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a governance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6초

디지털 환경에서의 미디어교육에 대한 거버넌스 이론의 활용에 대한 연구 (Governance Thoery as Ways of Applying a Policy for incorporating Media into Education in Digital Environment)

  • 심영섭;김동규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58권
    • /
    • pp.242-261
    • /
    • 2012
  • 본 연구는 미디어 교육을 거버넌스 관점에서 분석하고 새로운 거버넌스의 지향성과 혁신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미디어 교육과 거버넌스에 대한 이론적, 실재적 배경을 고찰하여 미디어 교육의 거버넌스적 이해를 위한 분석 모형으로서 쉬만크의 지향-질서-행위이론을 기반으로 거버넌스 모형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 모형을 운영하는 세가지 기준에 의거 미디어 교육의 구조와 행위, 결과, 이를 바탕으로 미디어 교육 정책의 거버넌스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 교육 현장에서 지향-질서-행위형 거버넌스 모형의 구축을 위한 거버넌스 혁신 방안으로 '행위적 협력'의 이념 지향, 사회정치적 변수를 합리적 정책 시스템으로 귀속시키기 위한 정책차원의 노력, 통치(government)에서 협치(governance)로 전환할 수 있는 협력 거버넌스의 활성화 등을 제시하였다.

  • PDF

The Role of Corporate Governance in the Corporate Social and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Disclosure

  • DIAMASTUTI, Erlina;MUAFI, Muafi;FITRI, Alfiana;FAIZATY, Nur Elisa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1호
    • /
    • pp.187-198
    • /
    • 202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of government's rol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media exposure on the corporate social and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disclosure (CSERD) of 42 Indonesian state-owned enterprises (SOEs) with good corporate governance as the mediator. This study uses a quantitative approach with path analysis to test the hypothesis. The sample in this study was directors of 42 state-owned enterprises in Indonesia.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with items assessed on a five-point Likert scale. This study finds that 1) the government's rol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media exposure have direct influences on good corporate governance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disclosure; 2) the government's rol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corporate social and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disclosure with the mediation of good corporate governance, indicating that government's role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re factors affecting Indonesian state-owned enterprises; and 3) the media exposure through good corporate governance mediation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orporate social and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disclosure. This means that media exposure is only one of the tools for CSERD, while SOEs have no obligation to disclose CSER through website or printed media.

민간부문, 사적권위, 그리고 글로벌 미디어 거버넌스 (The Private Sector, Private Authority and Global Media Governance)

  • 문상현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29권
    • /
    • pp.73-110
    • /
    • 2005
  • 본 연구는 정치, 경제, 문화의 영역에서 급속도로 진행되어 온 지구화가 결과한 국제정치의 탈중심화 현상과 이를 상징하는 국제정치경제에서의 민간부문의 영향력 증대 현상을 글로벌 미디어 거버넌스와 관련하여 논의하는데 그 주요한 목적이 있다. 먼저 본 논문은 글로벌 거버넌스에서 민간부문의 영향력 강화 현상을 이론적으로 설명하고자 일군의 국제정치학자들이 제기한 사적권위라는 개념의 소개를 통해 어떻게 민간부문의 거버넌스 기능이 국가에 의해 행사되는 공적권위와 같이 정당한 것으로 인식될 수 있는지를 검토한다. 사적권위 개념의 등장은 국제정치에서 민간부문이 국가에 종속된 것으로서의 부차적 지위에서 벗어나 국가에 버금가는 거버넌스의 주체로 부상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라고 할 수 있다. 이 같은 이론적 논의에 기반하여 본 논문은 민간부문의 영향력 강화로 특징져지는 국제정치의 탈중심화가 글로벌 미디어 거버넌스의 영역에서는 어떠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며, 그것의 함의는 무엇인지에 대해 시론적으로 논의한다.

  • PDF

ESG-oriented Governance Work System for Smart Highway Implementation

  • Bong-Shik, Yun;So-Wol, Yoo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1권10호
    • /
    • pp.36-45
    • /
    • 2022
  • This study was promoted to prepare an ESG-oriented work system for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through sustainable highway construction, IOT-based smart highway preparation, and establishment of a broad convergence business governance system between multiple ministries and implementing entities. Based on the 2nd Basic Plan for Landscape Policy (2020~2024) and the Public Design Promotion Act (2018~2022),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highway design method to be applied for four years from 2021 to 2024, the changes in construction and social conditions related to expressways, the analysis of policies and plans to secure consistency with the 'Korean New Deal', and the analysis of the project performance and work promotion system that the Korea Expressway Corporation's business execution organization has promoted together with each government departmen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expected to help the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establish the 21st Innovation Plan for the phased construction of a "100-years landscape with people" and the preparation of a sustainable future highway environment creation project for the lives and safety of the people.

인터넷 거버넌스 모델로서의 멀티스테이크홀더 (The Multistakeholder Model of Internet Governance)

  • 이영음
    • 인터넷정보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1-34
    • /
    • 2013
  • The multistakeholder model of Internet governance is based on the belief that the stakeholder groups should be able to agree on the rules and principles in governing the Internet space. The global expansion of the sweeping influence of the Internet has heightened the awareness of international governments on the importance of Internet governance, but since the Internet has developed mostly through voluntary participation by various groups, the organization with the greatest ability to manage the Internet space currently is ICANN(Internet Corporation for Assigned Names and Numbers), the U.S. based organization that manages the assignment of Internet domain names and IP addresses. Although ICANN has attempted to globalize its operation, governments in some nations are voicing dissatisfaction over the fact that the voice of the governments are not adequately represented within ICANN. This paper examines how the concept of multistakeholderissm has been used in WSIS(World Summit on Information Society), ICANN(Internet Corporation for Assigned Names and Numbers) and the 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as an important principle in emphasizing their roles in Internet governance.

