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ister High School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4초

마이스터고 연구의 동향과 과제: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 및 내용분석 (The Trend and Tasks of Meister High School Research: Network Text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 배상훈;장창성;이태희;조성범
    • 직업교육연구
    • /
    • 제33권3호
    • /
    • pp.83-104
    • /
    • 2014
  • 본 연구는 2008년 마이스터고 도입 이래 지금까지 수행된 마이스터고 연구를 종합하여 연구동향을 탐색하고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학술지와 학위논문으로 나누어 기성 연구자와 학문 후속세대의 연구관심을 비교하였다. 학술지 논문 33편, 학위논문 24편 등 총 57편이 분석되었다. 주제어의 빈도와 연결중심성을 탐색하는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과 분석 준거별 빈도를 살펴보는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 결과, 마이스터고 연구는 학생과 교원 등 학교 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다수였으며, 학술지 논문이 학위논문보다 연구분야가 다양하였다. 주제어의 연결중심성을 분석한 결과, 학교 구성원의 심리적, 정서적 요인에 대한 연구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주제는 학교 구성원(56.1%)에 대한 논문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교육과정(17.6%), 학교운영 및 조직(14.0%), 정책분석 및 평가(12.3%)에 관한 연구가 많았다. 연구방법은 양적 연구(59.6%)가 많았고, 서술적 연구(21.1%)나 질적 연구(12.3%)는 적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향후 마이스터고 연구의 저변 확대를 위한 과제를 제시하였다.

학교환경과 진로성숙도가 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Impact of the School Environment and Career Maturity on the School Adjustment Resilience)

  • 제성태;황석준;신한원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5호
    • /
    • pp.941-958
    • /
    • 2014
  • Today the educational authorities selected 38 Meister High Schools which are based on industry demand out of 691 high schools nationwide to make the vocational high schools do their original purposes and to innovate vocation education.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hool environment and career maturity and the school adjustment resilience and, based on the results,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to improve business environment for the maritime Meister High School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school environment and students' career maturity on their school adjustment resilience, the researcher used the teachers's professionalism, school facilities, students' entrance motivation, career guidance depending on the individual and the school meal quality as the school environment factors of the independent factors. As dependent factors, the researcher selected school environment, teachers, class preparation of the individual, level of school life such as an attitude level and school rule observance, and peer relation.

특성화 및 마이스터 고등학교 학생들의 기술적 사고성향 연구 (A Study on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of the Specialized and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 최완식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94-113
    • /
    • 2019
  • 이 연구는 특성화 및 마이스터 고교 학생들의 기술적 사고성향을 알아보고 그 결과를 통하여 특성화 및 마이스터 고교의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의 기술적 사고성향에 맞는 교육내용을 구성하거나 필요한 기술적 사고성향을 강화하는데 기초지식을 제공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타당성과 신뢰성이 확보된 기술적 사고성향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전국의 특성화 및 마이스터 고교 학생 117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 및 마이스터 고교 전체 학생의 기술적 사고성향의 구성은 기술적 조작 성향(TOD)을 보이는 학생이 무려 38.9%를 차지할 정도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기술적 계획 및 성찰 성향(TPRD)을 보이는 학생이 22.46%, 기술적 호기심 성향(TCD)이 17.59%, 기술적 문제파악 및 해결 성향(TPIRD)이 10.33%, 기술적 분석 성향(TAD)이 6.49%, 기술적 창의 및 표현 성향(TCED)이 5.04%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성화고 학생들과 마이스터고 학생들 사이에 기술적 사고성향의 구성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검증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특성화고 학생이나 마이스터고 학생 모두 비슷한 구성의 기술적 사고성향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셋째, 특성화 및 마이스터 고교 전체 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기술적 사고성향 구성에 대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검사에서는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특기할 점은 남학생들의 기술적 호기심 성향(TCD) 구성과 기술적 문제파악 및 해결 성향(TPIRD)이 여학생들 같은 성향 구성 비중 보다 각각 7.4%, 4.4% 가량 더 크게 나타났다. 또 다른 특징은 기술적 계획 및 성찰 성향(TPRD)인데 이 성향에 대해서는 여학생들의 성향 비중이 남학생들의 성향 비중 보다 9.7%나 더 크게 나타났다. 넷째, 특별히 특성화 고교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한 성별에 따른 기술적 사고성향 구성에 대한 차이 검증에서도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구성의 차이를 보였는데, 앞서의 특성화 및 마이스터 고교 학생들 전체를 대상으로 한 결과의 거의 같은 비중의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마이스터 고교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한 성별에 따른 기술적 사고성향 구성에 대한 차이 검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마이스터고등학교 교장의 직무수행에 대한 교장의 인식분석 (Analysis of a Principal's Cognition on his Job Performance in Meister High Schools)

