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ximum bite force

Search Result 48,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측두하악장애 환자의 치료 전후 교합력 비교 (Comparison of Bite Forces between Pre- and Post-Treatment i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 이상일;김기석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2권2호
    • /
    • pp.211-218
    • /
    • 2007
  • 본 연구는 측두하악장애가 관절과 근육 등 다양한 구조물에 이환되는 복합적인 질환을 통칭하는 용어인 점을 고려하여 이환 구조물에 따라 세부 진단군으로 분류하여 최대교합력을 조사함으로써 진단에 따른 교합력의 차이 및 치료 전후의 교합력 변화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부속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한 측두하악장애 환자 중 교합이 비교적 정상이고 치아상실이나 치주질환이 심하지 않은 편측성 증상과 징후를 환자 중에서 치료가 종결된 환자 36명 (남:여=7:29, 평균연령 $28.1{\pm}13.7$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첫 내원시에 교합력측정기를 이용하여 이환측 및 비이환측의 견치와 제1대구치에서 최대교합력을 측정하여 비교한 다음, 치료가 종결된 상태에서 다시 한번 최대교합력을 측정, 비교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해 paired t-test, ANOVA, multiple comparison t-tests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견치에서는 증상측과 비증상측 모두 치료 전에 비해 치료 후 최대교합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증가했으며,(p=0.001, p=0.000) 제1대구치에서는 증상측에서만 다소 증가된 경향을 보여주었다.(p=0.081) 치료전후의 최대교합력의 변화는 견치에서 뚜렷하게 나타났으나 측두하악장애를 이환 조직에 따라 저작근장애군, 관절내장증군, 관절염증군 및 골관절염군으로 나누어 비교했을 때 증상측 구치부에서 각 진단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고,(p=0.023) 견치에서는 일부 군에서만 차이가 관찰되었다. 견치와 제1대구치 모두에서 골관절염군의 최대 교합력이 다른 군과 비교하여 가장 낮았는데, 이는 통증과 정형적 불안정이 교합력의 감소를 유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치료전후의 차이는 저작근장애군과 관절내장증군에서는 증상측에서 유의하게 관찰된 반면, 골관절염군에서는 비증상측에서 유의하게 관찰되었다(p<0.05). 즉, 본 연구는 근육 또는 관절 기원의 통증, 기능이상, 정형적 불안정은 최대교합력의 감소를 야기하며 이는 보존적인 치료 후에 회복됨을 보여주는데, 치료 전후의 변화는 제1대구치보다 견치에서 뚜렷하게 나타났음을 시사한다.

유리단 국소의치의 지대치 운동에 관한 생체학적 연구 (IN VIVO STUDY ON ABUTMENT TOOTH MOVEMENT FOR DISTAL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S)

  • 이종엽;김광남;장익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43-61
    • /
    • 1990
  • The laser reflexion method is a new technique which permits precise contactless measurement and observation of tooth mobility as well as tooth movemen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larify the reliability of the laser reflexion method in clinical application and to measure the abutment tooth movement according to clasp design.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1) How much a bending movement of the impression plate stand affects the position of the reflexion pattern and how precise the patient bites into plate 2) Which clasp design causes greater movement of the abutment tooth. Under medium and maximum bite forces, tests were performed on central loading position which was 13mm distal to terminal abutment tooth of distal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 The movement in the mesiodistal and buccolingual directions was measured. The Duncan's New Multiple-Range test was used to compare the means for the four castings under each direction-load combination; and the paired sample t-test was for medium and maximum bite forces. From this experimen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Roach clasp, the combination clasp, the RPI clasp, and the Akers clasp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in their effects on buccolingual movement of the abutment tooth. 2. The direction of abutment tooth movement was not significantly altered by clasp design and all abutment tooth movements were oriented distobuccally. 3. Under medium bite force, the Akers clasp caused greater distal movement of the abutment tooth than did the combination clasp and the RPI clasp. Under maximum bite force, the Akers clasp caused greater distal movement of the abutment tooth than did the RPI clasp. 4. The testing apparatus and procedures used in this study(laser reflexion method) proved to be reliable in clinical application.

