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lanin inhibition

검색결과 379건 처리시간 0.025초

죽황(竹黃)으로부터 분리한 미백활성 성분의 멜라닌생성 억제효과 (The Antimelanogenic Effects of Compounds Extracted from Bamboo Inner Film)

  • 이기무;이은창;조순장;문석식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87-301
    • /
    • 2008
  • 천연물로부터 미백활성 성분의 개발을 위하여 국내 자생식물 60종으로부터 추출물을 얻어, 이들의 멜라닌 생성과정의 주된 효소인 tyrosinase 활성 억제력을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노랑하늘타리(열매), 죽황, 누리장나무(잎), 우산고로쇠(잎) 추출물이 비교적 높은 tyrosinase 활성억제효과를 보였고, 이들의 $IC_{50}$ 값은 $50{\sim}100{\mu}g/mL$ 이었다. 이들의 멜라닌생성 억제효과를 B16F10 흑색종세포주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죽황추출물이 가장 높은 52%의 멜라닌생성 저해활성을 보였으며, 이는 기존 미백제인 arbutin (42%)에 비해 10% 높은 것이다. 죽황추출물로부터 용매추출 및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분리과정을 거쳐 10가지 미백활성 성분을 분리하였다. 이들은 모두 페놀유도체 화합물로서, SM701과 SM702, SM703, BPR211은 hydroquinone계 화합물이며, SM707은 gallic acid계, SM704와 SM705, SM706, SM708, SM709는 ferulic acid계로 확인되었다. 이들의 유리기 소거효과를 hydorquinone과 비타민 C와 비교하여 측정하였을 때. $SC_{50}$ 값이 SM702와 SM709의 경우 $60{\sim}70{\mu}M$로 hydroquinone과 유사하였고, SM701과 SM708은 $30{\sim}40{\mu}M$로 비타민 C ($45{\mu}M$)보다 낮은 값을 보여 죽황추출물은 항산화활성이 높은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들 중 1,2-O-diferulylglycerol로 확인된 SM709 성분은 tyrosine hydroxylase 및 DOPA oxidase 활성을 각각 18, 60% 억제하였고, B16F10 흑색종세포주를 이용한 멜라닌생성량 억제시험에서 62%의 저해효과를 나타내 가장 높은 미백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죽황추출물의 미백활성은 주로 멜라닌 생성과정의 DOPA oxidsae 저해효과와 항산화효과에 의해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복령피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 (The Inhibitory Effects of Poria cocos Bark Extract on Melanogenesis)

  • 이응지;배성윤;손락호;이용화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43-250
    • /
    • 2009
  • 천연 미백 소재 개발을 위하여 복령피 추출물과 복령피 추출물에서 분리한 활성 물질의 멜라닌 생성에 연관된 생리 활성을 분석하였다. 복령피 추출물은 $100{\mu}g$/mL 이하에서 세포 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free radical 소거능(DPPH)과 superoxide radicals 소거능 결과는 각각 $IC_{50}=19.4{\pm}2.21{\mu}g$/mL, $IC_{50}=103{\pm}3.33{\mu}g$/mL을 나타내었다. $50{\mu}g$/mL 농도에서 B16 melanoma 세포 내 tyrosinase의 활성을 34 % 저해 하였으며, 세포 내 멜라닌 생합성 저해 효과는 $50{\mu}g$/mL 농도의 복령피 추출물을 72 h 동안 처리한 세포에서 51 % 억제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복령피 추출물의 활성 물질을 분리하여 $^1H$-NMR, $^{13}C$-NMR, Mass analysis 등의 기기 분석을 실시한 결과 triterpene류의 3-$\beta$-hydroxylanosta-7,9(11),24-trien-4-oic acid로 동정되었고 $100{\mu}g$/mL 이하에서 세포 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3-$\beta$-hydroxylanosta-7,9(11),24-trien-4-oic acid의 free radical 소거능과 superoxide radicals 소거능 결과는 각각 $IC_{50}=4.3{\pm}0.15{\mu}g$/mL, $IC_{50}=54{\pm}1.67{\mu}g$/mL을 나타내었다. $10{\mu}g$/mL 농도에서 세포내 tyrosinase의 활성을 43 % 저해 하였으며, 멜라닌 저해 효과를 확인한 결과 $IC_{50}=3.6{\mu}g$/mL으로 나타났다.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tyrosinase, 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1), TRP-2 단백질의 발현 감소를 확인하였다. 복령피 추출물과 3-$\beta$-hydroxylanosta-7,9(11),24-trien-4-oic acid는 우수한 미백 효능을 갖는 화장품 소재로의 개발 가능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장양(藏釀) 기술이 사용된 전통 고숙성 된장에서 유래한 o-Dihydroxyisoflavone 유도체의 생리활성 (o-Dihydroxyisoflavone Derivatives from Highly Aged Korean Fermented Soybean Paste by Jang Yang Process and Its Biological Activity)

