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6.16.02.420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from Teachers and Friends on Career Maturity of Technical Meister School Students  

Shin, Kyung-Il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Kim, Seo-Jeong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from teachers and friends on the career maturity of students at technical meister high schools. The Social Support Scale adjusted by Kim, Hye-Jin(2006) and the Career Maturity Attitude Inventory Scale produced by Lee, Ki-Hak(1997) were administered. The data from 194 were ultimately included to analyze. Corrlational coeffic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1.0 statistical packag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teachers' social support was higher than friends. Second, the effect of teachers' social support on career maturity was not significant but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from friends was found. Among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from friends, emotional and informative support were found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maturity. The implication of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career counseling and education of technical meister high schools.
Keywords
Students of Meister High School; Social Support; Career Maturit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공인주, 고등학생의 부모.교사.또래 애착과 학교적응 간의 관계 : 기숙사 생활 여부를 조절변인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 곽윤정, "청소년의 행복감과 심리적 안녕감 향상을 위한 정서관리 프로그램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1호, pp.227-237, 2015,
3 김유미, 권윤정, "개인 및 부모자녀관계 요인이 일반계, 전문계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다층 모형의 적용," 한국인간발달학회, 제22권, 제2호, pp.93-111, 2015.
4 김도연, 오옥선, 김성봉,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성숙도와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5호, pp.71-91, 2012.
5 김봉환, 정철영, 김병석, 학교진로상담, 학지사, 2000.
6 김정원, 김옥인, "중학생의 자아개념 및 학업성취 수준과 진로성숙도와의 관계," 한국아동교육학회, 제16권, 제4호, pp.75-82, 2007.
7 김혜진, 초등학생이 지각한 담임교사의 지지와 학업성취도 및 교우관계와의 연관성 분석,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8 노미순, 일반계 고등학교 직업과정 청소년의 진로성숙과 사회적 지지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9 맹희주, "마이스터고와 특성화고 학생들의 직업가치관과 진로성숙도 비교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제18권, 제3호, pp.579-599, 2014.
10 박성현, 조신섭, 김성수, SPSS17.0의 이해와 활용, 한나래아카데미, 2010.
11 박지원,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5.
12 변지현, 사회적 지지의 효과-청소년의 학교적응, 공감 및 가치관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13 배상훈, "학교유형이 진로성숙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마이스터과 일반고 및 특성화고 집단의 비교," 교육행정학연구, 제30권, 제1호, 2012.
14 오은경, 사회적 지지와 의사결정유형, 진로성숙도의 관계,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5 이경희, 윤미현, "청소년의 부모요인, 친구애착 및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도와의 관계," 한국가족복지학, 제16권, 제1호, pp.175-199, 2011.
16 이복원, 청소년의 애착요인 및 자아존중감이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17 유영달, "신라대학교 대학생활 만족도조사," 학생생활연구, 제34권, pp.87-229, 2014.
18 이기학, 고등학생들의 진로태도 성숙과 심리적 변인들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19 이은경, 자기효능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20 이현림, 송재영,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학회, 제5권, 제2호, pp.393-407, 2004.
21 이현진,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태도성숙 및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2 한수현, 사회적 지지와 진로태도성숙 및 진로미결정과의 관계,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23 조명실,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24 진성미, "서울시 초중고교생의 진로성숙도관련변인별 집단비교," 한국교육문제연구, 제29권, 제2호, pp.133-156, 2011.
25 하영숙, 염동문,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 효능 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문화포럼, 제34권, pp.153-180, 2013.
26 함승연, "마이스터고 및 특성화고 교사와 산업체가 인식하는 직업기초능력평가 문제해결능력 영역의 성과와 과제 분석,"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제27권, 제4호, pp.948-962, 2015.   DOI
27 D. L. Blustein, "A context-rich perspective of career exploration across the life roles,"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Vol.45, pp.260-274,
28 W. Furman and D. Buhrmester, "Age and sex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networks of personal relationships," Child Development, Vol.63, No.1, pp.103-115, 1992.   DOI
29 P. Greed, L. A. Prideaux, and W. Patton,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career decisional states in adolescenc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67, pp.397-412, 2005.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