  • PDF

${\beta}$-TCP를 이용한 상악동 점막거상술 (SINUS AUGMENTATION WITH ${\beta}$-TCP)

  • 황경균;송승일;김상우;이성훈;김영면;심광섭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0권5호
    • /
    • pp.428-433
    • /
    • 2004
  • Sinus floor augmentation has been proven an effective treatment procedure to increase bone volume in the posterior edentulous maxilla. Autogenous bone considered to be the best material for reconstructive bone surgery and has been successfully used as a graft material to augment posterior maxilla. However, the collection of autogenous bone required extra risks for morbidity and complaints. So, various bone graft materials included ${\beta}$-tricalcium phosphate(${\beta}$-TCP) has been introduced for replacing the autogenous bone. The objective of this clinical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edictability of endosseous implant placed in a maxillary sinus with ${\beta}$-TCP grafting. We performed sinus elevation with ${\beta}$-TCP to install the implant in the 10 maxillary cases. The prosthetic procedure was performed 6-9 months after. The implant-prosthetics was checked about 1 year. We checked the implant and measured the maximum bite force to evaluate the function of the implant. There was not observed the specific problem and complication in dental implant and maxillary sinus in the grafted materials. The maximum bite force was 558N in case of natural tooth, 365N in implant without grafting, 318N in implant with ${\beta}$-TCP graft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with and without sinus grafting on maximum bite force(p>0.05). As though the long term check-up is needed, the grafting of ${\beta}$-TCP as a osteoconductive materials can expand the volume and induce dense new bone formation in maxillary sinus. So, this short-term results support that ${\beta}$-TCP can be a suitable material for sinus augmentation.

야간 이갈이와 교근비대 환자의 보툴리눔 독소 주사 효과 (Nocturnal Bruxism and Botulinum Toxin Effect on the Subjects with Masseteric Hypertrophy)

  • 손승만;정기정;김미은;김기석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2권3호
    • /
    • pp.337-346
    • /
    • 2007
  • 본 연구는 교근비대의 중요한 기여요인으로 간주되는 이갈이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이갈이 습관의 유무에 따른 BTX-A 주사후의 임상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실험을 위해 양측성 교근비대를 가진 지원자 중, 야간 이갈이 습관을 가지고 있는 지원자 5명과 이갈이 습관이 없는 지원자 5명을 선택하여 BTX-A(Allergen Inc., $Botox^{(R)}$)를 25 unit씩을 양측 교근에 각각 주사하였다. BTX-A의 교근주사 후에 나타나는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주사 전과 주사 후 2주, 4주, 8주, 3개월, 6개월 9개월에 각각 검사를 시행하여 초음파를 이용한 전측두근과 교근의 두께 측정, 전치부와 구치부의 최대교합력 측정, 교합력의 변화에 대한 주관적 평가를 비교하였다. 교근에 BTX-A를 주사한 후에 이갈이군과 비이갈이군 모두 초음파검사에서 교근의 두께가 감소되어 3개월 정도에 가장 현저한 위축 소견을 보였으며 이후 점차 회복되어가는 양상을 보였다(p<0.001). 비이갈이군과 비교하였을 때 이갈이군에서 교근두께의 회복이 더 현저하였으나, 주사 후 9개월에도 치료전과 비교했을 때는 여전히 근위축이 관찰되었다. 구치부 최대교합력도 교근두께 변화와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전측두근과 전치부 최대 교합력은 주사 후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를 보여 주지 않았다(p>0.05). 피검자가 스스로 느끼는 교합력은 주사 2주 후에 가장 저하되었다가 점차 빠르게 회복되어 6개월에서 9개월 사이 이전의 상태로 회복한 반면 교합력측 정기로 측정한 구치부 최대교합력의 상대적 변화는 최대교합력이 원래의 상태로 회복되지 못했음을 보여주었다. BTX-A 주사로 인한 상대적인 구치부 최대교합력의 저하는 비이갈이군에서 더욱 현저하게 관찰되었다. 이 실험의 결과는 이갈이는 BTX-A 주사 후에 발생한 교근 위축과 교합력 감소가 원상태로 회복되는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이갈이 등의 이상기능 습관을 가진 교근비대 환자의 BTX-A 주사효과를 보다 오래 유지하기 위해서 주사와 함께 습관조절을 위한 교합장치의 사용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교근비대증이 있는 사람의 이갈이 여부에 따라 보툴리눔 독소 A의 치료 과정에서 심리 변화의 차이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Changes after Botulinum Toxin A Administration for Bruxism with Masseter Hypertrophy)

