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s culture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23초

2009 개정 초등 수학 6학년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의 STEAM 관련 교과 내용 분석 (An Analysis of 2009 Revised Elementary Mathematics 6th Grade Textbooks and Teacher's Manuals Based on STEAM-related Subject Contents)

  • 김해규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63-192
    • /
    • 2016
  • 2009 개정 초등 수학 6학년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를 대상으로 수학적 지식 외에 어떤 STEAM 관련 교과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지 단원별, 학기별, 수학내용 영역별로 분석하였는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원별, 수학내용 영역별 STEAM 관련 교과 내용의 개수는 전체적으로 스토리텔링 자료가 제일 많았고, 기술공학, 자연과학, 사회 교과 내용 순으로 많이 분석되었으나, 문화, 체육, 음악, 미술 관련 교과 내용은 매우 적었다. 둘째, 학기별 STEAM 관련 교과 내용의 개수는 수학 6-2 교과서가 수학 6-1 교과서보다 61개가 많았으며, 스토리텔링을 제외한 STEAM 관련 교과 내용의 개수는 수학 6-2 교과서에서는 107개, 수학 6-1 교과서에서는 39개로 수학 6-2 교과서에서의 개수가 수학 6-1 교과서에서 보다 약 2.7배 많았다. 셋째, 수학 6-1 교사용 지도서는 수학 6-1 교과서에서 STEAM 관련 교과 내용이 부족한 단원들을 잘 보완하지 못했으나, 수학 6-2 교사용 지도서에서는 수학 6-2교과서에서 부족한 단원들을 비교적 잘 보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수학 6-1, 6-2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에서 수학이외의 STEAM 관련 교과 내용의 개수가 단원별, 수학내용 영역별, 학기별로 차이가 심하므로 다양한 STEAM 자료의 개발이 요구된다.

초등학교 3~4학년군 수학 교사용 지도서의 교육적 특징 분석 (An analysis of the educative features of mathematics teacher guidebooks for grades 3 and 4)

  • 방정숙;오민영;박예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2권4호
    • /
    • pp.531-549
    • /
    • 2023
  • 수학 지도서는 교사 학습을 지원하는 중요한 자료임에도 불구하고 초등학교 수학 지도서가 교사 학습을 지원하는 양상을 탐색한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초등학교 3~4학년군 수학 지도서의 교육적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10종의 수학 지도서에 대해 수, 연산, 도형, 측정, 자료와 가능성, 규칙성 영역에 부합하는 6개 단원을 선정하여 '우리나라 수학 교육과정 자원의 교사 학습 기회(Teacher Learning Opportunities in Korean Mathematics Curriculum Materials)'의 7가지 차원별로 수학 지도서의 교육적 특징(educative features)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도서에는 교수를 위한 수학 내용 지식이 풍부히 제공되지만 학생의 오류나 오개념 정보는 충분하지 않았다. 매 차시 수업 담화의 전반적인 흐름과 요점을 제공했지만, 근거나 구체적인 전략은 부족했다. 수학 내용 측면의 과정중심평가방안, 보충 및 심화 활동이 다수 있었지만 맞춤형 수업에 대한 설명은 부족했다. 교구 및 공학 도구 활용에 관한 교사 지식은 특정 단원이나 내용에 대해서만 제시되었고, 수학 공동체에 관한 교사 지식은 수학 교과 역량, 수학 교실 문화, 동기 유발에 관한 것이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사 학습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도록 수학 지도서를 개선하는 것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탐구-중심 수학 수업에서 교사의 역할에 관한 사례연구: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Teacher's Role in Inquiry-Oriented Mathematics Instruction: Centered on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 김익표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177-199
    • /
    • 2008
  • Streefland(Elbers, 2003)는 네덜란드에서 11세에서 13세 사이의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탐구-집단(community of inquiry)의 구성과 활동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지식을 구성하는 과정에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교사가 도울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했다. Goos(2004)는 오스트레일리아의 고등학교 3학년 수학교실에서는 당연한 것으로 여겨진 탐구 문화를 고등학교 2학년 교실에서 교사가 어떻게 형성시키는지를 관찰과 인터뷰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한국에서는 대학입시 제도를 포함한 다양한 문제점들로 인하여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탐구-중심 수업에서 교사의 역할과 관련된 체계적인 연구는 거의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탐구-중심 수업의 활성화를 위한 교사의 역할에 대하여 논의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탐구-중심 수업 모델을 개발하고, 개발된 탐구-중심 수업 모델을 바탕으로 소집단별로 문제를 선정하고 해결하면서 학생 스스로 수학적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조력자로서의 교사의 역할에 관하여 탐색한다.

