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chanical interfacial properties

검색결과 489건 처리시간 0.029초

Nb/MoSi2적층복합재료의 제조 및 파괴특성 (Fabrication and Fracture Properties of Nb/MoSi2Laminate Composites)

  • 이상필;윤한기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26권6호
    • /
    • pp.1047-1052
    • /
    • 2002
  • The impact value, the interfacial shear strength, the tensile strength and the fracture strain of Nb/MoSi$_2$laminate composites, which were associated with the interfacial reaction layer, have been investigated. Three types of Nb/MoSi$_2$ laminate composites alternating sintered MoSi$_2$ layers and Nb foils were fabricated as the parameter of hot press temperature. The thickness of interfacial reaction layer of Nb/MoSi$_2$ laminate composites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fabrication temperature. The growth of interfacial reaction layer increased the interfacial shear strength and led to the decrease of impact value in Nb/MoSi$_2$ laminate composites. It was also found that in order to maximize the fracture energy of Nb/MoSi$_2$ laminate composites, interfacial shear strength and the thickness of interfacial reaction layer must be secured appropriately.

나노 인덴테이션을 통한 경량 고강도 콘크리트 Interfacial Transition Zone (ITZ)의 역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Interfacial Transition Zone (ITZ) of Lightweight High Strength Concrete Via Nanoindentation)

  • 임수민;배성철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537-544
    • /
    • 2020
  • Interfacial transition zone (ITZ)은 골재-시멘트 복합체 사이의 영역으로써, 콘크리트에서 가장 취약한 영역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불균질한 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경량 고강도 콘크리트 개발을 위해 물-바인더 비가 낮은 고강도 시멘트 복합체와 경량골재 사이의 Interfacial transition zone (ITZ)의 역학적 특성 평가는 필수적이다. 하지만 ITZ는 복잡하고 다공성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의 역학적 특성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 또한, 경량골재 ITZ는 일반골재보다 다양한 변수 (물-바인더 비, 골재의 흡수율, 양생조건 등)에 의해 변화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골재의 종류 및 크기에 따른 ITZ의 역학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나노 인덴테이션 기법을 이용하여 물-바인더 비가 0.2인 고강도 시멘트 복합체와 표준사 및 최대치수가 각각 2mm, 5mm인 경량골재 ITZ의 탄성계수를 측정하였다.

에폭시/우레탄 블렌드의 경화거동과 기계적 계면특성에 관한 연구 (Cure Behaviors and Mechanical Interfacial Properties of Epoxy/Polyurethane Blends)

  • 석수자;이재락;박수진
    • 한국복합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합재료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04-107
    • /
    • 2004
  • In this work, the blend of diglycidylether of bisphenol A (DGEBA) and modified polyurethane (PU) was prepared and characterized in the cure behaviors and mechanical interfacial properties. The N-benzylpyrazinium hexafluoroantimonate was used as a cationic initiator for cure, and the content of PU was varied within 0-20 phr. The cure behaviors and mechanical interfacial properties were studied by DSC, near­IR, and the critical stress intensity actor $(K_{IC})$ measurements. Also thermal stabilities were carried out by TMA and TGA analyses. As a result, the cure activation energy $(E_a)$ and the conversion $(\alpha)$ were sligh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PU content, and a maximum value was found at 10 phr PU. The mechanical interfacial properties measured from $K_{IC}$ showed a similar behaviors with the results of conversion. These results were probably due to the increase of the hydrogen bonding between the hydroxyl groups of DGEBA and isocyanate groups in PU.

  • PDF

전기화학적 산화처리가 탄소섬유/극성화된 폴리프로필렌 복합재의 기계적 계면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ectrochemical Oxidation of Carbon Fibers on Mechanical Interfacial Properties of Carbon Fibers-reinforced Polarized-Polypropylene Matrix Composites)

