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al Content Knowledge

검색결과 155건 처리시간 0.027초

Building a Model(s) to Examine the Interdependency of Content Knowledge and Reasoning as Resources for Learning

  • Cikmaz, Ali;Hwang, Jihyun;Hand, Bria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5권2호
    • /
    • pp.135-158
    • /
    • 2022
  • This study aimed to building model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reasoning resources and content knowledge. We applied Support Vector Machine and linear models to the data including fifth graders' scores in the Cornel Critical Thinking Test and the Iowa Assessments, demographic information, and learning science approach (a student-centered approach to learning called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SWH] or traditional). The SWH model show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critical thinking domains and academic achievement at grade 5 was developed, and its validity was tested across different learning environments. We also evaluated the stability of the model by applying the SWH models to the data of the grade levels. The findings can help mathematics educators understand how critical thinking and achievement relate to each other. Furthermore, the findings suggested that reasoning in mathematics classrooms can promote performance on standardized tests.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벡터 개념에 대한 이해: MKT 중심으로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MKT about the Concept of Vector)

  • 윤현경;권오남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3권4호
    • /
    • pp.615-632
    • /
    • 2011
  • 본 연구는 벡터 개념에 대해 예비교사와 현직교사가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를 밝히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이에 벡터 개념에 대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가르치기 위한 수학적 지식(MKT)을 알아보고자 한다. 설문지와 인터뷰 조사 결과 예비교사와 현직교사 모두 벡터 자체가 되는 것보다 벡터의 표현수단을 벡터로 보는 경향이 있었으며 예비교사는 상대적으로 벡터를 벡터공간의 원소로 보는 대학교 수준의 공통내용지식(CCK)으로 응답했던 반면, 현직교사는 가르치는 상황에 필요한 특수 내용지식(SCK)과 내용과 가르치는 것에 대한 지식(KCT)으로 응답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벡터 개념에 대한 CCK, SCK, KCT와 수평내용지식 (Horizon content knowledge)을 도출하였다. 또한 논의된 벡터 개념에 대한 MKT를 바탕으로 MKT 하위 영역 간의 관련성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 PDF

수학교과에서의 자기평가 (Self-Assessment in Mathematics)

  • 최승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권1호
    • /
    • pp.123-133
    • /
    • 1999
  • For an appropriate assessment in mathematics, students should play an active role in their learning by becoming aware of what they have learned in mathematics and by being able to assess their attainment of mathematical knowledge. The process of actively examining and monitoring students' own progress in learning and understanding of their mathematical knowledge, process, and attitude is called self-assessment, Researchers in mathematics education have found some important facts about the meta-cognitive process which is related to self-assessment : i. e. meta-cognition progress is composed of being aware of ones' own personal thinking of content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self-awareness) and engagement in self-evaluation. Tipical method for self-assessment in mathematics developed upon above finding about meta-cognitive progress is describing about students' knowledge and their problem solving strategies. In the beginning of the description in mathematics about themselves, students are required to answer which part they know and which part they don't know. Self-assessment of students' attitudes and dispositions can be just as important as assessment of their specific mathematical abilities. To make the self-assessment method a success, teachers should let students' have confidence and earn their cooperation by let them overcoming fear to be known the their ability to other students. In conclusion, self-assessment encourages students to assume an active role in development of mathematical power. For teachers, student self-assessment activities can provide a prism through which the development of students' mathematical power can be viewed.

  • PDF

Name, Quilt and Transformation Geometry

  • Lee Brenda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9권3호
    • /
    • pp.285-294
    • /
    • 2005
  • The author has been teaching with an instructional module consisting of many mathematical concepts, based on designs formed by personal names or words to arouse students' interesting in learning mathematics. This module has been growing since it was first used as a supplementary lesson for calculus students. Now it consists of concepts that connect with mathematical topics such as number sense, algebraic thinking, geometry, and statistical reasoning, as well as other subjects such as art and quilt design. With its content we can provide our students the basic mathematical knowledge needed for further study in their own fields. In this article, we will demonstrate the latest development of this instructional module, which makes connections between mathematical knowledge and the design of personal quilt patterns. We will exhibit a 'Quilt of Nations' which consists of the designed quilt blocks of different countries, such as USA, Japan, Taiwan, Korea and others, as well as a quilt design using the abbreviation of this seminar. Then we will talk about how the connections are built, and how to design these mathematically rich, uniquely created, beautifully designed, and personalized quilt block patterns.

