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ching Score

검색결과 326건 처리시간 0.026초

The impact of post-warming culture duration on clinical outcomes of vitrified-warmed single blastocyst transfer cycles

  • Hwang, Ji Young;Park, Jae Kyun;Kim, Tae Hyung;Eum, Jin Hee;Song, Haengseok;Kim, Jin Young;Park, Han Moie;Park, Chan Woo;Lee, Woo Sik;Lyu, Sang Woo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47권4호
    • /
    • pp.312-318
    • /
    • 2020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long-term and short-term embryo culture to assess whether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culture duration and clinical outcomes. Methods: Embryos were divided into two study groups depending on whether their post-warming culture period was long-term (20-24 hours) or short-term (2-4 hours). Embryo morphology was analyzed with a time-lapse monitoring device to estimate the appropriate timing and parameters for evaluating embryos with high implantation potency in both groups. Propensity score matching was performed to adjust the confounding factors across groups. The grades of embryos and blastocoels, morphokinetic parameters, implantation rate, and ongoing pregnancy rate were compared.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implantation rate or ongoing pregnancy rate between the two groups (long-term culture group vs. short-term culture group: 56.3% vs. 67.9%, p=0.182; 47.3% vs. 53.6%, p=0.513). After warming, there were more expanded and hatching/hatched blastocysts in the long-term culture group than in the short-term culture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between-group difference in embryo grade. Regarding pregnancy outcomes, the time to complete blastocyst re-expansion after warming is shorter in women who became pregnant than in those who did not in both culture groups (long-term: 2.19±0.63 vs. 4.11±0.81 hours, p=0.003; short-term: 1.17±0.29 vs. 1.94±0.76 hours, p=0.018, respectively). Conclusion: The outcomes of short-term culture and long-term cultur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vitrified-warmed blastocyst transfer. Regardless of the post-warming culture time, the degree of blastocyst re-expansion 3-4 hours after warming is an important marker for embryo selection.

Early Outcomes of Robotic Versus Video-Assisted Thoracoscopic Anatomical Resection for Lung Cancer

  • Park, Ji Hyeon;Park, Samina;Kang, Chang Hyun;Na, Bub Se;Bae, So Young;Na, Kwon Joong;Lee, Hyun Joo;Park, In Kyu;Kim, Young Tae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5권1호
    • /
    • pp.49-54
    • /
    • 2022
  • Background: We compared the safety and effectiveness of robotic anatomical resection and 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VATS).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conducted of the records of 4,283 patients, in whom an attempt was made to perform minimally invasive anatomical resection for lung cance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2011 to July 2020. Of these patients, 138 underwent robotic surgery and 4,145 underwent VATS. Perioperative outcomes were compared after propensity score matching including age, sex, height, weight, pulmonary function, smoking status, performance status, comorbidities, type of resection, combined bronchoplasty/angioplasty, tumor size, clinical T/N category, histology, and neoadjuvant treatment. Results: In total, 137 well-balanced pairs were obtained. There were no cases of 30-day mortality in the entire cohort. Conversion to thoracotomy was required more frequently in the VATS group (VATS 6.6% vs. robotic 0.7%, p=0.008). The complete resection rate (VATS 97.8% vs. robotic 98.5%, p=1.000)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 rate (VATS 17.5% vs. robotic 19.0%, p=0.874)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2 groups. The robotic group showed a slightly shorter hospital stay (VATS 5.8±3.9 days vs. robotic 5.0±3.6 days, p=0.052). N2 nodal upstaging (cN0/pN2) was more common in the robotic group than the VATS group, but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VATS 4% vs. robotic 12%, p=0.077). Conclusion: Robotic anatomical resection in lung cancer showed comparable early outcomes when compared to VATS. In particular, robotic resection presented a lower conversion-to-thoracotomy rate. Furthermore, a robotic approach might improve lymph node harvesting in the N2 station.

딥러닝 기반 온라인 리뷰의 언어학적 특성을 활용한 추천 시스템 성능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nhancing Recommendation Performance Using the Linguistic Factor of Online Review based on Deep Learning Technique)

