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검색결과 239건 처리시간 0.02초

도서지역 고등학생을 위한 흥미로운 수학지도 방안 (On the Attractive Teaching Methods of Mathematics for High School students in Island's region)

  • 박형빈;이헌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481-494
    • /
    • 2005
  • 본 연구는 대학에서 연구와 교육을 통하여 축적된 수학교육에 대한 노하우를 상대적으로 소외된 도서지역 고등학생들에게 제공함으로써 고급지식 및 이론의 확산에 힘쓰고자 한다. 연구는 삶의 지혜를 얻기 위한 수학, 실용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실용수학, 자신의 품격을 높이기 위한 교양 수학으로 나누어 진행하며 수학 공부를 해야 하는 이유, 수학문제 해결력을 증진시키는 방안, 수학 기기를 이용한 수학학습, 암호이론 및 게임이론 소개, GSP를 이용한 도형학습, 수학과 스포츠, 수학과 예술 등을 포함하여 교재를 개발하고 개발된 교재를 통하여 대학원생을 훈련하고 수업계획안에 따라 수업을 하게 하는 도서지역 고등학생을 위한 흥미롭고 효과적인 수학지도 방안을 연구한다.

  • PDF

초등수학영재학급에서 교수자의 지도 목표와 학습자의 학습 목표 인식 간극 분석 (Analysis on the Perception Discrepancy between Teacher's Teaching Goal and Students' Learning Goal in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lass for the Gifted)

  • 임성재;송상헌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6
    • /
    • 2015
  • 본 연구는 영재학급에서 수업 중 교사가 강조하는 지도 목표와 학생들이 인식하는 학습 목표 도달 정도의 차이를 분석해 봄으로써 영재학급에서의 학습 목표 제시 방식을 개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각 20명씩 총 40명) 학생들의 활동지를 양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각 학급 내 성취 수준이 상, 중, 하위권에서 각 1명씩을 대상으로 수업 중 연구자 참여 관찰과 수업 후 개별 면담을 통해 그들의 학습 목표 인식 사례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학습 목표는 내용면, 과정면, 태도면에서 각각의 하위 요소별로 교사가 사전에 기술해 놓은 것에 대해 교사 자신이 강조한 정도와 학생이 인식한 정도의 간극을 항목별로 차이를 수치화하여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영재학급 학생들은 내용면보다는 상대적으로 과정면에서 학습 목표에 대한 인식이 낮음을 알 수 있었는데, 전반적으로 연역적 사고, 유추적 사고, 발전적 사고에 있어서 교사의 강조 정도와 인식 정도의 차이를 보였고 특히 유추적 사고에서 학습 목표에 대한 그 인식 정도가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통해 얻게 된 몇 가지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중심사영과 투시도의 작도 학습에서 나타나는 중학교 수학영재들의 수학적 사고특성과 교사의 역할 (A Study of Mathematically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of Mathematical Thinking and the Teacher's Role in Teaching and Learning about the Central Projection and Perspective Drawing)

  • 류희찬;강경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4호
    • /
    • pp.921-940
    • /
    • 2013
  • 본 연구는 Cabri 3D와 GSP를 이용하여 중심사영에 대한 탐구학습에서 나타나는 중학교 수학영재들의 수학적 사고특성과 교사의 역할을 분석하여 수학영재를 위한 교수 학습 자료의 개발에 시사점을 주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중학교 수학영재들은 중심사영에 의한 도형의 변환을 탐구하고 이를 투시도의 작도를 통해 확인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수학적 사고특성을 보였고, 교사는 학생들의 탐구문제해결을 위한 사고의 촉진과 새로운 지식의 형성을 도우면서 수업설계자, 학습촉진자, 기술적 보조자, 상담자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페르마 점'을 활용한 중학교 수학 영재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 - learning materials for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by using Fermat Point -)

