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a context

검색결과 636건 처리시간 0.026초

유비쿼터스 환경과 상호작용을 위한 착용형 도움 슈트 개발 (Development of Wearable Assistance Suite for Interaction with Ubiquitous Environment)

  • 서용호;한태우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93-99
    • /
    • 2009
  • 일상생활의 상황을 이해하고 다양한 전자매체들과 지능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착용형 컴퓨터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사용자를 위한 에이전트로서 매우 유용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사용자가 다양한 정보 에이전트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컴퓨팅 시스템으로서 착용형 도움 슈트를 제안한다. 개발된 시스템은 사용자가 사용하거나 통신하기를 원하는 상호작용형 전자매체를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호작용 능력을 활용하여 사용자와 각각의 매체들을 중재하고 이 시스템을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친숙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상호작용형 전자매체들과 상호작용하는 모습을 연출함으로써 제안된 시스템의 사용법을 설명한다.

  • PDF

현대 조경설계의 전략적 매체로서 다이어그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agram as Strategic Media in Contemporary Landscape Architectural Design)

  • 배정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99-112
    • /
    • 2006
  • In contemporary design conditions, the focus of landscape architecture has shifted from 'form' to 'process.' Various experimental diagrams have been propos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conventional form-oriented landscape design. This study aims to reconsider theoretically and critically the modes and mechanism of diagrams in recent landscape architectural design. It also explores the operational capabilities of diagram in design process. Although the traditional diagram has served as explanatory and representational graphics in design, contemporary designers emphasize the generative function of diagram on the basis of Gilles Deleuze's theory of 'diagram as abstract machine.' They manifest and practise that diagrams call generate forms and proliferate spaces in their design development. This paper examines current examples of generative and constructive diagrams produced by leading designers. However, the author illuminates another significance of diagram: the diagram as strategic media of design. Contemporary environments and conditions of design, such as the complexity of city and the interactivity of new economy, call for new design intelligence and strategic design. These situations require alternative media in design process. In this context, the diagram can function as strategic media of dynamic and flexible design. This is why contemporary landscape theory and practice have to give attention to diagrams.

Factors affecting millennials' intentions to use social commerce in fashion shopping

  • Bounkhong, Tiffany;Cho, Eunjoo
    • 복식문화연구
    • /
    • 제25권6호
    • /
    • pp.928-942
    • /
    • 2017
  • Social media has become an integral part of consumers' daily lives. Individuals connect with one another on social networking sites to like, share, and post information and experiences. As social media become popular among millennials, a growing number of fashion retailers use social media networks in the context of online commerce transactions. Accordingly, an increased number of fashion retailers has been using social media as an advertising tool and a retail channel. Despite the popularity of social media among millennials, empirical findings are limited to reveal factors associated with young consumers' intentions to use social commerce in fashion shopping.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millennials' intentions to use social commerce in fashion shopping by adopt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 total of 524 college students completed an online survey in the U.S.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confirmed that perceived ease of use, usefulness, and enjoyment had a positive impact on millennials' attitudes and intentions toward fashion shopping in social commerce. While both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fulness positively influenced enjoyment, usefulness had a stronger impact than ease of use. Compared to usefulness, enjoyment had much stronger impact on attitudes. Further structural model analysis revealed a direct, positive influence of perceived usefulness of social commerce on perceived enjoyment of social commerce, which has not been explored in prior studies. These findings provide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의료기관의 소셜 미디어 마케팅 역량이 인지된 위험 및 의료관광 환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Social Media Marketing Capability on International Patient Satisfaction through Perceived Risk in the Medical Tourism Context)

  • ;엄기현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203-221
    • /
    • 2023
  • Purpos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explore the role of social media in attracting international patients for cosmetic services in South Korea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study aims to conceptualize social media as an effective marketing tool for minimizing perceived risks associated with cosmetic services and increasing patient satisfaction. Methods: The study validated proposed hypotheses using the PROCESS macro for SPSS with overseas patients who received cosmetic treatment in private Korean plastic surgery clinics in Busan. Results: This study found that information delivery capability reduced perceived risk and contributed to patient satisfaction, while communication capability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perceived risk and satisfaction. In addition, information delivery capability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patient satisfaction, but communication capability did not.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the outcomes of this study will broaden our understanding of the use of social media in reducing perceived risk and increasing satisfaction.