  • 장동수;이청용;김재경
    • 지능정보연구
    • /
    • 제29권1호
    • /
    • pp.41-63
    • /
    • 2023
  • 전자상거래 시장의 꾸준한 성장으로 인해 추천 시스템의 필요성은 점차 강조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추천 성능의 향상을 목적으로 리뷰 텍스트를 사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많은 연구들은 리뷰 텍스트의 감성 점수를 활용하여 제안되고 있는데, 감성 점수만을 사용하는 방법론은 리뷰 텍스트에 존재하는 구체적인 선호도 정보의 활용 측면에 한계를 가지며 이는 결과적으로 성능 향상에 제약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는 딥러닝 기반 추천 모델에 온라인 리뷰 내 다양한 언어학적 요소들을 활용하여 고객의 선호도를 정교하게 학습할 수 있는 새로운 추천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고객과 상품 간 복잡한 상호작용을 고려할 수 있도록 딥러닝 모델을 통해 상호작용 관계를 비선형으로 학습하였다. 그리고 리뷰 텍스트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언어학적 요소 중 고객의 구매 의사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요인, 정서적 요인 그리고 언어 스타일 매칭을 사용하였다. 실험은 Amazon.com에서 수집한 온라인 리뷰 데이터를 사용하여 진행하였고, 실험 결과 제안 모델의 우수함을 검증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추천 시스템에서 리뷰 텍스트 내 고객 선호도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론을 제안하여 연구의 이론적 및 방법론 측면에 기여하였다.

Comparison of Laparoscopic and Open Gastrectomy for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Treated With Neoadjuvant Chemotherapy: A Multicenter Retrospective Study Based on the Korean Gastric Cancer Association Nationwide Survey

  • Seul Ki Oh;Chang Seok Ko;Seong-A Jeong;Jeong Hwan Yook;Moon-Won Yoo;Beom Su Kim;In-Seob Lee;Chung Sik Gong;Sa-Hong Min;Na Young Kim;the Information Committee of the Korean Gastric Cancer Association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23권3호
    • /
    • pp.499-508
    • /
    • 2023
  • Purpose: Despite scientific evidence regarding laparoscopic gastrectomy (LG) for advanced gastric cancer treatment, its application in patients receiving neoadjuvant chemotherapy remains uncertain. Materials and Methods: We used the 2019 Korean Gastric Cancer Association nationwide survey database to extract data from 489 patients with primary gastric cancer who received neoadjuvant chemotherapy. After propensity score matching analysis, we compared the surgical outcomes of 97 patients who underwent LG and 97 patients who underwent open gastrectomy (OG). We investigated the risk factors for postoperative complications using multivariate analysis. Results: The operative time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the OG group. Patients in the LG group had significantly less blood loss than those in the OG group. Hospital stay and overall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similar between the two groups. The incidence of Clavien-Dindo grade ≥3 complications in the LG group was comparable with that in the OG group (1.03% vs. 4.12%, P=0.215).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number of harvested lymph nodes between the two groups (38.60 vs. 35.79, P=0.182). Multivariate analysis identified body mass index (odds ratio [OR], 1.824; 95% confidence interval [CI], 1.029-3.234; P=0.040) and extent of resection (OR, 3.154; 95% CI, 1.084-9.174; P=0.035) as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overall postoperative complications. Conclusions: Using a large nationwide multicenter survey database, we demonstrated that LG and OG had comparable short-term outcomes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who received neoadjuvant chemotherapy.

학자금 대출 경험이 노동시장 초기행태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s of Student Loans on Early Labor Market Performance)

  • 양동규;최재성
    • 경제분석
    • /
    • 제25권4호
    • /
    • pp.1-24
    • /
    • 2019
  • 본 연구는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를 활용하여 학자금 대출 경험이 있는 대학 졸업자의 노동시장 성과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특히 분석대상을 대학 졸업 이후 18개월간 경험하는 모든 일자리로 확장하고, 대출 경험자의 이질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성향점수 매칭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자금 대출 경험자는 대출 미경험자와 비교하여 첫 일자리의 임금이 2.81% 낮았다. 둘째, 첫 일자리에서 관찰된 임금격차는 시간이 흐르며 감소하였으며, 특히 이직 및 재취업으로 인해 0.66%p의 축소가 이루어졌다. 셋째, 졸업 후의 근로소득을 누적하여 비교하면 대출 경험자가 졸업 후 18개월까지 지속해서 높은 누적소득을 얻고 있었다. 이는 대출 경험자가 낮은 임금의 일자리라도 조기에 수락하기 때문에 미취업 상태로 지내는 기간은 짧고, 첫 취업 이후에는 더 높은 빈도로 이직과 재취업을 통해 임금을 높여가기 때문이다. 대출 경험자는 대출 경험이 없는 이들과 비교하여 이직 및 재취업 시 임금 상승분이 2.6만원 높았으며, 직장을 옮기는 횟수 또한 유의하게 많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노동시장 진입 직후에 조사된 임금을 사용하여 수행된 이전의 연구 결과는 학자금 대출이 임금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과대 추정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고용의 질을 살펴보면 대출 경험자의 대기업 정규직 취업률은 지속적으로 낮았다. 초기 고용의 질이 장기적으로 임금 상승 및 일자리 안정성의 차이에 따른 생애소득의 격차로 이어질 수 있음을 고려하면 이는 향후 장기적인 관점에서 대출 경험자의 노동시장 성과를 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COVID-19 재정지원정책과 기업가정신이 중소기업혁신에 미치는 영향 : 스마트워크 도입 유무에 따른 비교 연구 (The Impact of COVID-19 Financial Support Policy and Entrepreneurship on Technological Innovation of SMEs : A Comparative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Smart Work)