  • 김영임;이경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458-463
    • /
    • 2016
  • 본 연구는 교근비대증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보툴리눔 독소 치료 과정에 이갈이 여부에 따른 최대 교합력 변화 차이와 심리 변화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교근비대증을 주소로 내원한 20세 이상의 여성을 대상으로 이갈이가 있는 이갈이군 10명과 이갈이가 없는 비이갈이군 10명으로 구성하였으며 대상자들에게는 보툴리눔 독소 A를 주입하였다. 주입하기 전, 주입 후 2주, 4주, 8주, 12주 동안 최대 교합력을 측정하고 심리요인 변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SCL-90-R을 이용하여 우울과 불안의 변화를 파악하였다. 이갈이군과 비이갈이군은 보툴리눔 독소 A의 치료에 있어 좌, 우 각각 4주째 교합력의 최대 감소 효과가 있었고 8주째부터는 원래의 교합력을 회복하는 변화를 보였다. 이갈이군은 우울과 불안에서 기간의 변화에 따른 통계적 차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우울과 불안이 가장 악화되는 8주째에 교합력도 원래의 상태로 회복하는 변화를 보여 우울과 불안으로 인한 근수축이 이악물기를 유발하여 보툴리눔 독소 A의 치료 기간을 단축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비해 비이갈이군에서 우울은 기간에 따른 변화는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며 최대 교합력의 변화도 8주째부터 회복은 하였으나 그 변화의 크기가 이갈이 집단과 달리 긴 시간을 가지고 변화하였다. 우울과 불안은 이갈이에 대한 보툴리눔 독소 A의 치료 과정에 심리 요인의 변화로 인하여 약물 치료 기간을 단축시키는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며 치료에는 기능적 요소들과 함께 다면적인 심리 요인도 함께 반영하여 치료계획을 세운다면 약물에만 의존하여 무분별하게 남용되는 약물을 최소화하고 정신건강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influence of various core designs on stress distribution in the veneered zirconia crown: a finite element analysis study

  • Ha, Seung-Ryong;Kim, Sung-Hun;Han, Jung-Suk;Yoo, Seung-Hyun;Jeong, Se-Chul;Lee, Jai-Bong;Yeo, In-Sung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5권2호
    • /
    • pp.187-197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various core designs on stress distribution within zirconia crowns. MATERIALS AND METHODS.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s, representing mandibular molars, comprising a prepared tooth, cement layer, zirconia core, and veneer porcelain were designed by computer software. The shoulder (1 mm in width) variations in core were incremental increases of 1 mm, 2 mm and 3 mm in proximal and lingual height, and buccal height respectively. To simulate masticatory force, loads of 280 N were applied from three directions (vertical, at a $45^{\circ}$ angle, and horizontal). To simulate maximum bite force, a load of 700 N was applied vertically to the crowns. Maximum principal stress (MPS) was determined for each model, loading condition, and position. RESULTS. In the maximum bite force simulation test, the MPSs on all crowns observed around the shoulder region and loading points. The compressive stresses were located in the shoulder region of the veneer-zirconia interface and at the occlusal region. In the test simulating masticatory force, the MPS was concentrated around the loading points, and the compressive stresses were located at the 3 mm height lingual shoulder region, when the load was applied horizontally. MPS increased in the shoulder region as the shoulder height increased.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reinforced shoulder play an essential role in the success of the zirconia restoration, and veneer fracture due to occlusal loading can be prevented by proper core design, such as shoulder.

Comparison of immediate complete denture, tooth and implant-supported overdenture on vertical dimension and muscle activity

  • Shah, Farhan Khalid;Gebreel, Ashraf;Elshokouki, Ali Hamed;Habib, Ahmed Ali;Porwal, Amit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4권2호
    • /
    • pp.61-71
    • /
    • 2012
  • PURPOSE. To compare the changes in the occlusal vertical dimension, activity of masseter muscles and biting force after insertion of immediate denture constructed with conventional, tooth-supported and Implant-supported immediate mandibular complete denture.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s were selected and treatment was carried out with all the three different concepts i.e, immediate denture constructed with conventional (Group A), tooth-supported (Group B) and Implant-supported (Group C) immediate mandibular complete dentures. Parameters of evaluation and comparison were occlusal vertical dimension measured by radiograph (at three different time intervals), Masseter muscle electromyographic (EMG) measurement by EMG analysis (at three different positions of jaws) and bite force measured by force transducer (at two different time intervals). The obtain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using ANOVA-F test at 5% level of significance. If the F test was significant, Least Significant Difference test was performed to test further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variables. RESULTS. Comparison between mean differences in occlusal vertical dimension for tested groups showed that it was only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1 year after immediate dentures insertion. Comparison between mean differences in wavelet packet coefficients of the electromyographic signals of masseter muscles for tested groups was not significant at rest position, but significant at initial contact position and maximum voluntary clench position. Comparison between mean differences in maximum biting force for tested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5% level of significance. CONCLUSION. Immediate complete overdentures whether tooth or implant supported prosthesis is recommended than totally mucosal supported prosthesis.

