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a Education Model

검색결과 282건 처리시간 0.03초

개방·공유·참여의 대학 교육환경 구축 사례 (A Framework for Open, Flexible and Distributed Learning Environment for Higher Education)

  • 강명희;유지원
    • 지식경영연구
    • /
    • 제9권4호
    • /
    • pp.17-33
    • /
    • 2008
  • This study proposes University 2.0 as a model case of open, flexible, and distributed learning environment for higher education based on theoretical foundations and perspectives. As web 2.0 technologies emerge into the field of education, ways of generating and disseminating information and knowledge have been drastically changed. Professors are no longer the only source of knowledge. Students using internet often become prosumers of knowledge who search and access information through the web as well as publish their own knowledge using the web. A concept and framework of University 2.0 is introduced for implementing the new interactive learning paradigm with an open, flexible and distributed learning environment for higher education. University 2.0 incorporates online and offline learning environments with various educational media. Furthermore, it employs various learning strategies and integrates formal and informal learning through learning communities. Both instructors and students in University 2.0 environment are expected to be active knowledge generators as well as creative designers of their own learning and teaching.

  • PDF

대상화이론에 근거한 여대생의 섭식장애증상 경로모형 분석 (Analysis of Path Model Based on Objectification Theory for College Women's Eating Disorder Symptomatology)

  • 이은주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78-86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itness of a path model based on the objectification theory and to expand it by including the new variables to explain eating disorder symptomatology (EDS). Methods: The subjects consisted of 444 college women. Data was collected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that measured self-objectification (SO), social physique anxiety (SPA) and EDS as the original variables in the objectification theory, and influence of mass media (IMM) and sex-role attitude (SRA) as the new variables. Data was analyzed by SPSS/WIN 12.0 and Amos 5.0 programs. Results: IMM and SRA showed direct effect on SO. IMM had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SPA and EDS. SRA had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EDS, but only indirect effect on SPA. SO and SPA influenced EDS directly, and SO influenced indirectly EDS. Conclusion: Path analyses indicated support for the original theory and the expanded theory. It is necessary for repeated studies including various age groups of women to clarify the applicability of the objectification theory to Korean women's eating disorders. And it were recommended that we should promote womens' criticism of the image and message about the perfect female body presented in the mass media, and to highlight the relationship of gender equality to women's eating disorders in health education.

유아동 교육 애니메이션의 미디어 리터러시 평가항목 요구도 분석 (Analysis of Media Literacy Evaluation Items in Early Childhood Animation)

  • 장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5호
    • /
    • pp.365-373
    • /
    • 2021
  • 본 연구는 유아동 교육 애니메이션의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를 분석하여 요구도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문가 초점집단면접(FGI)을 거쳐 평가항목의 문항을 도출한 후 내적합치도와 기술통계 현황조사를 거쳐 신뢰도와 정규성을 확보한 측정도구를 제작하였다. 이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유아동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분석도구는 Borich의 요구도 공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함께 사용하여 정확도를 높였다. 그 결과 애니메이션의 다양한 정보를 자신의 상황에 맞게 습득하는 능력, 애니메이션의 다양한 정보를 비교·구분하는 비판적 수용 능력, 애니메이션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태도, 애니메이션을 통해 정보를 습득하는 지적 능력 향상, 애니메이션의 내용과 주제에 대한 공감능력, 애니메이션을 통해 타자를 존중하고 협력하는 태도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유아동 교육 애니메이션에 대한 수용자의 요구를 인식하고 이를 위한 체계적인 지표를 마련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포스트휴먼 시대 청소년의 정신 건강: 비대면 대화 매체 사용과 언어폭력 관련성 연구 (The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in the Post-Human Era: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on Face-To-Face Communication Media and Verbal Violence)

  • 이유미;오미영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23-134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verbal violence that adolescents face in the post-human age, when the non-face-to-face media is increasing.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305 adolescents, aged 14 to 16 years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25.0. Results: As a result of conduct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the type of conversation that affects verbal abuse of adolescents, a model with a conversation with family, conversation with other people, messenger conversation such as KakaoTalk, and video chat conversation was selected. The amount of explanation was 11.4%. (R2 = .114) Of these, non-face-to-face conversations have been shown to increase verbal violence, and face-to-face conversations with family have, in turn, lowered the risk. As a result of t-testing to examine the effect of verbal abuse experience on the verbal violence index, the damage experience was significant in depression (p = .042) and impulsive aggression (p = .021). (P = .000). Conclusion: This study reiterates the importance of family dialogue along with the fact that the development of various non-face-to-face media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an have a negative impact on adolescent mental health.