  • 김현일;최웅기;오상엽;안계혁;김병주
    • 공업화학
    • /
    • 제24권5호
    • /
    • pp.476-48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탄소섬유 표면에 가해진 전기화학적 산화처리가 탄소섬유강화 극성화된 폴리프로필렌 기지 복합재료의 기계적 계면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전류밀도 변수에 따른 섬유표면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표면처리 전후의 탄소섬유 표면특성은 주사전자현미경과 원자현미경, 적외선분광법, X선광전자분광법과 접촉각으로 분석하였다. 탄소섬유강화복합재의 기계적 계면특성은 임계응력세기인자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전기화학적 산화처리 후 섬유 표면의 $O_{1s}$ 피크의 증가를 관찰할 수 있었고, 이는 섬유의 표면자유에너지의 증가를 유도하며, 탄소섬유와 폴리프로필렌의 계면 결합력이 증가된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탄소섬유강화복합재료의 기계적 물성은 탄소섬유와 극성 폴리프로필렌 기지와의 계면 강도조절을 통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현무암섬유 섬유 배향에 따른 현무암섬유 강화 복합재료의 기계적 계면특성 영향 (Influence of Fiber Array Direction on Mechanical Interfacial Properties of Basalt Fiber-reinforced Composites)

  • 김명석;박수진
    • 폴리머
    • /
    • 제39권2호
    • /
    • pp.219-22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현무암섬유의 계면을 황산과 과산화수소로 처리하고 섬유 배향각을 $0^{\circ}$, $0^{\circ}/90^{\circ}$, $0^{\circ}/45^{\circ}/-45^{\circ}$로 달리하여 현무암섬유 에폭시 강화 복합재료의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기계적 특성은 층간 전단강도(ILSS)와 파괴인성 요소 중 임계응력세기인자($K_{IC}$) 측정을 통하여 고찰하였으며, 섬유의 표면미세구조 변화와 복합재료의 파단면은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하였다. 또한 섬유표면에 계면처리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적외선 분광법(FTIR)과 X-선 광전자 분광법(XPS)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계면처리한 섬유 표면의 -OH 기(hydroxyl)가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계면처리한 후의 기계적 특성이 계면처리 전의 기계적 특성보다 약 ~100%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표면처리에 의해 섬유와 에폭시 수지 매트릭스 사이의 계면결합력을 증가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Sn-Bi-Ag계 땜납과 Cu기판과의 젖음성, 계면 반응 및 기계적 성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etting, Interfacial Reac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between Sn-Bi-Ag System Solders and Cu Substrate)

  • 서윤종;이경구;이도재
    • 한국주조공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45-251
    • /
    • 1997
  • Solderability, interfacial reac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joint between Sn-Bi-Ag base solder and Cu-substrate were studied. Solders were subjected to aging treatments to see the change of mechanical properties for up to 30 days at $100^{\circ}C$, and then also examined the changes of microstructure and morphology of interfacial compound. Sn-Bi-Ag base solder showed about double tensile strength comparing to Pb-Sn eutectic solder. Addition of 0.7wt%Al in the Sn-Bi-Ag alloy increase spread area on Cu substrate under R-flux and helps to reduce the growth of intermetallic compound during heat-treatment. According to the aging experiments of Cu/solder joint, interfacial intermetallic compound layer was exhibited a parabolic growth to aging time. The result of EDS, it is supposed that the soldered interfacial zone was composed of $Cu_6Sn_5$.

  • PDF

계면중합법을 이용한 폴리아마이드 610/탄소섬유/탄소나노튜브 복합재 제조 및 물성 평가 (Processing and Characterization of Polyamide 610/Carbon Fiber/Carbon Nanotube Composites through In-Situ Interfacial Polymerization)

  • 조범곤;황상하;박영빈
    • Composites Research
    • /
    • 제33권6호
    • /
    • pp.415-420
    • /
    • 2020
  • 탄소섬유강화 플라스틱(CFRP)의 계면 특성은 복합재료의 전체적인 기계적 특성을 제어하므로 매우 중요하다. 이에 따라, 탄소나노튜브(CNT)로 탄소섬유(CF) 표면을 개질하는 것이 계면을 강화하기 위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표면 개질 방법은 자체적으로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CVD 성장에서 탄소섬유의 CNT를 성장시키기 위해 600~1000℃ 범위의 고온을 적용해야 하며, 이는 탄소섬유 자체에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폴리아마이드(PA) 610/CF/CNT 복합재가 PA610의 계면중합을 통해 제조되었으며, 유기계와 수계 사이의 계면에서 PA610/CNT 중합이 일어난다. 탄소섬유는 CNT가 균일하게 분산된 PA610으로 코팅되었다. 복합재 내에서의 CNT 분산상태는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되었으며, 열중량 분석을 통해 복합재의 열안정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섬유 뽑힘 시험을 통해 섬유와 기지 간의 계면 결합력을 측정하였다.