  • PDF

문제 중심 학습(PBL)에 기반한 수업 지도 내용 탐색 -대학에서의 수학교육 관련 이론을 대상으로- (Investigation on the Instructional Content based on Problem Based Learning by the Subject of the theories of Mathematics Education in College)

  • 황혜정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6권2호
    • /
    • pp.229-251
    • /
    • 2020
  • Problem Based learning(PBL) i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 increase mathematical ability and help achieving mathematical concepts and principles through problem solving using the learner's mathematical prerequisite knowledge. In addition, the recent instructional situations or environments have focused on the learner's self construction of his learning and its process. In spite of such a quite attention, it is not easy to apply and execute PBL program actually in class. Especially, there are some difficulties in actually applying and practicing PBL in the areas of mathematics education in not only secondary school but also in college. Its reason is that in order to conduct PBL instruction constantly in real or experimental class there is no more concrete and detailed instructional content during the consistent and long period. However, to whom is related to mathematics education including instructors called scaffolders, investigation and recognition on the degree of the learner's acquisition of mathematical thinking skills and strategies is an very important work. By the reason, in this study, the instructional content was to be explored and developed to be conducted during 15 weeks in one semester, which was based on Problem Based Learning environment by the subject of the theories relevant to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college of education.

사범대학의 이차곡선 영역 교육에 대한 교수 및 교사의 인식 (The Perception of the Professors and Teachers about the Education on Quadratic Curves in Various Universities)

  • 이승훈;조완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6권4호
    • /
    • pp.827-845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이차곡선에 관한 대학교 사범대학 수학교육과의 교육이 고등학교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이에 대한 교수, 교사, 예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지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3개 대학의 수학교육과와 1개 고등학교를 선정하여, 이차곡선이 강의되는 강좌의 강의담당 교수와 그 강좌를 수강했던 예비교사, 그리고 경기도 소재 1개 고등학교의 수학교사를 대상으로 교육내용과 이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차곡선에 관한 사범대학 교육과정은 고등학교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적절하게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사범대학 교육과정에는 이차곡선에 관한 내용이 강의되는 강좌가 포함되어 있으며, 그 강좌에서 이차곡선에 관한 학교수학과 연결된 학문적 수학 내용이 충분히 강의되고 있으며, 그 강의를 수강한 학생들의 66.1%가 이차곡선에 관한 이해도가 좋아졌다고 인식했으며, 현직교사들 또한 대부분의 내용에 대하여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둘째, 사범대학 교육과정에서 실제 고등학교 교육 현장과의 연결성 강화가 요구된다. 사범대학 교육과정에서 배우는 이차곡선에 관한 내용은 고등학교 교육과정과의 관련성이 크고, 사범대학에서 이에 대하여 배울 필요성 또한 큰 것으로 인식하고 있지만, 사범대학에서 학습하는 내용들이 현장에서의 활용과는 유리되어 배우고 있다는 인식과 함께 이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셋째, 이차곡선에 관한 내용지식의 범위를 학교수학과 연결된 학문적 수학의 범위로 확대하려는 자발적 노력을 촉진, 장려하는 제도적 장치의 마련과 지원이 요구된다.