Influencing Knowledge Sharing on Social Media: A Gender Perspective

  • Jae Hoon Choi;Ronald Ramirez;Dawn G. Gregg;Judy E. Scott;Kuo-Hao Lee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30권3호
    • /
    • pp.513-531
    • /
    • 2020
  • Online Word-of-Mouth communication, or eWOM, has dramatically changed the way people network, interact, and share knowledge. Studies have examined why consumers choose to share knowledge online, especially online product reviews, as well as the motivations of individuals to share product ideas online. However, the role of gender in shaping the motivation and types of knowledge shared online has been given little consideration. Using concepts from Social Exchange Theory and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 we address this research gap by developing and testing a model of gender's influence on knowledge sharing in a social media context. A PLS analysis of survey data from 257 students indicates that reputation, altruism, and subjective norms are key motivators for knowledge sharing intention in social media. More importantly, that gender plays a moderating role within the motivation-knowledge sharing relationship. We also find that subjective norms have a greater impact on knowledge sharing with women than with men. Collectively, our research results highlight individualized factors for improving customer participation in external facing social media for marketing and product innovation.

MPEG Media Transport 환경 내 UWV 미디어 공간 인접 행렬 시그널링 방안 (Signaling Method for Spatial Adjacency Matrix of UWV media in MPEG Media Transport Environment)

  • 김준식;강동진;이의상;김규헌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261-273
    • /
    • 2018
  • 영상 처리, 컴퓨터 비전 및 영상 디스플레이와 같은 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미디어의 생성 및 소비 방식에 대한 시장이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Ultra Wide Viewing(UWV) 미디어에 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UWV 미디어의 소비에 있어, 서버의 부하 및 단말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사용자의 자유도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관심 영역을 선택 및 소비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MPEG-CI 및 Layout 시그널링을 이용하고 확장하여 UWV 미디어를 구성하는 다양한 미디어 간 공간적 위치정보를 기술하고 이를 전송하는 방안을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적 소비를 가능케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프랜차이즈 베이커리 전문점의 브랜드 풍문이 브랜드 태도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rand Hearsay of Franchised Bakery Stores on Brand Attitude and Brand Loyalty)

  • 한상호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13권4호
    • /
    • pp.13-22
    • /
    • 2022
  • Purpose: Brand hearsay refers to information that can be acquired from advertisement, media publicity, and word-of-mouth prior to experiencing products or services of brands. Previous information about brands obtained through brand hearsay affects consumer behavior in choosing brands. Moreover, brand hearsay is an effective communication method in promoting brands to consumers. Thus, bakery franchises need to improve strengths and differentiate characteristics of their brand, thereby attracting more consumer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relationships the effect of brand hearsay on consumers' brand attitude and brand loyalty in the context of franchised bakery brand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A research model was proposed to examin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brand hearsay (advertising, publicity, word-of-mouth), brand attitude, and brand loyalt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o consumers who had an experience of visiting a franchise bakery. A total of 513 respons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SPSS 22.0 was used for analyzing general demographics, and SmartPLS 4.0 was used to tes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proposed model. Result: Among attributes of brand hearsay, advertisement and word-of-mouth had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s on brand attitude, but no significant effect was found between publicity and attitude. Advertisement had a positively significant impact on brand loyalty, while publicity had a negative effect on brand loyalty opposite to hypothesis. Moreover, brand attitud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brand loyalty. Conclusions: In the context of franchise bakeries, brand hearsay contents may change consumers' attitude toward brands but does not increase brand loyalty. Though media publicity does not affect consumers' attitude toward brands, it may decrease brand loyalty when consumers are too exposed to i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nhance brand attitude to increase brand loyalty of customers. This study provides bakery franchisors and franchisees information about which type of brand hearsay (e.g., advertisement, word-of-mouth, media, publicity) is effective in enhancing brand attitudes and loyalty of consumers. Further studies may include other variables (e.g., trust) in addition to attitude and loyalty, or compare findings based on brand characteristics (e.g., low-to-medium/high prices, store size).

