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s Interest

검색결과 567건 처리시간 0.025초

Open-Ended Questions and Creativity Education in Mathematics

  • Li, Yuwen;Li, Dongmei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3권1호
    • /
    • pp.23-30
    • /
    • 2009
  • How to promote creativity for all students in mathematics education is always a hot topic for mathematics educators. Based on the theory study and practice in the project "Open-ended Questions in Mathematics" granted by Ministry of Basic Education Curriculum Study Center in China, the paper reported the effect of "Open-ended Questions in Mathematics" on the way to change the development of thinking ability, to inspire students to develop thinking flexibility, to expand their imagination, to stimulate their interest in learning, and to foster students' creativity.

  • PDF

Objectives and Learning Activities in the Mathematics Curriculum

  • Ediger, Marlow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23권1호
    • /
    • pp.53-65
    • /
    • 1984
  • Teachers need to provide a variety of learning experiences for pupil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his is necessary due to pupils (a) achieving at diverse levels of accomplishment in the mathematics curriculum. (b) individually possessing different learning styles. The following, among others, can be relevant learning activities to present to pupils: 1. using a selected series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2. utilizing the flannel board to guide individual pupil achievement in mathematics. 3. helping pupils attach meaning to learning through the use of markers. 1. guiding pupils in learning by using place value charts. 5. aiding learner achievement through the use of transparencies and the overhead projector. 6. stimulating learner interest in mathematics with the use of selected filmstrips. 7. using graphs in functional situations. 8. helping young pupils to develop interest in numbers by singing songs directly related to ongoing units of study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9. using the geoboard to help pupils experience the world of geometry. 10. providing drill and practice for pupils so that previous developed learnings will not be forgotten.

  • PDF

CAI 프로그램의 활용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중3 통계단원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CAI Program on the Learning Achievement in Mathematics -Focusing on the lesson statistics in the 3rd grade of middle school-)

  • 이재국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3권2호
    • /
    • pp.123-131
    • /
    • 2000
  • In order to educate future leaders of the new age, we should help students to increase their basic knowledge,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t is necessary that we should use multi-media, computer as well as old teaching-learning material to improve students' basic knowledge and to motivate their interest in mathematics in the small-sized Middle School situated on the agricultural and fishery village. In solving this problem, it is ultimately necessary that we should utilize CAI program on the learning achievement in mathematics for the students to understand basic concept, principle, law and to promote teaching-learning process considered on individual different abilities. Therefore, this study is on the effect of students' interest and learning achievement in mathematics when we develop CAI program focusing on the lesson statistics in the 3rd Grade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 and explain the concept and principle of statistics through using exact and various techniques of computers

  • PDF

개방형 문제를 이용한 학습에 대한 아동의 태도 연구 (A Study of Children's Attitudes Towards Learning Mathematics with Open-ended problems)

  • 배종수;오은영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9-64
    • /
    • 2005
  • 21세기는 수학적 사고 신장뿐만 아니라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가치 인식이 형성되도록 수학교육이 이루어져야 하지만 교육현장에서는 정의적 영역의 중요성이 간과 되어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방법과 전략을 사용하여 여러 가지 정답을 산출할 수 있는 개방형 문제를 이용한 학습에 대해 아동이 어떠한 태도를 보이는지 연구하였다. 개방형 학습에 대한 아동들의 태도를 관찰과 면담,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한 결과 아동들은 수학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이 생기고 성취감을 느껴 수업에 집중하였다. 또한 토의학습을 통해 서로 상대방의 능력을 존중하는 태도를 형성하며 교과서 문제를 변형시킨 개방형 문제에 자신 있게 반응하고 수학을 바라보는 태도에서 발전적인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 수학에 대한 긍정적이 태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교과서 문제를 개방형 문제로 변형시켜 현장에 적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 PDF

수학 교과 재량활동시간의 효율적인 운영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efficient application of Discretion activity in Mathematics curriculum)

  • 김세라;김승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121-138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의 특색중의 하나인 교과재량활동시간의 효율적 운영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교과재량 활동시간에 '함께가자! 우리' 프로그램의 운영을 통하여 다양한 수학에 대한 경험, 실생활을 소재로 한 수학문제, 수준별 협동학습 수학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켰으며, 1:1 맞춤학습에 의한 부담 없는 질문과 학습의 분위기 조성 등이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력을 향상시키는데 많은 도움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 PDF

교과서 연립방정식 단원에 제시된 수학사의 소재 분석 및 교수학적 분석 (A Didactical Analysis on History of Mathematics in Simultaneous Equations Section of Mathematics Textbooks)