  • 김동현;박준성;박녹현;문은정;유선혜;김덕희;김한곤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03-208
    • /
    • 2009
  • 된장은 한국의 독특한 발효 식품이며 장양이라 불리는 전통적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숙성 된장에서 새롭게 생성된 성분과 그것의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5년 숙성된 된장으로부터 새로운 o-dihydroxyisoflavone인 7,3',4'-trihydroxyisoflavone과 기존에 알려진 두 가지의 o-dihydroxyisoflavone을 각각 분리하여 다른 isoflavone과의 항산화 효과 및 미백효과를 비교 측정하였다. Diphenyl-1-picrylhydrazyl (DPPH) 활성 저해 효과는 7,8,4'-trihydroxyisoflavone (compound 1), 7,3',4'-trihydroxyisoflavone (compound 2) 그리고 6,7,4'-trihydroxyisoflavone (compopund 3)은 각각 $21.5{\pm}0.2$, $28.7{\pm}0.4$ 그리고 $32.6{\pm}0.6$ ($IC_{50}$)을 나타낸 반면 daidzein은 이들에 비해 약한 DPPH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냈다. Superoxide 소거 효과는 L-ascorbic acid에 비해 compound 1 ($IC_{50}=18.10{\pm}0.2{\mu}M$)과 2 ($IC_{50}=10.54{\pm}0.4{\mu}M$)가 보다 효과적인 반면 compound 3과 daidzein은 이들에 비해 낮은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melan-a cells에서 o-dihydroxyisoflavone 유도체들의 티로시나제 활성과 멜라닌 생성을 비교 측정하였다. 특히 Compound 1 ($IC_{50}=11.21{\pm}0.2{\mu}M$), 2 ($IC_{50}=5.23{\pm}0.6{\mu}M$)의 경우 compound 3과 daidzein에 비해 티로시나제 활성을 억제하는데 효과가 있었으며 또한 멜라닌 생성을 50 % 억제할 때의 결과에서 이들 화합물은 각각 $12.23{\pm}0.7{\mu}M$ (1), $7.83{\pm}0.7{\mu}M$ (2)과 같이 멜라닌 생성 억제 효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고숙성 된장에서 유래한 7,3',4'-trihydroxyisoflavone은 항산화 및 미백효과를 가지는 화장품 소재로써 사용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추출 온도에 따른 금불초 꽃 추출물의 항노화 효능 (Anti-aging Effect of Inula britannica var. chinensis Flower Extract According to the Extraction Temperature)

  • 전지민;유대성;천종우;권순식;전소하;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09-12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추출 온도에 따른 금불초 꽃(I. britannica var. chinensis) 추출물의 항노화 효능을 알아 보았다. 추출 온도에 따른 세포독성을 살펴본 결과, 상온, $45^{\circ}C$$65^{\circ}C$ 추출물 모두 0.1% 이하의 농도에서 세포독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0.1% 이하의 농도에서 항노화 효능평가를 수행한 결과, 0.1% 농도의 상온 추출물 경우에 멜라닌 생성 억제율은 24.5%로 $45^{\circ}C$$65^{\circ}C$ 추출물과 비교하여 멜라닌 생성 억제율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0.1% 농도의 상온 추출물을 처리한 세포의 히알루론산 합성 관련 유전자 HAS-1, HAS-2 및 HAS-3의 발현율은 각각 123.3%, 137.8% 및 133.2%를 나타냈으며, 이는 비교물질인 L-ascorbic acid (115.6%, 121.0% 및 131.4%) 경우 보다 약간 크게 나타났다. 금불초 꽃 45 $^{\circ}C$ 추출물의 경우, 0.1%의 농도에서 염증유발 유전자인 TNF-${\alpha}$, COX-2 및 IL-1${\alpha}$의 발현율이 대조군 대비 각각 30.3%, 12.8%, 25.7%로 감소하였으며, 이는 상온, $65^{\circ}C$ 추출물과 비교하여 염증유발 유전자 발현 억제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로 볼 때, 금불초 꽃 추출물은 추출 온도에 따라 멜라닌 생성 억제, 히알루론산 합성 관련 유전자 발현 증가 효과, 염증유발 유전자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내며, 그로 인하여 피부에서 미백, 보습, 항염 효능을 통해 피부 항노화 효능을 가질 것으로 사료된다. 이는 금불초 추출물이 항노화 화장품 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마우스 악성흑색종세포에서 울릉도 곰취, 미역취, 삼나물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Antimelanogenic Effect of Ligularia fischeri, Solidago virga-aurea, Aruncus dioicus Extracts from Ullung Island in Murine Melanoma Cells)