  • 윤준호;윤종국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0권3호
    • /
    • pp.335-35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페르마 점'을 활용하여 중학교 일선에서 영재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영재 담당 교사들을 위한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그 적용 사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먼저 영재 교수 학습 모형, 영재프로그램의 유형에 관한 문헌을 고찰한 후 교수 학습 자료의 소재 및 주제로 페르마 점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자료를 현장에 적용한 후 수업에 대한 피드백을 통해 자료를 수정 보완하였으며 이를 현장에 적용하였을 때 나타나는 학생들의 수학적 사고과정을 분석하였다.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 나타난 초임교사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 분석 (An Analysis of Novi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Elementary Mathematics Teaching)

  • 김유경;방정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27-51
    • /
    • 2012
  • 본 논문은 세 명의 초임교사들의 수학 수업에 나타난 교수학적 내용 지식을 수학내용지식, 학생이해지식, 교수법에 대한 지식이라는 측면에서 상세히 분석하였다. A교사는 부진아였던 학생 시절의 영향을 받아 구체물을 통한 개념 중심의 수업을 구현하고자 하였고, B교사는 수학자처럼 자신만의 사다리꼴의 넓이를 구해보는 탐구 중심의 수업을 구현하였으며, C교사는 실생활 중심 수업을 하였다. 세 명 교사들의 수학 수업에 나타난 교수학적 내용 지식은 구현하려고 하는 수업의 형태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본 논문은 세 교사의 수학 수업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통해 초임교사의 수학과 수업 전문성을 신장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PDF

수준별 교육과정의 적용에 따른 수학과 심화 보충 과정과 특별 보충 과정의 내용 선정 및 교수-학습 자료 구성 방향 - 중학교 1학년 1학기 수학과 내용을 중심으로 - (The Supplemental and Enriched Course, and Special Remedy Course for Differentiated Curriculum of Mathematics)

  • 박경미;임재훈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8권1호
    • /
    • pp.199-216
    • /
    • 1998
  • One of the main features of the 7th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s the implementation of a 'Differentiated Curriculum'. Differentiated Curriculum is often interpreted as meaning the same as 'tracking' or 'ability grouping' in western countries. In the 7th revised curriculum, mathematics is organized and implemented by 'Level-Based Differentiated Curriculum'. To develop mathematics textbooks and teaching-and-learning materials for Differentiated Curriculum, the ideas of 'Enriched and Supplemental Differentiated Curriculum'need to be applied, that is, to provide advanced contents for fast learners, and plain contents for slow learners. Level Based Differentiated Curriculum could be implemented by ability grouping either between classes or within classes. According to these two exemplary models, the implementation models for supplemental course and enriched course are determined. The contents for supplemental course are comprised of minimal essential elements selected from the standard course at a decreased level of complexity and abstraction. The contents of enriched courses are focused on various applications of mathematical knowledge in the real world. Special remedy course will be offered to extremely underachieved students, The principles of developing teaching-and-learning material for special remedy course were obtained from the histo-genetic principle, progressive mathematizing principle, and constructivism.

  • PDF

2001년도 국가수준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성취도 평가 연구 (The Study of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Elementary Mathematics in 2001)