미래교육 혁신을 위한 트렌드 분석과 예측: 20년간의 문헌 연구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키워드 추출 분석을 중심으로 (Analysis and Prediction of Trends for Future Education Reform Centering on the Keyword Extraction from the Research for the Last Two Decades)

  • 조헌국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5권2호
    • /
    • pp.156-171
    • /
    • 2021
  • 본 연구는 미래 교육에 관련된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그 시기별 변화의 특징을 파악하고, 최근 나타나는 뉴스 기사를 비교하여 미래 교육에 대한 예측과 전망이 얼마나 일치하는지 비교 분석함으로써 교육을 위한 예측 모형 수립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에 Web of Science를 통해 미래교육을 키워드로 포함한 국제전문학술지의 1,222건의 학술논문의 상세 서지정보를 수집하였고, 이를 2000년대부터 5년 단위로 4개의 시기로 구분하여 각 시기별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또한 최근 1년간 발간된 뉴스를 토대로 키워드를 추출하고 두 결과를 비교하여 얼마나 예측한 결과가 일치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문헌 조사 결과를 통한 키워드는 교사 교육을 제외하면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주제나 경향성을 발견하기 어려웠으며 교육과정, 학습자 특성, 협동학습, 컴퓨터 기반 학습 등 교육과정과 내용, 방법, 환경 등 전반을 제시하고 있었다. 이에 반해 뉴스를 통해 도출된 키워드는 혁신학교나 미래교육센터 등 정부의 주요 추진 정책이나 코로나19와 관련된 키워드들이 부각되어 나타났다. 또한 온라인 플랫폼이나 콘텐츠 개발, 클라우드, 빅데이터, 개별학습 등 교육환경과 방법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뉴스를 통해 나타나는 키워드를 살펴보면 장기적인 예측을 통해 나타난 키워드는 거의 없었고, 최근 5년 내에 제시되었던 단기적인 내용들이나 최근 5년에서도 언급되지 않는 새로운 주제들을 다루고 있었다. 이는 미래 교육에 대한 예측과 망에 대한 모형이 실제 중장기적 예측에서는 여러 요인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정확성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점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래 교육 예측을 위해 필요한 과제와 방향에 대해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Writing education using Characteristics at hypertext

  • Lee, Hee-Yo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9-14
    • /
    • 2018
  • This paper focuses on how the latest progress in digital media and technology affects the writing education environment. In the contemporary era, collecting numerous pices of information online, and arranging them to create new knowledge is important. There is also a need to seek new methods for writing education to stay in tune with the times. To that end, this paper suggests an open writing model using hypertexts. This writing model consists of a total of five stages, which are use of information, compilation of information, open mutual discussion, search of additional information and writing to recreate knowledge. The final outcome of such writing is writing using footnotes. By describing the gist of the keyword and adding numerous footnotes, such writing opens up an infinite possibility of re-creating information into new knowledge. This method can help university students who are accustomed to the digital society to proactively use information and improve multi-disciplinary communication skills required today. This author applied such a model to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and found that more than 82% of the students were satisfied. Through the process of collaboration and recreation of knowledge in writing, learners found distinct benefits and noted their horizons had broadened. Given this effect, the open writing model using hypertexts is meaningful in that it forms a learning community that goes beyond a one-way feedback from instructor to student and instead nudges students to realize collective intellect. Moreover, it is meaningful in that it moves away from a top-down approach of the instructors passing down knowledge about writing and its rules, and towards a more proactive involvement by students in creating knowledge.