  • PDF

틀의 차이를 극복하기 - 수학교실에서의 논증분석 연구 - (Overcoming framing-difference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 an analysis of argumentation in mathematics classroom -)

  • 김동원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6권2호
    • /
    • pp.173-192
    • /
    • 2007
  • We define mathematical learning as a process of overcoming framing difference of teachers and students, two main subjects in a mathematics class. We have reached this definition to the effect that we can grasp a mathematical classroom per so and understand students' mathematical learning in the context. We could clearly understand the process in which the framing differences are overcome by analyzing mutual negotiation of informants in specific cultural models, both in its form as well as in its meaning. We review both of the direct and indirect forms of negotiation while keeping track of 'evolution of subject' in terms of content of negotiation. More specifically, we discuss direct negotiation briefly and review indirect negotiation from three distinct themes of (1) argument structure, (2) revoicing, and (3) development patterns and narrative structure of proof. In addition, we describe the content of negotiation under the title of 'Evolution of Subject.' We found that major modes of mutual negotiation are inter-reference and appropriation while the product of continued negotiation is inter-resemblance.

  • PDF

교사의 수학에 대한 신념이 수업 방법과 학생의 문제해결 수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eacher's Beliefs about Mathematics on the Method of Class and the Performance of Problem Solving)

  • 김시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3권1호
    • /
    • pp.79-88
    • /
    • 1999
  • This paper shows how the social tradition and belief of korea on education affects teachers and students and learning. 1 Interview with teacher. During surveying this teacher's class, we knowed that the teacher have accentuated algorism loaming and preparation fur external examination in math class. Teacher's beliefs about mathematics have a strong effect on the method of class and the performance of problem solving 2. Interview with students and short test. 1) Students usually had fine ability of calculation for number. But Many pupils didn't know the meaning of the operations. 2) The most of pupils are good at routine math problem solving but when the question whose the condition don't meet was given, they experienced difficulties.3.Korean sociocultural specialty on education: The korean place high emphasis on education and think of education as the means of success. This emphasis can be traced to the Confucian view. 1) tradition on examination culture. 2) the traditional convention of the learning method. Korean sociocultural specialty on education play role of strengthen role learning and algorism class. The important things to education reformation are getting a balance between practice and understanding. we should make changes not only in national dimension but also in math class.

  • PDF

학생들의 무한과 극한에 대한 구어적 담화와 수학적 담화: 미국학생과 한국학생의 비교 (Students' Colloquial and Mathematical Discourses on Infinity and Limit: A Comparison of U.S. and Korean Students)

  • 김동중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2권1호
    • /
    • pp.1-15
    • /
    • 2010
  • 포괄적인 연구를 위한 예비 조사로서 본 연구는 학생들이 무한 개념과 극한 개념을 어떻게 다루는지를 조사하였다. 수학은 담화의 하나라는 인식에 관한 상호 의사소통의 접근방식을 바탕으로 이 개념들에 관한 학생들의 담화의 특성들을 확인하려고 하였다. 4명의 미국학생과 4명의 한국학생을 무한과 극한에 대해서 영어로 면담하였고 학생들의 담화를 공통적인 특성들과 문화, 나이, 그리고 교육에 관련된 차이점들에 초점을 맞추어 자세히 조사하였다.