  • 전영준
    • 벤처혁신연구
    • /
    • 제5권4호
    • /
    • pp.157-178
    • /
    • 2022
  • COVID-19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경제는 악화되었으며 국내 역시 큰 타격을 받게 되었다. 이에 정부는 중소기업들이 겪고 있는 자금난 해소를 위해 전례 없는 COVID-19 관련 재정지원 정책을 시행하였다. 또한, 정부는 COVID-19 확산이 지속되자 비대면 접촉을 권고했으며 그에 따른 지침과 방안을 내세움에 따라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조직들은 비대면 형태의 업무방식을 도입하였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COVID-19 관련 재정지원 정책이 중소기업의 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또한, 기업의 혁신을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과 같은 외부적인 지원도 중요하나 내부적 역량 역시 중요한 요인에 해당한다. 따라서 기업가정신이 제품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으며, 더하여 비대면 형태의 업무방식이 활성화됨에 따라 스마트워크를 도입한 기업과 도입하지 않는 기업 간 비교를 통해 스마트워크의 효과를 파악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한 자료수집은 과학기술정책연구원에서 제공하는 한국기업혁신조사-2020년 (제조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또한, 가설검증을 위해 성향점수매칭을 이용해 표본에 대한 선택편의를 줄인 이후 스마트 도입 기업과 도입하지 않은 기업 간 집단을 분류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업가정신의 경우 스마트워크 도입 여부에 상관없이 중소기업의 제품혁신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COVID-19 재정지원정책의 경우, 금융지원은 스마트워크를 도입한 기업에게만 제품혁신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이외에 지원정책은 스마트워크 도입 여부에 상관없이 제품혁신에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기업가정신은 스마트워크 도입 여부에 상관없이 정(+)의 영향을 나타냈으며, COVID-19 관련 재정지원정책은 지원유형에 따라 혼재된 결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및 학문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었다.

혁신형 중소기업과 일반 중소기업의 생존기간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for Survival Period of Innovative SMEs and General SMEs)

  • 이준원
    • 벤처창업연구
    • /
    • 제18권1호
    • /
    • pp.225-236
    • /
    • 2023
  • 2015년~2021년 혁신인증을 획득한 혁신형 중소기업과 일반 중소기업에 대해 생존기간의 관점에서 비교·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업력, 규모(고용인원, 자본 및 부채, 매출액 및 영업이익), 한국표준산업분류 중분류를 이용하여 혁신형 중소기업과 유사한 일반 중소기업을 선별하였으며, 생존기간은 휴·폐업 및 부도에 준하는 연체를 사건으로 정의하여 산출하였다. 생존분석 결과 혁신형 중소기업은 일반 중소기업 대비 휴·폐업 및 연체 발생 위험이 9.8%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혁신형 중소기업의 생존기간이 유의하게 길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그 외 중소기업의 업력과 규모(고용인원, 자본)는 생존기간에 정(+)의 영향을, 부채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혁신역량과 미래성장성 중심의 혁신인증 제도는 생존기간의 관점에서 유의한 지표이며, 혁신인증 제도의 혜택 및 지원정책이 중소기업의 실질적 성장과 생존을 위해서는 업력 및 업종을 반영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정교화 될 필요가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 PDF

Impact of Additional Preoperative Computed Tomography Imaging on Staging, Surgery, and Postsurgical Survival in Patients With Papillary Thyroid Carcinoma