  • 현수;김진수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7-47
    • /
    • 2013
  • 본 연구는 마이스터고등학교 교장의 직무수행 기준에 관한 인식을 분석하여 역량을 갖추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해 마이스터고등학교 교장의 직무수행 영역을 체계적으로 탐색하여 직무수행 기준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직무수행기준을 토대로 전국 35개 마이스터고등학교 교장을 대상으로 인식 분석을 하였다. 질문지는 직무수행빈도, 중요도 및 곤란도의 세 가지이었고 질문 내용은 10개 직무 영역의 80개 직무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마이스터고등학교 교장의 성공적인 직무수행을 위한 인식분석결과 첫째, 학교 경영 계획 영역에서는 학교 경영계획 수립, 예산확보 계획 수립, 학교 경영실적 평가 및 피드백, 둘째, 학교 경영 관리 영역에서는 학교 예산 확보, 교직원의 예산 요구 검토 및 예산안 조정, 학교 예산 집행 및 관리, 학교 시설 설비 확보, 학교 시설 설비 유지 관리, 학교급식 관련 업무 관리, 학교 운영위원회 구성 및 운영 관리, 학교 운영위원회 협의 결과를 학교 운영에 반영, 셋째, 교육과정 및 수업운영 영역에서는 산업체 직무분석, 교육과정 개발, 넷째, 마이스터 성장경로 및 경력관리 영역에서는 학생, 학부모, 산업체의 요구 분석, 마이스터 성장경로 및 경력관리 프로그램 개발, 마이스터 성장 경로 분석 및 학교 교육과정 반영, 다섯째, 학생 지도 영역에서는 학생 상담 활동 지원, 각종 학교 행사활동 관리, 여섯째, 대외 협력 지원 영역에서는 산학협력 연계 교육계획 수립, 산학협력 연계 교육 산업체를 확보, 지역사회지원 확보, 대외기관 지원 확보, 일곱째, 교직원 전문성 개발지원 영역에서는 교직원의 자율장학 및 연구 활동이 지원 우선순위로 분석되었다. 결론으로 마이스터고등학교 교장이 보다 직무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마이스터 성장경로 및 경력관리, 대외 협력 지원, 실습실 구성 및 운영, 교직원의 전문성 개발 지원, 교육과정 및 수업 운영 등과 관련된 능력이 필요함을 알수 있다.

공업계 특성화고·마이스터고에서의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의 효과적인 적용에 대한 전문교과 교원의 인식 및 요구 분석 연구 (Analysis of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bout Effective Application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Based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in Technical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 이병욱;안재영;강철민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11-12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공업계 특성화고 마이스터고에서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의 편성 운영 가능성과 기대 효과, 그리고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지원 방안에 대한 전문교과 교원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업계 특성화고 마이스터고의 전문교과 교원 28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업계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전문교과 교원들은 NCS를 기반으로한 인력 양성 및 활용 정책이 긍정적인 기대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이 학교 교육과정에 적용될 필요성이 크다고 인식한 반면, 2016학년도부터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을 학교 교육과정으로 편성 운영하는 것은 시기적으로 무리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공업계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전문교과 교원들은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을 적용함으로써 산업체 교육 요구 분석, 산업체 직무 기반의 교육목표 및 내용 설정, 산업체 직무 기반의 평가, 교원의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역량 향상, 산학협력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 측면에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인식한 반면, 이에 대한 실현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공업계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전문교과 교원들은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학교 운영 측면에서는 실습기자재 재정비 및 확충, 실습수업의 대상 학생을 15~20명 수준으로 감축, 교원의 현장 교육 역량 강화, 교원 수급 지원, 산학협력에 기반한 현장 중심 교육의 내실화, 학습모듈 등 NCS 기반 교재의 정규 교과서화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유관기관의 지원 방안 측면에서는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에 부합하는 취업 지원 및 현장 교육의 제공, NCS 능력단위별 현장 교수 지원,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에 터한 현장 실무 교육프로젝트의 제공, 산업체의 직무능력 평가제 도입 및 운영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교사와 친구의 사회적 지지가 마이스터고 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from Teachers and Friends on Career Maturity of Technical Meister School Students)