Effects of electrochemical oxidation of carbon fibers on interfacial shear strength using a micro-bond method

  • Kim, Dong-Kyu;An, Kay-Hyeok;Bang, Yun Hyuk;Kwac, Lee-Ku;Oh, Sang-Yub;Kim, Byung-Joo
    • Carbon letters
    • /
    • 제19권
    • /
    • pp.32-39
    • /
    • 2016
  • In this work, we studied the effects of electrochemical oxidation treatments of carbon fibers (CFs) on interfacial adhesion between CF and epoxy resin with various current densities. The surface morphologies and properties of the CFs before and after electrochemical-oxidation-treatment were characterized using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tomic force microscopy,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and single-fiber contact angle. The mechanical interfacial shear strength of the CFs/epoxy matrix composites was investigated by using a micro-bond method. From the results, electrochemical oxidation treatment introduced oxygen functional groups and increased roughness on the fiber surface. The mechanical interfacial adhesion strength also showed higher values than that of an untreated CF-reinforced composite.

구리도금된 탄소섬유/에폭시 수지 복합재료의 기계적 계면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chanical Interfacial Properties of Copper-plated Carbon Fibers/Epoxy Resin Composites)

  • 홍명선;배경민;최웅기;이해성;박수진;안계혁;김병주
    • 공업화학
    • /
    • 제23권3호
    • /
    • pp.313-31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Polyacrylonitrile (PAN)계 탄소섬유 표면에 구리도금 표면처리가 탄소섬유 강화 복합재료의 기계적 계면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관찰하였다. 탄소섬유 표면특성은 주사전자현미경, X-선 광전자 분광법, X-선 회절분석기, 접촉각 측정기로 측정하였고, 탄소섬유 강화 복합재료의 기계적 계면 물성은 층간전단강도(interlaminar shear strength, ILSS)와 파괴인성(critical stress intensity factor, $K_{IC}$)측정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실험결과로부터, 기계적 계면물성은 탄소섬유 표면에 COOH group과 도금된 구리함량이 증가됨에 따라 순차적으로 증가되는 것이 확인되었으나, 도금시간을 길게 하여 과량의 구리가 도입되었을 경우 기계적 계면 물성을 도리어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구리함량이 탄소섬유 복합재료의 기계적 계면물성을 결정하는 중요 요소라 판단되나, 최적의 함량이상에서는 계면분리에 의한 물성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전기방사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나노섬유/에폭시 복합재료의 기계적 계면특성 (Mechanical Interfacial Properties of Electrospun-based Poly(ethyleneoxide) Nanofibers/Epoxy Composites)

  • 정효진;이재락;박수진
    • Composites Research
    • /
    • 제18권3호
    • /
    • pp.31-37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나노섬유로 강인화된 복합재료를 만들기 위해 전기방사방법을 이용해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EO) 나노섬유를 제조하였고, 제조된 복합재료와의 기계적 계면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PEO 입자로 강인화된 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 PEO 나노섬유의 파이버 직경과 모폴로지는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였고, 복합재료의 기계적 계면특성은 파괴인성 $(K_{IC})$과 층간 전단 강도실험 (ILSS)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실험결과, 인가전압이 증가될수록 파이버의 직경은 감소하였고. 고전압에서 제트 불안정성의 증가로 인해서 최적의 섬유구조는 15 kV에서 얻을 수 있었다. PEO 나노섬유로 강인화된 에폭시 복합재료는 파괴인성인자 값인 $K_{IC}$와 ILSS가 PEO 입자로 강인화된 복합재료보다 향상된 값을 나타내었다. 이는 나노섬유가 입자에 비해 높은 비표면적과 aspect ratio를 가짐에 따라 복합재료의 기계적 계면특성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