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vestigation on the Instructional Content based on Problem Based Learning by the Subject of the theories of Mathematics Education in College

문제 중심 학습(PBL)에 기반한 수업 지도 내용 탐색 -대학에서의 수학교육 관련 이론을 대상으로-

  • Received : 2020.02.07
  • Accepted : 2020.02.26
  • Published : 2020.02.29

Abstract

Problem Based learning(PBL) i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 increase mathematical ability and help achieving mathematical concepts and principles through problem solving using the learner's mathematical prerequisite knowledge. In addition, the recent instructional situations or environments have focused on the learner's self construction of his learning and its process. In spite of such a quite attention, it is not easy to apply and execute PBL program actually in class. Especially, there are some difficulties in actually applying and practicing PBL in the areas of mathematics education in not only secondary school but also in college. Its reason is that in order to conduct PBL instruction constantly in real or experimental class there is no more concrete and detailed instructional content during the consistent and long period. However, to whom is related to mathematics education including instructors called scaffolders, investigation and recognition on the degree of the learner's acquisition of mathematical thinking skills and strategies is an very important work. By the reason, in this study, the instructional content was to be explored and developed to be conducted during 15 weeks in one semester, which was based on Problem Based Learning environment by the subject of the theories relevant to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college of education.

Keywords

References

  1. 강미애, 송상헌 (2011). 초등학교 4학년 소수단원에서의 수학과 PBL 모형 적용 수업 분석. 학교수학, 13(1), 189-206.
  2. 강인애(1998).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또 하나의 구성주의적 교수-학습 모형. 서울: 문음사.
  3. 교육부(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8). 세종: 교육부.
  4. 김진호, 이소민 (2008). 학습자 중심 수학 수업을 한 한 초등교사의 학습자 중심 수업에 대한 인식 변화. 학교수학, 10(1), 105-121.
  5. 김부미 (2007). 수학 워크북 도입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및 구성 방안 제안. 수학교육학연구, 17(3), 271-293.
  6. 김슬비, 황혜정 (2015). 예비교사의 문제 생성과 재구성 활동에 관한 탐색. 수학교육 논문집, 29(3), 533-551.
  7. 박영배 (1996). 수학 교수 학습의 구성주의적 전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박영희, 이용성 (2004). 웹 자료 활용을 통한 자기 주도적 학습에 관한 사례 연구 : 4학년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6(1), 37-57.
  9. 박지현 (2018). 과정 중심 평가의 도입 현황과 과제. 교육광장(한국교육과정평가원), 14-17.
  10. 안효정(2013). 융합적 사고력 육성을 위한 STEAM 기반 디자인 수업 방안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염시창, 박철영 (2011). 수학 자기효능감과 수학성취도의 관계에서 학습전략의 매개효과 -잠재성장모형의 분석-. 수학교육, 50(1), 103-118.
  12. 윤운성 (2012). 한국형 에니어그램 자기 주도 학습 모형 개발. 에니어그램연구, 9(2), 39-60.
  13. 이이든 (2012). 저소득층 아동.청소년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증진 프로그램 효과분석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종희, 김선희, 김부미, 김기연 (2008). 수학 교과에서 익힘책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12(2), 335-352.
  15. 최주영, 박성선 (2014). GSP를 활용한 수학 수업이 도형의 대칭 학습과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8(3), 459-474.
  16. 허난(2009). 수학과 문제중심학습(PBL)을 위한 문제분석기준 개발과 학습모형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허난, 강옥기 (2010). 수학과 문제중심학습(PBL)을 위한 문제분석기준 개발과 학습모형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0(3), 255-274.
  18. 허혜자, 최정임 (2009). 수학과 디지털교과서 자기주도적 학습에서 나타난 오개념에 대한 연구: 분수의 나눗셈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11(4), 643-664.
  19. 황혜정, 나귀수, 최승현, 박경미, 임재훈, 서동엽 (2016). 수학교육학신론. 서울: 문음사.
  20. 황혜정, 허난 (2016). 수학 문제중심학습(PBL)에서 융합적 사고력 신장 도모에 관한 의의 -역사 소재를 중심으로-. 수학교육논문집, 30(2), 161-178.
  21. 황혜정, 박현주 (2016). 수학 교과에서의 수행과제를 활용한 수업 방안 탐색 -백워드 이론을 기반으로-. , 수학교육, 55(1), 102-127.
  22. 홍기칠 (2014). 초등학생용 자기주도학습력 검사의 타당화. 사고개발, 10(2), 1-30.
  23. Barrows, H. S. (1985). How to design a problem-based curriculum for the preclinical years. New York: Springer.
  24. Brooks, J., & Brooks, M. (1993). In Search of understanding the case for constructivist classrooms, Alexandria, VI: ASCD
  25. Danielson, C. (1997). A collection of performance tasks & rubrics: Middle school mathematics, Larchmont, NY: Eye On Education.
  26. Knowles, M. S. (1975). Self-Directed Learning: A Guide for Learners and Teachers, NY: Association Press.
  27. Merrill, M. D., Li, Z., & Jones, M. K. (1990). Limitations of First Generation Instructional Design. Educational Technology, 30(1), 7-11.
  28. Newman, M. (2004). Problem Based Learning: An exploration of the method and evaluation of its effectiveness in a continuing nursing education programme. London: School of Lifelong Learning & Education, Middlesex University
  29. Polya, G. (1957). How to solve it. 우정호 역(2002). 어떻게 문제를 풀 것인가? 서울: 교우사.
  30. Torp, L. & Sage, S. (2001). Problem as Possibilities : Problem-Based Learning K-16 Education (2nd Ed.).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31. Wiggins, G. & McTighe, J. (2005). Understanding by design(2nd ed),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