  • 신경일;김서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420-431
    • /
    • 2016
  • 본 연구는 마이스터고 학생들의 진로성숙도에 대한 교사와 친구의 사회적 지지 및 그 하위요인별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P지역 소재 2개 마이스터고 3학년 남학생들로서 전원 기숙사생활을 하고 있었다. 측정도구는 사회적 지지는 김혜진(2006)이 수정 제작한 것이며, 진로성숙도는 이기학 (1997)이 개발한 검사지를 이용하였다. 검사지는 200부가 배부되었으며 최종분석에는 194부가 포함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상관관계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지각된 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친구의 사회적 지지보다 높았으며 하위요인별로는 정보적, 평가적 지지는 교사가 더 많이 하고 정서적, 물질적 지지는 친구가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사회적 지지는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친구의 사회적 지지는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성숙도의 하위 요인 중 진로결정성과 진로확신성, 진로성숙도 총점에는 친구의 정서적 지지가 영향을 미쳤으며, 진로독립성에는 친구의 정보적 지지가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마이스터고 학생들의 진로상담 및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철강산업분야 영마이스터 인력 양성 위한 '철강의 이해' 교과서 내용 선정 연구 (A study on a textbook, 'Understanding on Steel' to teach young meister of steel industry)

  • 우연재;김기수;이창훈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12-123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철강산업분야 영마이스터(young meister) 인력 양성을 위하여 선행 연구에 근거하여 '철강의 이해' 교과목의 단원 내용을 선정하고, '철강의 이해' 교과서 편찬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첫째, 철강산업분야 '철강의 이해' 교과목 프로파일을 분석하여 '철강의 이해' 교과서 집필을 위한 면담지를 작성하였다. 둘째, 면담 조사를 통하여 '철강의 이해' 교과서의 개선안을 도출하고 교과목 내용을 선정하였다. 셋째, 선정된 교과목 내용은 교재개발 연구진 및 집필진으로 구성된 전문가 협의회를 통하여 대단원의 학습 내용을 수정 보완하고, 중단원 및 소단원의 학습 내용을 선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철강산업분야 '철강의 이해' 교과목 프로파일에 제시된 대단원 내용 구성의 적절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철강의 이해' 교과서의 단원 내용 구성에서 개선되어야 할 내용을 추출하여 '철강의 이해' 교과서의 중단원 및 소단원을 선정하였다.

