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aning

검색결과 10,025건 처리시간 0.032초

인공지능과 언어의 의미 - 비트겐슈타인의 '언어의 의미'를 중심으로 -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meaning of language - focusing on the meaning of language in Wittgenstein's philosophy -)

  • 박정식;정창록
    • 철학연구
    • /
    • 제143권
    • /
    • pp.141-164
    • /
    • 2017
  • 현대 인공지능은 인간의 자연언어를 인식하고 사용하기도 한다. 우리는 과연 인공지능의 언어사용을 인간의 것과 같다고 할 수 있을 것인가? 어떤 점에서 차이가 나는 것일까? 그리고 우리는 인공지능의 언어사용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 것인가?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비트겐슈타인 철학에 있어 언어의 의미에 비추어 인공지능이 갖는 언어와 의미개념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있다. 필자들은 본 논문에서 비트겐슈타인 철학을 전기와 후기로 나누어 각 분기 별로 그가 어떻게 자신의 철학에서 언어의 의미를 정립해 나갔는지를 살펴본 후, 인공지능이 발화하는 언어와 그 의미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지를 다루고 있다.

개인, 가족, 조직 관련 요인이 일-삶 균형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 : 맞벌이 부부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Work-Life Balance and Well-Being on the Individual, Family, and Organization: A Study Focused on Working Couples with a Double Income)

  • 최환규;김성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2권4호
    • /
    • pp.33-60
    • /
    • 2018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work-life balance and happiness among married working couples with a double income. To this end,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260 married working couples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The analysis of the survey responses using the SPSS (Ver. 21) program yielded several important results. First, the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affected work-family balance included the number of family dinners eaten together, meaning of life, efforts to strike a work-life balance, and the availability of social institutions and policies that promote work-life balance.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affected work-leisure balance included meaning of life, number of family dinners eaten together, gender, and the availability of social institutions and policies that promote work-leisure balance. As for work-growth balance, significant variables included meaning of life, communication with colleagues, income, and meaning of work. Finally,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affected happiness included meaning of life, income, communication with colleagues, and work-growth balance. Based on these results, follow-up 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on various groups to help determine the factors that will ensure their work-life balance and happiness.

병원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삶의 의미 관계에 미치는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ospital Nurses' Perception of Death and the Meaning of Life)

  • 박선희;이가언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68-78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the perception of death and the meaning of life among hospital nurs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67 nurses working in two tertiary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city B.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8 to 21, 2022. SPSS/WIN 29.0 was used for analysis along with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study showed that the meaning of lif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perception of death (r=.34, p<.001) and self-esteem (r=.31, p<.001). Self-esteem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death and the meaning of life (F=16.00, p<.001). Conclusion: Self-esteem may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factors. This means that nurses with higher self-esteem have a greater tendency for their perception of death to positively impact their meaning of life. Therefore, for hospital nurses to discover the meaning of lif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a self-esteem enhancement program specialized for each clinical career.

소비 중심 사회에서 의미 추구 소비는 가능한가? : 여성 소비자의 화장품 소비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Is meaning-oriented consumption possible in the consumer society? : The case study of women's narratives on their cosmetic experiences)

  • 김봉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1039-1048
    • /
    • 2023
  • 본 연구는 화장 경험에 관한 여성 소비자의 내러티브 사례를 토대로 소비 중심 사회에서 개인에게 '의미 추구 소비'가 가능한지, 가능하다면 개개인은 이를 어떻게 지각하고 획득하는지 심층적으로 밝혀보고자 하였다. 내러티브 사례분석 결과, 여성들은 기본적으로 화장품의 기능적 소비 및 쾌락적 소비과정을 통해 신체적 외모 관리 및 사회적 변모를 달성할 목적으로 화장을 전략적으로 활용하고 있었지만, 여성에게 화장이 일상의 의례적 소비의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실천 행위가 되면서 자기 삶의 과정에서 나름의 주관적 우선순위에 따라 사회 세계와 생활세계에서의 다양한 이슈와 변화를 이해하고 자기의 존재론적 가치를 확신하기 위해 독특한 방식으로 의미 추구 소비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양교사 직무의미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연구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Job Meaning Scale for Nutrition Teachers)