이악물기 시 발생되는 치아변형에 대한 구강보호장치의 역할 (Effect of Mouthguard on Tooth Distortion During Clenching)

  • 이윤;최대균;권긍록;이성복;노관태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6권4호
    • /
    • pp.405-417
    • /
    • 2010
  • 그 동안 많은 연구와 실험에서 운동 중 외상에 대한 마우스가드의 악골, 치아 및 구강조직의 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치아 및 구강조직의 장애는 강한 외상 외에도 힘이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이악물기와 같은 장애로도 발생한다. 이러한 장애는 주로 구치부의 병적인 교모, 치조골 흡수, 치아 상실 및 교합의 붕괴로 나타난다. 마우스가드의 장착이 이러한 장애를 예방하는데 유효한 것으로 생각되나 그 효과는 충분히 검토되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이악물기에 의해 치아에 발생되는 뒤틀림을 마우스가드가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 하였다. 7명의 건강한 성인의 치료경험이 없는 하악 제1대구치를 피검치로 선정하고 이축(bi-axial)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치아 협면에 접착 하였다. load cell에 의해 측정된 최대 교합력을 기준으로 최초 치아 접촉, 중간 강도의 교합력, 최대 강도의 교합력으로 이악물기 강도를 3단계로 구분 하였다. 마우스가드 장착 전 세 단계의 이악물기 강도에서 치아에 발생하는 스트레인을 측정하고, 마우스가드 장착 후에도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마우스가드 장착 전과 후 각각 세단계의 이악물기 단계 사이의 치아에 발생하는 스트레인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마우스가드 장착 전 후에 치아에 발생하는 스트레인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SPSS 13.0 프로그램을 이용 (Wilcoxon signed rank test) 95%의 유의수준에서 통계분석 하였다. 마우스가드 장착 전 치아에 발생하는 스트레인은 이악물기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 하였다. 마우스 장착 후에도 치아에 발생하는 스트레인은 이악물기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 하였다. 모든 피검자에서 이 악물기 강도에 상관없이 마우스가드 장착으로 스트레인이 감소하였다. 치아의 최초 접촉 시에만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으며 최대 이악물기 강도에서는 치아에 발생되는 스트레인이 50-90% 감소하였다. 마우스가드는 이 악물기에 의해 발생되는 치아의 뒤틀림을 감소시켰다. 그러므로 마우스가드는 운동 중에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발생되는 이 악물기에 의한 치아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A Reproducible and Reliable Method for Measuring Masseter Muscle Thickness in Maximal Bite Force Using Ultrasonography

  • Hyun-Jeong Park;Sun-Kyoung Yu;Yo-Seob Seo;Ji-Won Ryu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47권4호
    • /
    • pp.206-211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reproducible and reliable method for evaluating the masseter's functional state by measuring the masseter muscle with ultrasonography (US). Methods: Nineteen healthy adults (9 males, 10 females) we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During US scanning, the image was taken from the thickest part of the masseter muscle in the image. To evaluate changes in thickness during masseter function, US images were taken of the participant's masseter muscle at rest and during clenching. In this study, US scanning was conducted using two approaches to compare the difference in masseter muscle thickness determined when inducing maximum bite force (MBF). Results: All 19 subjects completed US scanning of the masseter muscle at rest and during clenching under the conventional method and the articulation paper method. There was no difference in masseter muscle thickness measured at rest. However, the thickness of the masseter muscles determined by the articulation paper during jaw clenching was greater than that measured by the conventional method. Conclusions: In conclusion, using the US for masseter muscle evaluation can offer objective and functional information on the masseter muscle. A standardized US scanning method needs to be developed to obtain reproducible and reliable information on the masseter muscle at rest and during clenching. In particular, generating MBF using an articulation paper can be a reproducible and reliable method of measuring the functional state of the masseter muscle.

소아청소년에서 제1대구치의 기성금속관 수복 후 교합 변화 (Changes of Occlusion following the Placement of Preformed Metal Crown to the Permanent First Molar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김지웅;이난영;지명관;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45-56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심한 우식 또는 저광화에 이환된 제1대구치에 기성금속관을 수복한 후 교합 변화에 대해 평가하는 것이다. 제1대구치가 교합 평면까지 도달하여 교합되는 환자 중 기준에 부합하는 2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하나의 제1대 구치에 기성금속관으로 수복치료를 진행하였다. 치료 전, 치료 직후, 4주 후, 8주 후 검진마다 T-Scan III을 사용하여 최대교두감합위에서 교합력 분포를 측정하였고 디지털 버니어 캘리퍼로 수직피개를 측정하였으며 정중선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8주 후 검진에서는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대부분 치료 전과 비교해서 치료 직후 악궁에서 수복한 쪽과 수복하지 않은 쪽 사이의 교합력 분포가 역전되었으며 수직피개는 감소했다. 하지만 4주 후에 좌, 우측 교합력이 평형을 이루었고 수복한 제1대구치와 수복하지 않은 제1대구치의 교합력 분포는 비슷한 값을 가졌다. 또한 변화한 수직피개, 정중선은 치료 전 상태로 회복되었고 치료 후 유의할만한 턱관절 및 저작 불편감은 없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기성금속관 수복 후 한 달 뒤에 자발적인 교합 평형이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