어린이 영어교육을 위한 컴퓨터 게임 모형 (A model of computer games for childhood English education)

  • 정동빈;김주은
    • 영어어문교육
    • /
    • 제10권2호
    • /
    • pp.133-158
    • /
    • 2004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scrutinize computer games that can motivat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their interactive "edutainment" effects. The types of elements in computer games that students find interesting as learning media and their impact were studied.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computer games, issues related to learning English, and methods to stimulate the motivation and interest in learning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explored. A computer game model for efficiently teaching English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a connection between computer games and education was suggested. In this model, overall games were designed with the focus on the integration of curriculum and content subjects related to learning activities. For games not to be biased toward entertainment and to have systemized learning steps, the games are composed of an introduction, presentation, practice, production and evaluation, in that order. The model suggested by this plan and composition make it possible to approach learning efficiently with entertaining games based on a systematic learning curriculum. As shown above, developing the model of educational computer games can be seen as an opportunity, which can provide amusement and interests and a broad learning experience as an additional learning method.

  • PDF

대학생들의 학습 매체에 대한 만족 및 불만족 요인에 관한 연구: 태블릿PC와 디지털 펜을 중심으로 (A Study of Undergraduate Students'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Factors with the Learning Media: Focusing on Tablet PCs and Digital Pens)

  • 이준영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389-400
    • /
    • 2023
  • 정보통신 분야의 기술적 진보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 기기들이 등장하고 활용되면서 사람들의 사용 행태와 환경에도 많은 변화가 발생했다. 이러한 변화는 학습 환경에서도 적용되어, 다양한 스마트 기기들이 학습 환경에 등장하고 있으며 학습자의 학습 행동 양식 또한 달라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학습 매체 및 필기 도구로 활용되는 스마트 기기 중 최근 등장한 디지털 펜과 태블릿PC를 중심으로, 이를 활용한 디지털 필기 행동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기대 일치 모형을 활용하여, 대학생들의 태블릿PC와 디지털 펜에 대한 사전 기대 및 이후 사용 경험과의 비교를 통해 기대 (불)일치 및 (불)만족 요인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C 대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을 진행하고, 해당 응답을 질적 내용 분석을 통해 분석하여 네 가지 기대 일치 및 만족 요인과 세 가지 기대 불일치 및 불만족 요인을 도출하였다. 이후 결과를 바탕으로 학술적 및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리터러시 교육 연구 동향 (A Study on Research Trends in Literacy Education through a Key word Network Analysis)

  • 이우진;백혜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53-59
    • /
    • 2022
  • 본 연구는 리터러시의 국내 연구동향 분석을 통해 학습과의 관련 변인을 살펴보고, 리터러시 교육방향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연구정보서비스(RISS)를 활용하여 1993년부터 2022년 2월까지의 연구논문을 수집하였다. 검색 키워드로 '리터러시'와 '교육'을 사용하였으며, 200편의 논문이 분석대상으로 선정되었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관련 변인을 분석한 결과, 총 810개의 키워드 중 최소 3회 이상 출현한 키워드는 118개였으며,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키워드는 '디지털 리터러시', '미디어 리터러시', '초등학교' 순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통해 다음의 시사점을 제시했다. 첫째, 온라인 교수·학습 자원 플랫폼 구축과 교육정책 연계와의 확대성 연구가 요구된다. 둘째, 리터러시 역량 설정 및 역량 향상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셋째, 디지털 기반 융합 교육모델 개발이 이뤄져야 한다. 본 연구는 가장 최근까지의 리터러시 연구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웹 기반 독서전략 모형 연구 (A Study on Model of Web Based Reading Strategy)

  • 최영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41-57
    • /
    • 2014
  • 본 연구는 미래 사회에서 개인의 독서활동이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인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 매체 환경의 변화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법으로 효과적인 독서 생활을 위한 정보 독해능력과 웹 3.0 개념의 이해와 특성을 바탕으로 한 "웹 기반 독서전략 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웹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6개의 독서전략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6개의 독서전략은, 초인지 전략, 정보검색전략, 개인화 전략, 읽기 전략, 쓰기 전략, 그리고 해석 전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