMM System for Cooperative Learning)

  • 이병록;지홍일;신동화;조용환;이준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116-124
    • /
    • 2006
  • 멘토링은 멘토와 멘티의 지속된 관계로 정의된다. 지속적인 관여를 통해서 멘토는 멘티가 새로운 도전에 직면 또는 초기 문제들을 바로잡는데 있어서 안내와 보조, 지원을 제공한다. 협동학습을 위한 멘토링은 고급 사고력, 협력적 능력, 사회성 발달을 포함하여 많은 장점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멘토와 멘티의 사이버 커뮤니티를 이용한 교수학습 전략을 설계하기 위해서 U-CoMM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 시스템은 참여자에게 경험과 전문지식을 공유할 수 있는 캠퍼스 멘토링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실험결과 제안 시스템은 기존 시스템보다 협동학습에 있어 교육적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 PDF

의과대학생의 멘토링 프로그램 필요 요구 및 희망 진로와의 연관성 (Who needs mentoring program among medical students?)

  • 오승민;신홍임;전우택;양은배
    • 의학교육논단
    • /
    • 제10권2호
    • /
    • pp.45-52
    • /
    • 2008
  • Purpose & Method : To describe medical students' need on the mentoring program and relationship with career choice, 186/251 (74.1%) of first-and second-year medical students at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were surveyed. Result : 66.1% of medical students replied that he/she would volunteer as a mentee in mentoring program. Medical students' need area in mentoring program was specialty choice (62.9%). research development(18.8%), adapting to school life (13.9%) and effective learning skill (2.7%). 47.2% of medical students replied that his/her wishful career and working place is university faculty. Medical students who replied that he/she would volunteer as a mentee showed more needs on the research mentoring program(P=0.0112) and faculty career(P=0.0185) than those who replied that he/she would not volunteer as a mentee. Conclusion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mentoring program. this analysis on medical students' need should be considered.

협력적 멘토링을 통한 초임 중등과학교사의 교수실행에서 나타나는 반성적 실천의 변화 (The Change in Beginning Science Teachers' Reflective Practice in their Teaching Performance through Collaborative Mentoring)

  • 고문숙;남정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94-113
    • /
    • 2013
  • 이 연구는 초임 중등과학교사를 대상으로 교수에 대한 반성적 사고와 반성적 실천을 유도하는 협력적 멘토링 과정에서 멘토링 전후의 교수행위의 특징과 실제수업에서의 변화를 통해 교수실행의 반성적 실천이 어떻게 발전되어 가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대학교수 1명, 박사 석사과정에 있는 연구자 2명, 3명의 멘토교사와 3명의 멘티교사 등 총 9명이 참여하였다. 멘토링 과정에서 멘티수업 녹화본 및 전사본, 학습지도안, 일대일 멘토링 녹음 및 전사본, 멘토 저널과 멘티 저널, RTOP 교수 관찰지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업의 분석은 RTOP을 이용하였으며, 멘티교사의 수업에 있어서의 인식과 변화는 자신의 교수행위에 대한 반성(reflection)과 반성적 실천(reflective practice)으로 범주화하여 수업실행 전후의 멘티저널, 멘토링 협의회 녹음전사본, 멘토링 후 멘티 저널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초임 과학교사 3명의 멘토링 이전 수업의 특징은 교과내용지식과 관련된 측면은 어느 정도 구성되어 있으나, 학생들에게 다양한 탐구활동의 기회를 제공해주는 탐구적 교수법과 학생들의 능동적 지식 구성을 강화하는 수업방법에 있어서는 매우 취약함을 보여주었다. 멘토링이 진행됨에 따라 3명의 멘티교사의 차시별 수업을 분석한 결과, 멘티교사별로 상승곡선의 경향이 다소 다르게 나타나기는 하나, RTOP의 평균 점수는 점진적으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협력적 멘토링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멘티교사의 교수실행의 변화로 나타난 반성적 실천에서는, 멘토링 과정에서 3명의 멘티교사 모두 수업에 대한 반성이 일어나며 점진적으로 반성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협력적 멘토링을 통해 멘티교사에게 수업반성의 기회를 제공하고 피드백하는 과정에서 멘티교사의 반성적 성향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이와 함께 반성적 실천에 의한 실제수업에서의 변화로 이어졌다. 이는 수업반성을 통해 교수기술의 향상을 가져옴을 알 수 있다.

초임 과학 교사에 대한 멘토링 효과 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Exploration Factors Affecting Maintenance of the Effect of Mentoring for Beginning Science Teachers)

  • 박지훈;남정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64권6호
    • /
    • pp.401-415
    • /
    • 2020
  • 이 연구에서는 초임 중등 과학 교사의 멘토링 효과의 지속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 참여한 초임 과학 교사인 멘티 교사는 2014년부터 2018년까지 협력적 멘토링에 참여하였던 멘티 교사 10명이고, 멘토링 진행 당시 제출하였던 1차시 및 5차시 수업 동영상, 멘티 및 멘토 저널, 2019년도에 촬영한 수업 동영상, 멘토링 프로그램 반성 설문지, 인터뷰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로부터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멘토링에서 경험한 멘티 교사의 반성적 사고의 경험은 멘토링 이후에도 지속되었으며, 이는 멘토링 효과의 지속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멘토링 당시 RTOP 점수의 상승이 있었던 그룹의 경우 반성적 사고와 반성적 실천이 나타났으며, 이들 대부분은 멘토링 이후에도 여전히 자신의 수업에 대한 반성을 바탕으로 구성주의에 기반한 수업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멘토링 당시 반성적 사고가 일어나지 않았던 멘티 교사의 경우 긍정적인 수업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멘토링에서의 반성적 실천은 이후 멘티 교사의 교수학습 방식에 영향을 미쳤다. 멘토링 당시 RTOP 점수의 상승이 있었던 그룹의 경우 멘토링 프로그램에서 배운 학생 중심 수업 모형을 자신의 수업에 적용하기 위해서 노력하였으며, 이 그룹에 속한 대부분의 멘티 교사들이 멘토링이 종료된 이후에도 그 학습 모형을 이용하여 수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반성적 사고와 반성적 실천이 멘토링 효과를 결정하는 핵심적인 요소가 될 뿐만 아니라, 멘토링 효과의 지속을 결정하는 요소라는 것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