  • PDF

현행 중학교 수학 교과서와 MathThematics 교과서의 비교 분석 - 수학적 의사소통 측면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athThematics textbooks with Korean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 focused on mathematical communication -)

  • 한혜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9권4호
    • /
    • pp.523-540
    • /
    • 2010
  • The purpose of the study were to analyze MathThematics textbooks and Korean middle school mathematics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among the textbooks in the view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textbook developers made a variety of efforts to develope students' mathematical communication ability. Students were encouraged to communicate with others about their mathematical ideas or problem solving processes in words or writing by means of discussion, oral report, presentation, journal, etc. MathThematics textbooks provided student self-assessment opportunity to improve student performance in problem solving, reasoning, and communication. In communication assessment, students can assess their use of mathematical vocabulary, notation, and symbols, the use of graphs, tables, models, diagrams and equation to solve problem and their presentation skills. The assessment activities would make a positive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students' mathematical communication ability. MathThematics textbooks provided a variety of problem situation including history, science, sports, culture, art, and real world as a topic for communication, however, the researcher found that some of Korean textbooks depends heavily on mathematical problem situations.

초등 예비 수학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MTEBI 한글판 개발 (Development of the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Beliefs Instrument Korean Version for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 량도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2권3호
    • /
    • pp.363-377
    • /
    • 2013
  • 교수효능감은 교사가 교실에서 얼마나 효율적으로 가르칠 것인지를 예측하는 매우 강력한 구인이다. MTEBI는 초등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수학 교수 효능감을 재는 유효한 척도이다. 그러나 MTEBI는 미국에서 개발되어 다른 문화에서 바로 사용할 수는 없다. 본 연구는 MTEBI가 한국에서 유효한 지에 대한 실증적 조사이다. 먼저, 영문의 MTEBI를 국문으로 번역하고, 번역한 것을 다수의 수학교사 교육자가 철저하게 검토하였다. 그다음, 506명의 예비 초등교사 표본에서 정규성, 신뢰도, 타당도 등의 통계적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한글판 MTEBI의 하위척도인 PMTE와 MTOE의 알파계수가 각각 .836과 .705이었다. 이로써 한글판 MTEBI가 한국에서 효능감 연구에 사용할 수 있을 만큼 믿을 수 있고 문항 구성이 타당함을 입증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 제시된 영문판을 바탕으로 한국과 교육에 대한 전통과 문화가 비슷한 이웃 문화에서도 효능감 연구가 일어나기를 기대한다.

Environmental and Interpersonal Factors on Development of the Mathematically Gifted: Cases of International Mathematical Olympiad Winners from Korea

  • Choi, Kyong Mi;McAninch, Melissa;Jensen, Jessica;Susadya, Laurentius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2권3호
    • /
    • pp.175-201
    • /
    • 2019
  • Spending as much time outside of school as in school, gifted youth are affected by non-school aspects including parents, other family members, peers, mentors, mathematics competitions and camp participations. These influences have been known to shape children's intellectual development, academic achievement, interests, and eventually college and career choices. From interviews with five former Olympians from Korea to identify out-of-school influences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and development, we discovered, in addition to confirmation of previously identified factors, additional sources of positive influence seldom previously mentioned and more common to Korean culture were gleaned - mathematics workbooks and Ha-Gw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informative for teachers and parents who are interested in development of gifted youth in providing ways to accommodate their special needs and in showing how they can carefully individualize those sources to be positively affecting intellectual development as well as academic achievement.

Exploring Preservice Teachers' Computational and Representational Knowledge of Content and Teaching Fractions

  • Rosli, Roslinda;Han, Sunyoung;Capraro, Robert M.;Capraro, Mary M.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7권4호
    • /
    • pp.221-241
    • /
    • 2013
  • The data for the present paper was a part of a large research project conducted to assess preservice teachers' knowledge related to fractions and place value at a southwestern public university in 2007. The study utilized convenience sampling, consisting of 150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who were enrolled in a mathematics methods course before their student teaching. The results demonstrated preservice teachers' knowledge of teaching comparison, addition, subtraction, and multiplication of fractions was insufficient even though these should be basic knowledge.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should emphasize profound knowledge for teaching fractions using represen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