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mpacts of Student Loans on Early Labor Market Performance

학자금 대출 경험이 노동시장 초기행태에 미치는 영향

  • Yang, Dongkyu (Department of Economics, University of Colorado) ;
  • Choi, Jaesung (Department of Global Economics, Sungkyunkwan University)
  • 양동규 (University of Colorado, Boulder 경제학과) ;
  • 최재성 (성균관대학교 글로벌경제학과)
  • Received : 2018.08.16
  • Accepted : 2019.11.26
  • Published : 2019.12.31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labor market performance of graduates who had student loans. Compared to earlier studies, we extended analyses to all jobs that were experienced for more than 18 months after graduation. First, we found that students who had student loans earned 2.81% less at their first job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without student loans. Second, the wage gap decreased over time, a reduction of 0.66%p due to labor market turnovers. Third, when we compared cumulated labor income, however, the amount for borrowers were continuously higher. This is because the job searching period of a borrower was shorter, despite relatively lower wages at the first job, and borrowers also made more frequent job turnovers, accompanying relatively more wage increas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negative effects of college loans on earnings, reported in previous studies, may have exaggerated the negative impact to some extent of having loans. However, when we look at the quality of jobs beyond simply wages, the proportion of borrowers working at large companies as regular workers was consistently low. Given that job conditions at the earlier stages of one's career may lead to gaps over time, our findings call for more systematic investigations into the effects that student loans have on long-term labor performance.

본 연구는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를 활용하여 학자금 대출 경험이 있는 대학 졸업자의 노동시장 성과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특히 분석대상을 대학 졸업 이후 18개월간 경험하는 모든 일자리로 확장하고, 대출 경험자의 이질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성향점수 매칭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자금 대출 경험자는 대출 미경험자와 비교하여 첫 일자리의 임금이 2.81% 낮았다. 둘째, 첫 일자리에서 관찰된 임금격차는 시간이 흐르며 감소하였으며, 특히 이직 및 재취업으로 인해 0.66%p의 축소가 이루어졌다. 셋째, 졸업 후의 근로소득을 누적하여 비교하면 대출 경험자가 졸업 후 18개월까지 지속해서 높은 누적소득을 얻고 있었다. 이는 대출 경험자가 낮은 임금의 일자리라도 조기에 수락하기 때문에 미취업 상태로 지내는 기간은 짧고, 첫 취업 이후에는 더 높은 빈도로 이직과 재취업을 통해 임금을 높여가기 때문이다. 대출 경험자는 대출 경험이 없는 이들과 비교하여 이직 및 재취업 시 임금 상승분이 2.6만원 높았으며, 직장을 옮기는 횟수 또한 유의하게 많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노동시장 진입 직후에 조사된 임금을 사용하여 수행된 이전의 연구 결과는 학자금 대출이 임금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과대 추정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고용의 질을 살펴보면 대출 경험자의 대기업 정규직 취업률은 지속적으로 낮았다. 초기 고용의 질이 장기적으로 임금 상승 및 일자리 안정성의 차이에 따른 생애소득의 격차로 이어질 수 있음을 고려하면 이는 향후 장기적인 관점에서 대출 경험자의 노동시장 성과를 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6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NRF-2016S1A3A2925085)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