  • So Yeong Jeong;Sae Rom Chung;Jung Hwan Baek;Young Jun Choi;Sehee Kim;Tae-Yon Sung;Dong Eun Song;Tae Yong Kim;Jeong Hyun Lee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4권12호
    • /
    • pp.1284-1292
    • /
    • 2023
  • Objective: We investigated the impacts of computed tomography (CT) added to ultrasound (US) for preoperative evaluation of patients with papillary thyroid carcinoma (PTC) on staging, surgical extent, and postsurgical survival. Materials and Methods: Consecutive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for PTC between January 2015 and December 2015 were retrospectively identified. Of them, 584 had undergone preoperative additional thyroid CT imaging (CT + US group), and 859 had not (US group). Inverse probability of treatment weighting (IPTW) and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were used to adjust for 14 variables and balance the two groups. Changes in nodal staging and surgical extent caused by CT were recorded. The recurrence-free survival and distant metastasis-free survival after surgery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In the CT + US group, discordant nodal staging results between CT and US were observed in 94 of 584 patients (16.1%). Of them, CT accurately diagnosed nodal staging in 54 patients (57.4%), while the US provided incorrect nodal staging. Ten patients (1.7%) had a change in the extent of surgery based on CT findings. Postsurgical recurrence developed in 3.6% (31 of 859) of the CT + US group and 2.9% (17 of 584) of the US group during the median follow-up of 59 months. After adjustment using IPTW (580 vs. 861 patients), the CT + US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ecurrence-free survival rates than the US group (hazard ratio [HR], 0.52 [95% confidence interval {CI}, 0.29-0.96]; P = 0.037). PSM analysis (535 patients in each group) showed similar HR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HR, 0.60 [95% CI, 0.31-1.17]; P = 0.134). For distant metastasis-free survival, HRs after IPTW and PSM were 0.75 (95% CI, 0.17-3.36; P = 0.71) and 0.87 (95% CI, 0.20-3.80; P = 0.851), respectively. Conclusion: The addition of CT imaging for preoperative evaluation changed nodal staging and surgical extent and might improve recurrence-free survival in patients with PTC.

한국의료패널 자료를 활용한 건강기능식품 섭취에 따른 의료비 지출 비교분석 (Medical Costs between Dietary Supplement Users and Non-users Using the Korea Health Panel Data)

  • 권혜영;오수현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87-93
    • /
    • 2024
  • 연구배경: 최근 건강기능식품 섭취에 따른 의료비 절감효과에 대해 상이한 연구결과들이 제시되면서 논쟁이 불거졌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건강기능식품 섭취 여부가 의료비 지출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2019-2020년의 제2기 한국의료패널 자료에서 2년간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한 군과 섭취하지 않은 군을 확인하고 이들의 일반적 특성 차이를 배제하고자 성향점수매칭기법을 통해 1:1 매칭 데이터를 추출하였으며 두 군의 연간 총 의료비를 비교하였다. 더불어 의료비 지출에 대한 건강기능식품 섭취 여부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다변량 회귀분석(Proc Surveyreg)을 실시하였다. 결과: 건강기능식품 섭취군은 약 172만 원을, 미섭취군은 약 143만 원을 의료비로 지출하였다(p=0.0186). 다변량 회귀분석 결과, 섭취군이 미섭취군에 비해 약 26.15% 더 많은 의료비를 지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0004). 결론: 건강기능식품 섭취가 의료비를 절감시킨다는 이전 연구들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건강기능식품을 지속적으로 섭취하는 사람들이 의료서비스 지출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건강기능식품 섭취가 질병 예방이나 의료비 절감의 관점보다는 건강에 관심 있는 사람들이 건강관리를 위해 취하는 행동임을 제시한 이전 연구들과 같은 맥락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러나 의료패널 자료의 다양한 한계점으로 인해 주의 깊은 해석이 필요하다. 향후 개인수준의 코호트 자료를 활용한 인과성 규명이 필요하다.

급성일산화탄소 중독환자에서 고압산소치료의 압력에 따른 예후 비교 (Comparison of hyperbaric oxygen therapy pressures for acute carbon monoxide poisoning )

  • 김정윤;임지혜;김성화;한상일;차용성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17-127
    • /
    • 2023
  • Purpose: No consensus currently exists regarding the maximal pressure of hyperbaric oxygen (HBO2) therapy performed within 24 hours of acute carbon monoxide (CO) poisoning.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difference in therapeutic effects according to the first HBO2 pressure (3.0 atmospheres absolute [ATA] vs. 2.8 ATA). Methods: We used prospectively collected registry data on CO poisoning at a tertiary academic hospital in the Republic of Korea. Adult patients with acute CO poisoning treated with HBO2 within 24 hours after arrival at the emergency department an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HBO2 after 24 hours between January 2007 and February 2022 were included. Data from 595 patients were analyzed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Patients with mild (non-intubated) and severe (intubated) poisoning were also compared. Neurocognitive outcomes at 1 month after CO poisoning were evaluated using the Global Deterioration Scale combined with neurological impairment. Results: After PSM, the neurocognitive outcomes at 1-month post-CO exposur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2.8 ATA (110 patients) and 3.0 ATA (55 patients) groups (p=1.000). Similarly, there was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utcomes in a subgroup analysis according to poisoning severity in matched patients (165 patients) (mild [non-intubated]: p=0.053; severe [intubated]: p=1.000). Conclusion: Neurocognitive sequelae at 1 month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HBO2 therapy pressures of 2.8 ATA and 3.0 ATA in patients with acute CO poisoning. In addition, the 1-month neurocognitive sequela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intubated and non-intubated pat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