  • 김동희;안봉전;김세기;박태순;박근혜;손준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79-285
    • /
    • 2011
  • 현재까지 많은 연구들은 멜라닌 합성과정의 기전을 규명하는데 초점이 맞춰졌으며 이러한 이유로 tyrosinase 저해제 개발에 집중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울릉도 곰취, 미역취, 삼나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미백효과를 검증하였다.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울릉도 곰취, 미역취, 삼나물 발효 전 추출물의 경우 33%, 발효 후 추출물의 경우 45% 저해율을 세포 내 tyrosinase 활성 확인 결과 울릉도 곰취, 미역취, 삼나물 발효 전 추출물이 41%, 발효 후 추출물은 56.5%의 활성 저해율을 관찰 할 수 있었으며, 발효 후 추출물이 발효를 하지 않은 추출물보다 미백 효과가 더 뛰어 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백 관련 전사 인자인 MITF, TRP-1, TRP-2, tyrosinase의 단백질 발현을 측정한 결과 발효 전 후 추출물은 B16F10 melanoma 세포에서 tyrosinase, TRP-1과 TRP-2의 단백질 생합성을 두 추출물 모두 억제하였지만, 특히 발효 후 추출물의 경우 단백질 발현량이 더 감소하였다. Tyrosinase, TRP-1과 TRP-2의 발현을 조절하는 전사인자로는 MITF가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실제로 MITF는 melanin생성과 관련된 여러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작용을 하고 있다. 따라서 울릉도 발효 후 추출물이 melanin 생성과 관련된 중요한 세 가지 단백질의 생합성을 전사단계에 서 조절 전사인자인 MITF의 작용에 대한 효과를 확인한 결과 울릉도 발효 후 추출물이 MITF의 단백질 발현을 울릉도 발효 전 추출물보다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더 높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미백 생합성에 있어서 상위 신호단계에 있는 전사인자 MITF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하위 신호전달 과정을 억제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발효 후 추출물의 미백효과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앞으로의 연구를 뒷받침 하여 기능성 소재 개발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동아를 이용한 미용식품 및 화장품 개발 1. 멜라닌 생성 억제와 여드름균 억제에 미치는 동아 추출액의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Wax Gourd Extract on Melanin Formation and Acne-forming Bacterial Growth)