  • PDF

수학교사의 대수식 쓰기 지도를 위한 발달에 핵심적인 이해 (Mathematics teachers' Key Developmental Understandings for teaching equation writing)

  • 최윤형;이수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0권3호
    • /
    • pp.297-319
    • /
    • 2021
  • 본 연구는 Gess-Newsome(1999)의 변형적 관점에서 수학교사의 수학적 이해와 잠재적 학생들을 가르치기 위한 지도방법 간의 관계를 면밀히 이해하고자 중등 수학교사 4명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대수식 쓰기 문제해결을 위한 발달에 핵심적인 이해를 조사 후, 연구 참여자들이 이에 주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지 분석하였다. 나아가 대수식 쓰기를 지도하기 위한 수업을 예상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수적 행동과 수학적 이해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KDU에 주목한 2명은 대수식 쓰기 문제해결에 성공했으나, 다른 2명은 가분수 상황을 그림으로 나타내거나 상호적 추론을 요구하는 문제를 어려워하였다. 또한 교사들이 구상한 대수식 쓰기를 지도하는 방법에서 확인된 교수적 행동은 그들이 문제해결 과정에서 주목했던 수학적 이해가 투영되어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특정 수학 내용에 대한 교사의 KDU와 교수 활동을 위한 지식과의 연결 사례를 제시함으로 교사교육 연구에 기여한다.

비와 비율 지도에 대한 교사의 PCK 분석 (An Analysis of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bout Teaching Ratio and Rate)

  • 박슬아;오영열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15-24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비와 비율을 지도에 대한 교사의 이해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비와 비율 지도에 대한 교사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을 질문지와 면담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PCK의 내용 측면에 있어서 교사는 비와 비율의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실생활 맥락과 연계해서 비와 비율을 지도할 필요가 있으며, PCK의 교수 방법 및 평가에 대한 지식의 관점에서 비와 비율에 대한 교수 목표를 강화하고 교수 방법에 있어서도 활동 중심으로 바뀔 수 있도록 교사들의 PCK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학생 이해 지식의 관점에서 교사의 PCK는 교사의 설명 이외에 오류 지도 방법을 다양화하고 정의적 측면을 수업에 연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수업 상황에 대한 지식의 관점에서 교사는 주체적 관점에서 교과서 활동을 재구성하고, 활동의 특성에 맞게 수업 집단을 다양화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설문과 면담을 통한 비와 비율에 대한 교사의 PCK가 실제 수업과 어떠한 연관성을 갖고 있는지에 대한 추후 연구를 제안한다.

  • PDF

The Mathematical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 Comparative Perspective

  • Wong, Ngai-Ying;Rowland, Tim;Chan, Wing-Sum;Cheung, Ka-Luen;Han, Ngai-Sze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4권2호
    • /
    • pp.173-194
    • /
    • 2010
  •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mathematics teachers' subject matter knowledge among England, the Chinese mainland and Hong Kong. Data were collected from a ten-item test in the SKIMA subject matter audit instrument [Rowland, T.; Martyn, S.; Barber, P. & Heal, C. (2000). Primary teacher trainees' mathematics subject knowledge and classroom performance. In: T. Rowland & C. Morgan (eds.),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Volume 2 (pp.3-18). ME 2000e.03066] from over 500 participants.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from England performed consistently better, with those from Hong Kong being next and then followed by those from the Chinese mainland. The qualitative data revealed that participants from Hong Kong and the Chinese mainland were fluent in applying routines to solve problems, but had some difficulties in offering explanations or justifications.

예비교사의 원의 넓이에 대한 내용지식 분석 (An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Mathematical Content Knowledge about the Area of a Circle)

  • 최은아;강향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6권4호
    • /
    • pp.763-782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원의 넓이에 대한 초등예비교사들의 내용지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을 토대로 원의 넓이의 측정에 관련된 기본 개념들을 추출하였으며, 이를 반영한 검사지를 개발, 53명의 초등예비교사들에게 적용하여 그 반응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교사들은 원의 넓이의 의미를 단위넓이의 개수보다는 원의 정의나 넓이 공식으로 기술하고 있었다. 또한 분할과 단위반복에 비해 보존과 배열구조에서 불완전한 이해를 보였고, 어림을 무시하는 경향이 컸으며 실무한의 수용에 어려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교사 양성프로그램에서 원의 넓이에 대한 내용지식을 좀 더 명시적으로 지도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