  • PDF

공업계 고등학생들의 회복탄력성, 전공만족도, 취업준비도간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Resilience, Major Satisfaction and Employment Preparation of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 이명훈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44-67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공업계 고등학생들의 회복탄력성, 전공만족도, 취업준비도간의 구조적 관계를 구명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대상은 공업계 고등학생이며, 440명의 공업계 고등학생들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조사도구로는 설문지를 활용하였으며, 회수된 409부 중 불성실 응답을 제외한 391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공업계 고등학생들의 회복탄력성은 높았으며, 영역별로는 흥미와 관심의 다양성이 가장 높았으며, 감정조절이 상대적으로 가장 낮았다. 그리고 공업계 고등학생들의 일반 특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본 결과 마이스터고 학생이 특성화고 학생보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교과성적이 높은 학생이 회복탄력성이 더 높았다. 둘째, 공업계 고등학생들의 전공만족도는 보통이었으며, 영역별로는 전공 전망이 가장 높았으며, 사회차원 만족이 상대적으로 가장 낮았다. 그리고 공업계 마이스터고 학생이 특성화고 학생보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교과성적이 높은 학생이 전공만족도가 더 높았다. 셋째, 공업계 고등학생들의 취업준비도는 보통이었으며, 하위 영역 중 취업태도가 매우 높았으며, 직무수행능력과 취업정보는 보통이었다. 그리고 공업계 마이스터고 학생이 특성화고 학생보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교과성적이 높은 학생이 취업준비도가 더 높았다. 넷째, 공업계 고등학생들의 회복탄력성은 직접적으로 학생들의 취업준비도에 영향을 미칠뿐 아니라 전공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취업준비도에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다중집단분석을 통하여 공업계 고등학생들의 회복탄력성과 전공만족도, 취업준비도의 관계는 마이스터고와 특성화고 모두에 적용되는 모형임이 확인되었다.

학위연계형 일학습병행 고숙련마이스터 과정의 시범 운영 성과 진단을 통한 개선 방향 제안 (The Suggestion of Direction for Improvement Through Achievements Diagnosis of Pilot Operation of High-Skilled Meister Course in Degree-Linked Work-Study in Parallel )

  • 김승희;민준기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499-512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일학습병행 학위연계형 고숙련마이스터 과정의 결과와 성과를 분석하여 제도 개선 및 바람직한 실행 방향을 제시하였다. 결과와 성과 진단에서는 과정 운영 대학의 훈련 실시 결과, 수료 후 전문가 활동 성과와 인정성과, 기업현장교사로서 자신의 역량 강화 정도에 대한 효용감, 기업과 정부의 인적 역량 강화 정도에 대한 효용감에 대한 성과를 분석하였다. 분석내용을 기반으로 고숙련마이스터 과정의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운영 개선 방향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고숙련마이스터 시범 사업의 결과를 정리한한 것으로, 실제 수행 집계 데이터와 본 사업에 참여한 수료자를 통해 실증적 성과를 진단하고 고찰함으로써 연구의 신뢰성을 높였다. 또한, 전문가 자문을 통해 시사점과 바람직한 개선 방향을 검증함으로써 정책 결정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다.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공업계열 특성화고·마이스터고 교사의 직무수행능력 중요도 및 교육적 요구에 대한 인식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and educational needs of job performance competency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based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in technical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 함승연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69-88
    • /
    • 2016
  • 이 연구에서는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공업계열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교사의 직무수행능력의 영역과 하위 요소를 도출하고 이들의 중요도와 교육적 요구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공업계열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교사의 직무수행 능력 향상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인 지역의 공업계열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10개교를 선정하여 전문교과 교사 26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공업계열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교사의 직무수행능력의 영역으로 교과 지도 영역, 생활 지도 영역, 학급 경영 영역, 대외 활동 영역, 행정 업무 영역 등 5개 영역과 총 34개의 하위 요소가 도출되었다. 둘째, 직무수행능력 영역별 중요도는 교과 지도 영역, 대외 활동 영역, 생활 지도 영역 순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적 요구는 교과 지도 영역, 대외 활동 영역, 행정 업무 영역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직무수행능력의 하위 요소 중에서 NCS 학습모듈의 교수 학습 자료 제작 및 교재 재구성, NCS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노동법과 신자격법 등의 법규 지도 및 취업 지도, 생활 기록부 관리, NCS 관련 교사 연구 활동, NCS 관련 현장 실무 능력 향상 연수, NCS 연계 사업 업무 등의 중요도나 교육적 요구가 높았다. 넷째, NCS 관련 활동 경험의 유무에 따라 교과 지도 영역과 생활 지도 영역의 중요도와 교육적 요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NCS 관련 활동 경험이 있는 교사가 경험이 없는 교사에 비하여 직무수행능력의 중요도와 교육적 요구를 더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