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al Content Knowledge

검색결과 154건 처리시간 0.028초

A Study on Effectiveness of Mathematics Teachers' Collaborative Learning: Focused on an Analysis of Discourses

  • Chen, Xiaoying;Shin, Bomi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5권1호
    • /
    • pp.1-20
    • /
    • 2022
  • Collaborative learning has been highlighted as an effective method of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in various studies. To disclose teachers' discourse threads in the process of collaborative learning for developing their knowledge, this paper adopted two methods including "content analysis" and "time-sequential analysis" of learning analytics. Such analyses were implemented for mining teachers' updated knowledge and the discourse threads in the discussion during collaborative learning. The materials for analysis involved two aspects: one was from the video-taped lesson observation reports written by teachers before and after discussing, and the other was from their discourses during the discussion process. The results proved that teachers' knowledge for teaching the centroid of a triangle was updated in the collaborative learning period, and also revealed the discourse threads of teachers' collaboration contained "requesting information or opinions", "building on ideas", and "providing evidence or reasoning", with the emphasis on "challenging ideas or re-focusing talk"

방법유추를 통한 3차와 4차 방정식의 근의 공식 유도 (A study on derivation of root's formulas of cubic and quartic equation by method analogy)

  • 류익승;신현용;한인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505-514
    • /
    • 2008
  • 방정식의 가해성 탐구는 수학사의 중요한 연구주제의 하나였으며, 삼차방정식과 사차방정식의 일반적인 해법은 교사양성기관의 현대대수학 교과에서 다루는 중요한 내용이다. 본 연구에서는 norm형식의 개념을 바탕으로 이차방정식의 근의 공식에 대한 방법유추를 통해 삼차방정식의 근의 공식을 유도하고, 삼차방정식의 근의 공식에 대한 방법유추를 통해 사차방정식의 근의 공식을 유도하였다.

  • PDF

Prospective Teachers' Competency in Teaching how to Compare Geometric Figures: The Concept of Congruent Triangles as an Example

  • Leung, K.C. Issic;Ding, Lin;Leung, Allen Yuk Lun;Wong, Ngai Ying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8권3호
    • /
    • pp.171-185
    • /
    • 2014
  • Mathematically deductive reasoning skill is one of the major learning objectives stated in senior secondary curriculum (CDC & HKEAA, 2007, page 15). Ironically, student performance during routine assessments on geometric reasoning, such as proving geometric propositions and justifying geometric properties, is far below teacher expectations. One might argue that this is caused by teachers' lack of relevant subject content knowledge. However, recent research findings have revealed that teachers' knowledge of teaching (e.g., Ball et al., 2009) and their deductive reasoning skills also play a crucial role in student learning. Prior to a comprehensive investigation on teacher competency, we use a case study to investigate teachers' knowledge competency on how to teach their students to mathematically argue that, for example, two triangles are congruent. Deductive reasoning skill is essential to geometry. The initial findings indicate that both subject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re essential for effectively teaching this challenging topic. We conclude our study by suggesting a method that teachers can use to further improve their teaching effectiveness.

분수에 대한 교사 지식의 평가 기준 개발 (The Scoring Framework Development for Teacher's Knowledge of Fractions)

  • 이종욱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4권2호
    • /
    • pp.215-228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ment the scoring framework for teacher knowledge of fractions. This framework is qualified in the content-validity by professional educators' evaluation and in the reliability by correlation coefficient. 2 math educators judged that this framework is composed of appropriate scoring category, scoring criterion, and scoring level. After 2 teachers scored the task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alculated between evaluators. The coefficient is evaluated high in that it is more than 0.80.

  • PDF

교수법적 내용 지식: 미국 중학교 수학 교사 사례 연구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 Case Study of a Middle School Mathematics Teacher)

  • 김구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7권3호
    • /
    • pp.295-308
    • /
    • 2007
  • 이 연구는 중학교 수학 교사의 수업 활동에 나타나는 교수법적 내용 지식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미국의 8학년 수학 교사의 수업 활동과 면담을 수집하고 분석한 사례 연구이다. 참여자인 수학 교사의 교수법적 내용 지식은 첫째, 각 개념과 주제들 간의 연계성, 다양한 형태의 문제 해결력, 그리고 교과서에 대한 이해 등을 포함한 수학 교과 내용 지식, 둘째, 수학의 특정 개념과 주제에 대한 학생들의 잘못된 생각과 일반적인 오류, 학생들이 느끼는 어려움과 혼동을 이해하는 학생들의 학습 과정에 대한 지식, 그리고 마지막으로 학생들의 동기 유발과 실제 상황에의 적용을 중시하는 교수학적 지식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예비수학교사의 '내용과 학습자에 대한 지식(KCS)' 탐색 연구 (An Investigation into th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Knowledge of Content and Students)