  • 황혜정;한경혜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5권2호
    • /
    • pp.121-142
    • /
    • 2001
  • The goal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2001 was to affirm the accountability of school education, to scientifically manage and elevate the quality of education at the national level, and to articulate the final design of the NAEA. It was implemented on June 28th of the year 2001. The assessment frame for NAEA includes the achievement standards, the assessment standards, the instruction for the item development, and the grading policy for mathematics subject. Most of items are multiple-choice types, but the performance-based items should be at least thirty percent of the total items, also 30% in case of mathematics. Approximately 1% of students among entire population of the Grades 6 were randomly selected. Therefore, the finally sampled examines were 8023 at Grade 6.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NAEA revealed that Grade 6 students was labelled as ‘average’ level in general (Number and Operation: average, Geometric figures: average, Patterns and Functions: excellent, Measurements: average, Letters and Expressions: average, Probability and Statistics: average). The most characteristic finding was that except for Grade 6(its average is 69.92), most secondary students obtained low test scores and its average of each grade is below 50 out of 100. Especially, the scores on the performance-based items were by and large very low. This finding implies that Korean students are not familiar with the kind of test items which requires expression of ideas and feelings and they are rather familiar with the multiple-choice items. Another interesting finding was that the students in small towns and remote areas showed significantly low scores in all four skills compared with Seoul, metropolitan cities and medium and small cities. This may be attributed from the fact that the remote areas do not have equal learning environment with regard to social and cultural experience, supply of various teaching materials, extracurricular lessons which are directly related to teaching and learning. These findings may be utilized as a reliable resource fur improving curriculum and teaching and learning in Mathematics.

  • PDF

초등수학 예비교사들의 분수에 대한 표상의 분석 (An Analysis on the Elementary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Representation about Fraction)

  • 이대현;서관석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7권1호
    • /
    • pp.31-41
    • /
    • 2003
  • Representation has been main topic in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for a long time. Moreover, teachers' deficiency of representation about fraction results in teaching algorithms without conceptual understanding. So, this paper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d analysize the elementary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representation about fraction. 38 elementary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is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only model of a fraction that was familiar to the preservice teachers was the part of whole one. And research showed that, they solved the problems about fraction well using algorithms but seldom express the sentence which illustrates the meaning of the operation by a fraction. Specially, the division aspect of a fraction was not familiar nor readily accepted. It menas that preservice teachers are used to using algorithms without a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the operation by a fraction. This results give us some implications. Most of all, teaching programs i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education have to devise to form a network among the concepts in relation to fraction. And we must emphasize how to teach and what to teach i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education course. Finally, we have to invent the various materials which can be used to educate both preservice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If we want to improve the mathematical ability of students, we will concentrate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

  • PDF

창의성 신장을 위한 초등수학 과제의 유형 (Mathematical Task Types to Enhance Creativity)

  • 박만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4권2호
    • /
    • pp.117-134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수학과 교수학습에서 창의성 신장을 위하여 초등학교 교실에서 활용이 가능한 수학 과제의 유형을 분류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이 풍부한 과제의 제시를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를 신장시키는데 가장 중요한 부분의 하나로 보고 창의성 신장을 위한 과제의 특성과 이들을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이를 위해 그 동안 창의성과 관련하여 연구되어 온 논문과 자료들을 분석하기 위하여 미국 조지아대학의 GIL과 국내의 논문 탐색을 통하여 창의성 관련 자료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학 과제를 창의성의 요소인 독창성, 융통성, 유창성, 정교성, 민감성의 5가지의 속성을 포함하는 4가지 표현 방식에 16과제의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그리고 과제 유형과 함께 학생들의 창의성 신장을 효과적으로 돕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제안을 하였다.

대학 기초수학 교과목 수준별 학습지도 개선 방안 (Improvement strategies of teaching methods for university basic mathematics education courses by ability grouping)

  • 박준식;표용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7권1호
    • /
    • pp.19-37
    • /
    • 2013
  • P대학에서는 수학 기초학력 부진학생들의 문제해결력 향상과 학업성취도 고양을 위하여, 기초수학및연습 교과목을 개설하고 있다. 이 교과목은 미적분학의 선수과목으로 운영되며, 수준별 학급을 편성하여 다양한 학습 자료를 활용한 발표 중심의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공학인증 지원을 위해 기초수학및연습 교과목의 강의 포트폴리오를 제출한 30개 학급에서 수강한 1,106명의 취득 성적과 및 강의평가 결과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각 담당교수가 제출한 강의 포트폴리오의 강의개선 보고서를 기반으로 기초수학및연습 교과목의 수준별 학급 운영에 대한 유의점과 그 개선방안을 찾아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