사용자 경험을 통한 제스처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esture Interface through User Experience)

  • 윤기태;조일혜;이주엽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839-849
    • /
    • 2017
  • 최근 주방의 역할은 이전의 생존 영위를 위한 공간으로부터, 현재의 생활과 문화를 보여주는 공간으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변화와 더불어, IoT 기술의 사용이 확산되고 있다. 그 결과로, 주방에서의 새로운 스마트기기의 발전과 보급이 이루어지고 있다. 때문에 이러한 스마트기기를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 경험 또한 중요해지고 있다. 이는 맥락적 사용자 기반의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와 컴퓨터간의 보다 자연스러우며 효율적인 상호작용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주방에서 사용하는 스마트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바탕으로 기기와 접촉을 하지 않는 자연스러운 사용자 인터페이스(natural user interface, NUI)를 고찰하고자 한다. 그 방법으로, 기기에 부착되어 있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 제스처를 인식한 뒤 인식된 손의 모양을 인터페이스에 적용하는 영상 처리 기술을 활용하였으며 사용자의 맥락과 상황에 맞는 제스처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제스처의 기본방향은 직관성과 학습 용이성에 중점을 두었으며 기본적인 5개의 제스처를 분류하여 이를 인터페이스에 활용하였다.

지식 창조 플랫폼으로서의 소셜미디어 관리모델 설계를 위한 탐색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Management Framework of Social Media as Knowledge Creation Platform)

  • 김상욱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149-158
    • /
    • 2012
  • 소셜미디어(Social Media)는 최근 집단지성 형성의 새로운 매체로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의 사회적 함의를 규명하고 그에 근거하여 지식 창조 플랫폼(Knowledge Creation Platform)으로서의 소셜미디어 관리를 위한 개념적 틀을 탐색 차원에서 제시하고자 하였다. 소셜미디어를 통한 정보 소통은 문자 그대로 범사회적 영향을 끼치는 공공성이 강하기 때문에 민간 기업뿐만 아니라 정부를 비롯한 각급 공공기관에서도 홍보, 크라우드 소싱(Crowd Sourcing) 등 다양한 용도로 그 활용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빅데이터(Big Data) 시대와 맞물리면서 소셜미디어가 사회적 지식창조 플랫폼으로서의 가능성을 열고 있다는 측면에서 볼 때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소셜미디어 관리를 위한 개념적 틀은 향후 지식창조 플랫폼으로서의 소셜미디어 관리모델을 구체화하는데 중요한 단서와 기본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미디어 제도의 신제도주의적 접근을 위한 탐색적 연구 (Exploratory Study on New Institutionalist Approach for Media Institution)

  • 심영섭;허찬행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69권
    • /
    • pp.170-194
    • /
    • 2015
  • 신제도주의는 1970년대 이후 정치, 경제, 사회현상에 대하여 제도를 중심으로 보다 정확한 진단과 해법을 추구하는 연구경향을 통칭한다. 공동체에게 좋은 미디어란 무엇이고 어떻게 작동되어야 하는가는 미디어 제도의 설계와 제도 개선에 대한 문제적 성격을 지닌다. 미디어 제도 설계와 제도 개선 문제에 대하여 보다 높은 설명력에 대한 요구에 부응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접근 틀이 필요하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 연구는 신제도주의 접근 틀을 통해 미디어 제도에 대한 보다 높은 설명력을 추구하고 이론화를 위한 활용방안을 탐색하였다. 주요 결과로 첫째 신제도주의 접근 틀은 미디어 정책 법제, 미디어조직 연구 분야에 보다 잘 활용될 수 있다. 둘째, 미디어정책 법제 연구와 미디어 조직연구에서 다룰 주요 연구문제와 연구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미디어 제도에 대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하나의 연구 방법으로서 신제도주의 접근법의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미디어 제도를 보다 잘 설명할 수 있는 접근법으로 향후 다양한 미디어 제도 연구 분야에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