  • 박경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6권2호
    • /
    • pp.269-285
    • /
    • 2016
  •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은 수학교육학 분야에서 다각도로 활발하게 탐구되어온 주제이다. 본 연구는 PCK의 구성 요소 중의 하나인 '내용과 학습자에 대한 지식(KCS)'에 주목하고, 예비수학교사들의 KCS를 파악하기 위하여 사범대학 수학교육과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심층면담은 예비교사들로부터 다양한 답변을 기대할 수 있는 내용을 자유응답형으로 구성하였으며, 네 가지 질문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답변을 기술하고 유형화함으로써 연구 문제로 설정한 학습자의 전형적인 오류, 학습자의 내용 이해, 학습자의 발달 계열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사고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심층면담 결과, 예비교사들은 설문에 대한 응답에서 수학적 관점 혹은 교육적 관점을 갈등적으로 적용하고 있었다. 학교수학을 구성하고 있는 개념 중 여러 학교급과 학년 혹은 여러 영역에서 중층적으로 설명되는 경우에 대해서는 교사양성 과정에서 각 주제들이 학교급과 학년을 관통하여 어떻게 다루어지는지 종적으로 조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초등 교사의 자연수 개념에 대한 교수학적 내용지식 분석 (An Analysis on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Natural number Concepts for Kore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 이명희;황우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693-734
    • /
    • 2011
  • 연구의 목적은 자연수 개념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교수학적 내용지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Shulman(1986b)은 교사의 지식을 이해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면서, 가르치는데 필요한 내용지식을 교과내용지식, 교육과정지식, 교수학적 내용지식의 세 가지로 구분하였고, 방정숙(2002)은 교사의 교수 방법에 포함되는 요소를 개인 요소와 사회 문화 요소로 구분하였다. 연구 문제는 (1) 초등 교사들은 자연수 개념에 대하여 어떤 교수학적 내용지식을 가지고 있는가, (2) 초등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자연수 개념에 대한 교수학적 내용지식에는 어떤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는가의 두 가지이다. 연구 결과 (1) 초등 교사들은 자연수 개념에 대한 교수학적 내용지식의 세 가지 유형을 적절히 갖추고 있고, (2) 초등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자연수 개념에 대한 교수학적 내용지식에는 사회문화적 요소 보다는 개인 요소가 더 많이 포함되어 있다. 연구의 제안점으로는 (1) 보통의 현장 교사와 수학교육을 전공한 교사간의 비교 연구와 (2)자연수 개념에 대한 교실 활동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기를 바란다.

분수 나눗셈의 문장제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전문화된 내용지식(SCK) 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Teachers' Specialized Content Knowledge(SCK) for the word problems of fraction division)

  • 강영란;조정수;김진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6권3호
    • /
    • pp.301-316
    • /
    • 2012
  • Ball, Thames, Phelps(2008)는 수학을 가르치는 교사에게는 특별히 수학 가르침을 위한 지식(MTK)이 필요하다고 주장을 하면서 그 하위 영역으로 학생들이 분수의 나눗셈을 수행하는 것에 대해 평가할 수 있는 교사의 능력과 같이 특정 영역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의미하는 전문화된 내용 지식(SCK)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 6학년 학생들에게 교과서에서 유일하게 제시된, 문장제 만들기, 즉 분수 나눗셈 $9/10{\div}2/5$에 알맞은 문장제 문제를 만들게 하였고, 이들이 제시한 답의 유형을 네 가지의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각 대표적인 유형의 답들을 선택하여 초등 6학년을 지도한 경험이 있는 10명의 교사들에게 제공하였고, 이 답들에 대한 평가를 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와 분수 나눗셈에 대한 문장제의 의미를 통해 교사들의 전문화된 내용 지식(SCK)을 분석하였다.

Shulman-Fischbein 개념틀을 활용한 예비 교사의 기하 영역에 대한 지식 해석 : 미국 예비교사들의 사례 (Interpretation of Teacher Knowledge in Geometry with Shulman - Fischbein Framework: Cases of US Preservice Teachers)

  • 김지선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113-139
    • /
    • 2018
  • 많은 사람들이 교수에서 교사의 지식이 중요다고 동의하고, 이에 대해 많은 연구들이 정량적인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잘 가르치기 위해 교사가 갖추어야 할 지식의 요소와 특징을 규명하려고 시도하였다. 이러한 기존의 연구들과는 달리 본 논문은 기하 영역에서 예비 교사의 지식을 정성적인 방법으로 Shulman-Fischbein 개념틀을 활용하여 해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7명의 여 예비교사들이 본 연구에 자원하여 참여하였고, 각 예비교사는 지필 형식으로 된 일련의 과제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예비교사의 지식은 수학적 알고리즘적 SMK, 형식적 SMK, 직관적 SMK, 알고리즘적 PCK, 형식적 PCK, 직관적 PCK로 분석되었다. 해결결과 예비 교사들은 강한 SMK를 갖고 있고, 그들의 뿌리깊게 자리잡은 SMK는 변하지 않으며, 그들의 SMK와 PCK는 상당한 관련이 있고, 그들은 학생에 대한 지식과 관련하여 적절한 PCK를 갖고 있지만, 교수학적 전략을 제시함에 있어 직관적 PCK에 상대적으로 덜 고려하는 경향을 보였다. Shulman-Fischbein 개념틀을 활용하여 분석해 드러난 예비교사들의 지식은 향후 교사 양성 프로그램을 계획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역량을 반영한 수업평가 기준 탐색 -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지식을 중심으로- (The Investigation of the Mathematics Teaching Evaluation Standards Focused on Mathematical Competencies in the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in 2022)

  • 황혜정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40권2호
    • /
    • pp.149-166
    • /
    • 2024
  •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domains and the standards of instructional evaluation on the teacher knowledge dealing with the knowledge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 Especially, in this study, the instruction assessment standards are developed focused on the five types of mathematics competencies such as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reasoning, connection, information and handling, which were emphasized in the mathematical curriculum revised in 2022. By the result, ten domains such as an instruction involving instruction goal and content, problem-solving competency, data treatment competency, learners' achievement level and attitude, communication competency, reasoning competency, connection competency, the assessment method and procedure based on the competency, the assessment tool development based on the competency, assessment result based on the competency were new established. According to those domains, the total 20 instructional evaluation standards were developed. This study is limited to consider the domain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 among the domains of teacher knowledge, while dealing with the elements of mathematics competencies in the standards. However, instructional evaluation standards reflecting these competencies should be developed in the other diverse domains of teacher knowle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