  • 안용근;김승겸;신철승;민주홍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37-143
    • /
    • 2002
  • 고형분 함량은 어린 동아 착즙액에서는 3.1%, 익은 동아 착즙액에서는 0.1%를 나타냈고, 주성분은 당으로 89.7%를 나타냈다. 펙틴 함량은 익은 동아즙은 4.l1mg/ml, 어린 동아즙은 4.43mg/ml이었다. 당 함량은 익은 동아 육질은 sucrose 0,1%, glucose 0.32%, fructose 0.35%, 미확인당 1이 0.06%, 2가 0.04%로 합계 0.87%를 나타냈다. 어린 동아 육질은 sucrose 0.33%, glucose 1.04%, fructose 1.12%, 미확인당 1이 0.18%, 2가 0.12%로 합계 2.79%를 나타냈다. pH는 익은 동아는 4.64, 육질은 4.94, 어린 동아의 속은 4.96, 육질은 5.40을 나타냈다. 유기산은 익은 동아 육질에는 citric acid 0.409, magic acid 0.084, succnic acid 0.048%, 속에는 citric acid 0.648, malic acid 0.127, succinic acid 0.057%, 어린 동아 육질에는 citric acid 0.028, malic acid 0.219, succinic acid 0.298%, 속에는 citric acid 0.039, malic acid 0.360, succinic acid 0.224% 들어 있다. Fumaric acid는 미미하다. 총량은 익은 동아 속이 0.833, 어린 동아속 0.624, 어린 동아 육질 0.546, 익은 동아 육질 0.541이었다. 여드름균(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항균력은 대조군이 0($\Phi$, cm)인데 반해, 비열처리 동아즙은2.6, 열처리 동아즙은2.5, 1/5 농축한 것은 1.9, 1/10 농축한 것은 2.5, 동결건조한 것은 2.3을 나타냈다. 멜라닌 생성 억제력은 0.01%에서 대조군이 29$\mu$l/m1인 데 반해 열처리 동아즙은 15$\mu$l/ml 을 나타냈고, 비열처리 동아즙은 이보다 약간 높았다. 1/5 농축한 것은 24 $\mu$l/ml, 1/10 농축한 것은 23 $\mu$l/ml, 동결건조한 것은 19 $\mu$l/ml를 나타냈다. 이들 결과에 따라 동아즙을 30% 가하여 나리싱크림과 밀크로숀을 조제하였다.

(E)-2-(substituted benzylidene)-2,3-dihydro-1H-cyclopenta[a]naphthalen-1-one 유도체들의 tyrosinase 활성억제 효과 (Tyrosinase Inhibitory Effect of (E)-2-(substituted benzylidene)-2,3-dihydro-1H-cyclopenta[a]naphthalen-1-one Derivatives)

  • 이은경;김주현;문경미;하수경;노상균;김대현;이봉기;김도현;김수정;울라술탄;문형룡;정해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39-14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E)-2-(substituted benzylidene)-2,3-dihydro-1H-cyclopenta[a]naphthalen-1-one 유도체들을 합성했으며, 합성된 유도체들이 멜라닌 생성과정의 주요 효소인 tyrosinase 활성을 저해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19종류의 유도체들의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해본 결과, MHY3655 ($IC_{50}=0.1456{\mu}M$)가 가장 큰 저해활성을 나타냈으며 이는 대조군인 코직산($IC_{50}=17.2{\mu}M$) 보다 큰 효능을 보였다. 게다가, Lineweaver-Burk 분석법을 이용하여 MHY3655가 경쟁적 저해 기전으로 tyrosinase 활성을 저해하였고, docking simulation으로 MHY 3655가 tyrosinase에 직접 결합함을 재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B16F10 melanoma 세포에서 MHY3655의 세포독성을 평가한 결과 $1-20{\mu}M$ 사이의 MHY3655는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신물질 MHY3655은 우수한 tyrosinase 저해활성을 나타내며, 이는 미백 화장품 소재로서 활용할 가치가 있으리라 사료된다.

강활과 벌사상자 추출물의 피부 미백효과 (Skin Whitening Effects of Angelica koreana and Cnidium monnieri Extracts)

  • 조완구;김청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4호
    • /
    • pp.419-425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강활과 벌사상자 추출물에 의한 피부 멜라닌 형성 저해와 안정성과 자극성 시험을 통하여 기능성 화장품의 사용 물질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추출물은 White-$AK^{TM}$이고 INCI 명칭은 Osthole이다. White-$AK^{TM}$의 주성분은 쿠마린이고 EC50 값은 마우스 멜라노마 B16 세포 시험에서 2.7ppm이였다. White-$AK^{TM}$는 알부틴보다 100배 낮은 농도에서 저해 효과를 보였다. 미백 효과의 주 기작은 티로시나제-관련 유전자 발현을 저해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White-$AK^{TM}$ 5% 용액을 함유한 기본적인 에센스 처방을 피부에 적용 시 피부자극을 경감시켰다. White-$AK^{TM}$은 불투명한 용기에서 4주간 자외선 하에서 100%의 회수율을 보였고 $50^{\circ}C$에서 4주간 97%의 회수율을 보였다. 따라서 피부 미백효과와 자극성 경감효과가 있고 자외선 조건하에서 안정한 White-$AK^{TM}$은 화장품 처방에서 기능성 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hibi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Nuruk on Oxidative Stress, Melanogenesis, and Photo-Aging