  • 장선정;임영진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30권1호
    • /
    • pp.1-10
    • /
    • 202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Job Meaning Scale for Nutrition Teachers (JMS-NT). The JMS-NT, the Nutrition Teacher Job Satisfaction Scale (NTJSS), and the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MLQ) were administered to 180 nutrition teachers (female: 180, male: 0). The results showed that the JMS-NT had a three-factor structure i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 addition, the test-retest reliability for all three factors of the JMS-NT was in the range of 0.69 to 0.85, and the internal consistency was in the range of 0.92 to 0.94, showing that they met the standards. The results of conducting Pearson correlation analyses between the JMS-NT and validity indicators such as the NTJSS and the MLQ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firming the criterion validity of the scale. The above results show that the JMS-NT is a reliable and valid tool to measure the three factors of the job meaning of the nutrition teachers. Finall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task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중년여성의 우울 구조모형 (A Structural Model for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 박금자;이경혜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69-84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e and test the structural model for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A hypothetical model was constructed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and a review of literatures. The conceptual framework was built around eight constructs. Exogenous variables included in this model were volunteer activity, health status & economic status. Endogenous variables were meaning of life, self-esteem, perceived life stress & depression. Empirical data for testing the hypothetical model was collected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from 216 middle-aged women in Pusan Cit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May to June, 1999. Reliability of the seven instruments tested with Cronbach's alpha was ranged from .86-.94. For the data analysis, SPSS 7.5 WIN Program and LISREL 8.12 WIN Program were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variance structural analysis. The results of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ere as follows: 1. The hypothetical model showed a good fit with the empirical data. [$x^2$/df=2.87(p=.72), GFI=1.00, AGFI=.98, RMSR=.025, NFI=.99, standardized residuals ($-1.44{\sim}1.44$)]. 2. To heighten for the parsimony and fitness of the model, a modified model was constructed by deleting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meaning. 3. The modified model also showed a good fit with the data. [$x^2$=5.26(01=7,p=.63), GFI=.99, AGFl=.97, RMSR=.025, NFI=.99, standardized reslduals ($-1.50{\sim}1.45$)] Results of the testing of the hypothesis were as follows : 1. Self-esteem(${\beta}_{42}$=-.48, t=-5.64) had a negative and perceived life stress(${\beta}_{43}$=.20, t=3.21)had a positive direct effect on depression. Meaning of life had a negative direct(${\beta}_{41}$=-.17, t=-2.19) and a negative indirect effect through self-esteem on depression. Volunteer activity had a negative indirect effect through meaning of life, meaning of life and self-esteem on depression. Health status had a negative direct and a negative indirect effect through meaning of life, meaning of life and self-esteem on depression. Economic status had a negative indirect effect through perceived life stress on depression. Self-esteem wa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2. Volunteer activity(${\gamma}_{11}$=.43, t=6.78) and health status(${\gamma}_{12}$=.35, t=4.88) had positive direct effect on meaning of life. 3. Meaning of life(${\beta}_{21}$=.50, t=6.53)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on self-esteem. Volunteer activity had a positive indirect effect through meaning of life on self-esteem. Health status had a positive direct(${\gamma}_{22}$=.18, t=2.23) and a indirect effect through meaning of life on self-esteem. Meaning of life wa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4. Economic status (${\gamma}_{33}$=-.44, t값=-6.01)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on perceived life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elf-esteem had the most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depression. Meaning of life and health status had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is self-esteem. Volunteer activity and health status had direct effect on meaning of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e intervention to promote degree of self-esteem and alleviate degree of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 PDF

대학생의 생의 의미와 행복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Meaning in Life and Happiness among University Students.)

  • 이옥숙;장선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113-122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생의 의미와 행복 정도를 확인하고 이들 변수간의 관계를 파악하며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경상남도에 소재하는 일개 대학의 재학생 20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10월 10일부터 10월 30일까지였고,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acute{e}}$ test, Cronbach's alpha 계수,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및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행복 점수는 6점 만점에 평균 4.18점, 생의 의미는 5점 만점에 평균 3.73점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행복 수준은 성별(p=.045), 학년(p=.038), 전공만족도(p<.001), 건강상태(p<.001)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행복은 하위요인인 자신감(p<.001), 자기통제(p<.001), 긍정적 정서(p<.001)와 생의 의미(p<.001), 생의 의미발견(p<.001), 생의 의미추구(p<.001)와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상자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생의 의미발견, 건강상태, 전공만족도가 유의하였고, 전체 설명력은 41%였다. 따라서 생의 의미는 행복에 밀접한 관련성이 있으며,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기에 대학생의 행복강화를 위한 전략 개발에 생의 의미를 높이는 전략이 고려될 것으로 사료된다.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일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bjective Social Status on Meaning of Work)