  • PDF

KBS 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지배구조 개선에 관한 전문가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KBS Institution and the Expert Recognition Study on the Improvement of Governance)

  • 박종원;이창형;김광호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1069-1079
    • /
    • 2018
  • 미디어 거버넌스론을 바탕으로 KBS 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지배구조 개선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지배구조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BS 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정치, 다음으로 공영방송 자신 즉 전문직주의 역할로 나타났다. 정치적 요인이 공영방송 KBS 제도에 가장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KBS 지배구조는 BBC와 같이 정치 독립적인 전문모델을 지향하면서, 이사회 구성과 비율은 정치권 이외의 다양한 이해 세력이 참여하는 독일식 조합 모델을 선호하였다. 셋째, 미래 지향적 KBS 지배구조 모델은 정치와 시장의 영향력으로부터 벗어난 시민사회(공공) 영역의 변화를 필요로 한다. 결국 공영방송 KBS 제도가 안정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정치적 영향이 축소되어야 하고, 공공영역(시민사회)의 성장으로 정치와 시장을 견제하는 역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News, Public Policy, and Social Justice

  • Kumar, Sunil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4권3호
    • /
    • pp.123-165
    • /
    • 2017
  • In this paper, we look at mediation of public policies in different areas of governance. Editorials appearing in an Indian English language newspaper during the period of an intense public debate on the issue of affirmative action in favor of a section of the population, the Other Backward Classes (OBC) - a popular reference to the socially and educationally backward classes of citizens under India's constitution constitute the sample for the study. Apart from editorials on the public policy of reservation of seats in admission to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for the OBC, editorials on three other areas of governance, namely, development, economy, and public administration appearing in the same newspaper, are also consulted to understand media framing of social issues and more specifically, issues of social justice. Inductively identifying the various frames used in its editorials by the newspaper, I detect predominant use of 'personalized' frame in respect of editorials pertaining to the policy area of social justice; and distinguish it from the 'generic' frame of 'characterization' found in theory. The study concludes that the sample editorials in respect of other public policies did not use the personalized frame found in editorials on social justice.

한국 공영방송의 거버넌스 구성요인과 공영방송 위기에 대한 전문가 인식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Constituent Factors of Korean PSB Governance and the Expert Recognition on PSB Crisis)

  • 박종원;김광호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839-847
    • /
    • 2017
  • 한국 공영방송은 정체성 위기와 함께 지배구조 개선 논의에 직면해 있다. 공영방송의 위기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공영방송 종사자와 미디어 관련 전문가의 인식을 바탕으로, 공영방송의 거버넌스 구성요인에 대해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공영방송 거버넌스는 시장 영향력, 정치적 영향, 전문직주의, 공영방송 제도보장 등 4개 요인으로 유형화되었다. 둘째, 공영방송 거버넌스 요인 중 정치적 영향만이 공영방송의 위기 인식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KBS이사회를 구성하는 방식과 인원 비율이 정치적 영향 요인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한국 공영방송이 정당성과 정체성 확보를 위해 정치적 영향으로부터 떨어진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선이 필요함을 확인해 준다.

방통융합 관련 법제개편 논의의 비판적 분석 (A Critical Examination of Convergence Studies on Media Policy Institutions)

  • 김평호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0권
    • /
    • pp.121-141
    • /
    • 2005
  • 방통융합 관련 법제개편 연구에서 '왜 방통융합 법제로의 개편이 필요한가?'라는 물음에 대해 제시되고 있는 근거와 이유는 두 가지로 요약된다. 하나는 '미디어 정책구조(media governance perspective)'에 초점을 둔 입장이며 두 번째는 '미디어 산업(media industry perspective)'에 초점을 둔 입장이다. 방통융합 환경에서 전자가 주로 방송통신 전반의 정책과 행정의 일관성과 효율성을 강조하는 입장이라면, 후자는 방송통신 관련 산업의 성장과 발전을 강조하는 입장이다. 미디어 정책구조의 관점이나 미디어 산업의 시각에서 제시하고 있는 방통법제통합의 이유와 근거는 나름대로 논리적이며 타당한 근거를 가지고 있고 또 지적된 여러 문제점들을 감안할 때 방통법제의 개편이 우리 사회에 주어진 중요한 현안과제임에는 틀림없다. 그러나 논리적, 현실적 타당성과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여기에는 단선적인 제도주의적 사고에 기초한 '입법만능주의(legalism)'와 '근시안적 경제주의(myopic economism)'라는 두 가지의 근본적 문제가 놓여있다. 입법만능주의는 제도의 형식적 완결성에 강조점을 두면서 제도가 가지고 있는 실질적 내용에 대한 분석과 관찰이 부족한 문제를, 근시안적 경제주의는 좁은 의미의 경제산업적 가치에 치중하면서 매체 공익성과 같은 사회문화적 차원의 관심을 평가절하하거나 우리나라의 매체산업/정보기술 산업정책이 가지고 있는 근본적 결함을 제대로 짚지 못하고 있는 문제를 뜻한다. 방통융합 법제개편이 기대한 만큼의 성과를 이룩하기 위해서는 이 같은 두 가지 문제에 대한 적절한 대안제시를 포함하는 보다 진전된 논의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