  • Lee, Sang-Jin;Cho, Sung-Won;Kwon, Yi-Young;Kwon, Hee-Suk;Shin, Woo-Chang
    • Mycobiology
    • /
    • 제40권2호
    • /
    • pp.117-123
    • /
    • 2012
  • Nuruk contributes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alcoholic beverage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nuruk extracts (NE) on anti-oxidant characters, melanogenesis, and anti-photoaging activity were investigated. NEs were obtained from the 70% ethanol extracts of six types of nuruk, which have been used in brewing of fermented alcohol beverages in Korea. First, various antioxidant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in terms of 2,2'-azino-bis(3-ethylbenzthiozoline-6-sulph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uperoxide dismutase (SOD) expression, and inhibition of xanthine oxidase activity. NE#4 exhibited potent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C_{50}$ = 19.51 ${\mu}g$/mL). Compared with NE#4, relatively lower levels of activity were observed for NE#3 and NE#6, with $IC_{50}$ values of 90.99 and 76.88 ${\mu}g$/mL, respectively. According to results of western blot analysis for determination of SOD expression in $H_2O_2$-treated HepG2 cells, NE#5 and NE#6 induced a dramatic increase in the expression ratio of SOD, compared to the group treated with $H_2O_2$ only. Activity of xanthine oxidase, which converts xanthine into uric acid, generating superoxide ions, was inhibited by NE#4 and NE#6 in a dose-dependent manner. NE#4 induced significant inhibition of mushroom tyrosinase activity. A reduction in cellular melanin contents of 80% was observed in B16F1 melanocytes treated with NE#5 and NE#6; these effects were similar to those of arbutin at 100 ${\mu}M$. In addition, gelatin zymography and reverse transcription-PCR analysis were performed for assessment of anti-photoaging activity of Nuruk. Treatment with NE#6 resulted in dramatically inhibited activities of matrix metalloproteinase (MMP)-2/-9, suppressed expression of MMP-1, and increased expression of type-1 procollagen. Results of gelatin zymography for NE#4 and NE#5 were similar, to a slightly lesser degree. These results suggest the potential of NE#4 and NE#6 as natural ingredients for use in functional foods and cosmetics.

방선균 F-97이 생산하는 Tyrosinase 저해제의 정제 및 특징 (Pur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yrosinase Inhibitor Produced by Actinomycetes F-97)

  • 방병호;이문수;김진오;이동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3호
    • /
    • pp.153-158
    • /
    • 2008
  • 토양으로부터 tyrosinase 저해제를 생산하는 방선균 F-97을 분리하여, 이 균이 생산하는 tyrosinase 저해제를 정제하였다. 먼저 배양액을 원심분리하고 이 여액을 pH 4.0으로 조절한 후 IRC-120($NH_4^+$ type column chromatography,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C18 column chromatography,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를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정제도 확인은 ODS HPLC를 이용하여 확인하였으며, 최종 정제 수율은 5.24%이었다. 물리 화학적 특성으로 tyrosinase 저해제는 water, methanol, ethanol 등에는 잘 녹았으나, acetone, butanol, ethylacetate, chloroform 등에는 녹지 않는 수용성 물질이었다. 물을 용매로 UV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 194nm에서 최대 흡광도를 나타내었다. 본 tyrosinase 저해제는 Iodine, Ninhydrin, Millon, Sakaguchi, Xanthoproteic, Emerson 시험에서는 음성이었고, Molish, Benedict, conc. $H_2SO_4$, $KMnO_4$ 시험에서는 양성이었다. 저해제의 열 안정성은 $100^{\circ}C$ 50분까지 안정하였고, pH $4{\sim}9$에서 안정하였다. Tyrosinase 저해제의 mushroom tyrosinase에 대한 $IC_{50}$ 값은 $19.2{\mu}g/ml$이었고, Streptomyces bikiniensis NRRL B-1049에 대한 저해활성은 $1,000{\mu}g/ml$ 일 때 27mm이었다. 그리고 본 저해제의 저해 양상은 경쟁적 저해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