  • 심상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1권3호
    • /
    • pp.415-42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교과서 연립방정식 단원에 제시된 수학사의 내용을 살펴보고 이를 활용하기 위한 교수학적인 시사점을 분석하였다. 교과서에서 수학사는 읽을거리나 방정식을 푸는 과정에서 문제로 제공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교사가 수업내용을 발전시키거나 자유 탐구를 위한 측면에서 수학사를 활용하기 위해, 그 시대의 사람들은 어떻게 문제를 해결하였는지 탐구할 수 있는 발문을 제시하고 향후 소개되는 연립방정식의 풀이에 대한 기대와 필요성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현재 사용하고 있는 풀이 방법의 편리성과 우수성을 인식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수학사에 나타난 연립방정식의 다양한 풀이에 대해 토론하여 자동화된 풀이를 반복하는 단순함에서 벗어나 수학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새롭게 변화 발전시킬 수 있는 반성적인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 PDF

고대 이집트 산술의 수학교육적 의의

  • 정동권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9-118
    • /
    • 1999
  • This study aims to find the significance of the ancient Egyptian arithmetic in mathematics education and to analyze the educational value by practical teaching of the Egyptian multiplication. In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application of historical materials in mathematics instruction enable students to awaken their interest, to offer the opportunities of exploration, and furthermore to develop their mathematical thinking ability.

  • PDF

학교 수학에 활용 가능한 확률.통계 영역에서의 역사적 패러독스 (Historic Paradoxes of Probability and Statistics Usable in School Mathematics)

  • 이종학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19-141
    • /
    • 2011
  • 수학의 여러 분야 가운데 패러독스가 가장 풍부한 분야는 확률 통계 영역이다. 이것은 역사적으로 확률 통계 이론의 전개 과정에서 지난 시기 동안 연구자들이 직관과 상식에 의해 참이라고 믿고 있었지만 그 사이에는 감춰져 있던 다양한 패러독스들이 존재했으며, 이 패러독스들을 수학자들이 밝히고 수학적으로 해결해 나가면서 현재의 형식적 체계에 이르게 되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학교 수학에서 확률 통계 영역의 교수 학습 자료로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는 역사적 패러독스들은 그 당시 현실적 맥락의 도입에 따른 학생의 흥미와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으며, 또한 교실 수업에서 역사 발생적 원리에 따라 패러독스를 제기하고 해결하고자 고민한 수학자들의 수학적 사고를 엿볼 수 있는 타당한 교수 학습 자료이다. 더불어 확률 통계 영역에서 역사적 패러독스를 활용하는 교실 수업은 형식적이고 연역적인 학교 수학을 학생의 발견적 형성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수학으로 변화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확률 통계 영역의 형식화 과정에서 발생한 역사적인 패러독스들 중에서 중 고등학교 확률 통계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패러독스들에 대해서 알아보고, 또한 이 패러독스들을 교실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서 논해보고자 한다.

하드웨어 전공자들의 수학 관련 교과목 학업성취도 제고 방안 (An improvement plan of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in the H/W curriculum)

  • 이승우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6권4호
    • /
    • pp.801-81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H/W 전공자들의 수학 관련 전공교과목의 관심도 증대와 학업성취도 향상을 목적으로, 첫째, H/W 전공자들이 선호하지 않는 수학을 활용하는 전공분야에 학습자의 수학적 역량을 발전시켜 취업 관심도를 높이고 위의 분야로 취업을 도모하기 위한 교육사례를 제시하였다. 둘째, 향후 H/W 분야에서 컴퓨터프로그래밍을 도구로 한 효율적인 수학 관련 교과목의 교수법을 개발하여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해서 전공자들의 학습에 대한 동기 부여와 교육적 효과를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업성취도와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수학 교육에 대한 효과적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컴퓨터보조수업(CAI)이 수학교과 학력신장에 미치는 영향 -고등학교 "미분ㆍ적분" 단원을 중심으로-

  • 장진원;박달원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3권1호
    • /
    • pp.101-115
    • /
    • 2000
  • Development of new and highly efficient computer technologies are providing schools and homes with faster and multi-functioning computers, and text-oriented education softwares are now being rapidly replaced by multimedia CAI. There are also increasing needs for computer-literate teachers and more effective CAI material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esent effective ways to use computers as teaching aids in mathematics classrooms and how computers affect the students' achievement, interest and attitude in mathematics. Theoretical reviews on learning theories of CAI and multimedia were made before designing teaching plans for mathematics classrooms and the plans were applied to classroom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hievement between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and also indicates that CAI increases the students' interest and attitude in mathematics to a certain extent. Although using computers in classrooms are considered to be more effective in teaching than text-oriented lectures, the number of computers in schools is limited and all the students can not take advantage of individualized drill and practice programs or tutorial programs. One way of various solutions to this problem is developing teaching materials for middle or large sized classes and providing teachers with easy-to-carry notebook computers. And also mathematics teachers should be given more chances to train themselves in developing and using CAI materia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