  • 박지영;손영우
    • 감성과학
    • /
    • 제21권2호
    • /
    • pp.43-6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일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주관적 사회적 지위를 한 개인이나 조직이 갖는 존경과 영향력으로 정의하고, 조직 내 개인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높을수록 일의 의미를 높게 지각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또, 조직 내 개인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는 개인이 속한 직종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보다 일의 의미 향상에 더 큰 영향을 줄 것이라고 예측하였고 두 개의 실험을 통해서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험 1에서 미국 직장인을 대상으로 조직 내 개인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와 직종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일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실험 2에서는 한국 직장인을 대상으로 해당 가설을 반복 검증하고, 조직 내 객관적 사회적 지위인 계급에 따라 조직 내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일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것이라는 가설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과 미국 직장인 모두 조직 내 개인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높을수록 일의 의미를 높게 인식했다. 또, 조직 내 개인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는 직종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보다 일의 의미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실험 1). 실험 2에서 객관적 사회적 지위인 계급에 따라 조직 내 개인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일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는데, 객관적 사회적 지위가 낮은 경우에는 개인이 조직 내에서 존경을 받고 영향력이 있다고 생각할수록 일의 의미가 향상되었지만, 객관적 사회적 지위가 높은 경우에는 조직 내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일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 한계와 미래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삶의 의미 추구와 학업만족의 관계: 희망의 매개효과 및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Search for meaning in life and academic satisfaction: A mediating role of hope and a moderating role of social support)

  • 박지영;정예슬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6권2호
    • /
    • pp.159-187
    • /
    • 2019
  • 본 연구는 한국 고등학생 및 대학생을 대상으로 삶의 의미추구와 학업만족의 관계에서 희망의 역할을 파악하고 희망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삶의 의미추구와 학업만족의 관계를 희망이 매개할 것이라고 가정하였고, 삶의 의미추구와 희망의 관계에서 가족 및 친구지원의 조절효과를 예상하였다. 연구 1에서 대학생 19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한 결과, 희망이 삶의 의미추구와 학업만족의 관계를 완전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연구 2에서는 희망을 내적 희망과 가족, 친구, 초월적 존재에 기반 한 외적 희망으로 구분하여 삶의 의미추구와 학업만족의 관계에서 희망의 역할을 세부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고등학생 31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한 결과(연구 2), 고등학생의 삶의 의미추구와 학업만족의 관계가 내적 희망과 친구에게 기반 한 외적 희망에 의해 완전매개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 및 초월적 존재에 기반 한 외적 희망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와 관련하여, 삶의 의미추구와 희망의 관계에서 가족 지지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즉, 가족으로부터 지지를 받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삶의 의미추구와 희망의 정적 관계(연구 1) 및 삶의 의미추구와 내적 희망의 정적관계(연구 2)가 강하게 나타났다. 삶의 의미추구와 희망의 관계에서 친구지원의 조절효과는 연구 1과 연구 2에서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한계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중년여성의 긍정적 사고, 지각된 건강상태와 노화불안이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Predictive Factors of Positive Thinking, Perceived Health Status and Aging Anxiety on the Meaning of Life in Middle-aged Women)

  • 김자숙;김수현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8호
    • /
    • pp.51-61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여성의 긍정적 사고, 지각된 건강상태, 노화불안과 삶의 의미 정도를 파악하고 변수 간의 관계를 규명하며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예측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22년 9월 10일부터 2023년 2월 28일까지 이루어졌으며 J도와 G광역시 중년여성 1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6.0 version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Person's correlation, 단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긍정적 사고와 지각된 건강상태(r=.43, p<.001), 긍정적 사고와 삶의 의미(r=.54, p<.001), 지각된 상태와 삶의 의미(r=.31, p<.001)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긍정적 사고와 노화불안(r=-.20, p=.021), 지각된 상태와 노화불안(r=-.46,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노화불안과 삶의 의미(r=-.10, p=.281)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중년여성의 긍정적 사고(𝛽=.52, p<.001)와 월경상태(𝛽=-.22, p=.003)는 삶의 의미(F=32.49, p<.001)를 32.8% 설명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년여성의 삶의 의미를 높이기 위해 중년여성의 긍정적 사고를 고취하기 위한 다양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