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y

검색결과 3,068건 처리시간 0.024초

2009년 인천지역의 볼거리 유행 : 단일기관 연구 (Mumps outbreak in Incheon, Korea, 2009)

  • 조선영;이수영;강진한;황희승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1호
    • /
    • pp.67-71
    • /
    • 2010
  • 목 적 : 최근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소아청소년과에 볼거리로 내원하는 청소년들이 증가하여, 지역 사회의 해당 질환의 역학적 변화를 대략적으로 파악하고 급증과 연관된 요인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9년 7월부터 2009년 6월까지 연구병원에 볼거리로 입원한 20세 미만의 환자66명을 대상으로 인구학적 특징과 임상양상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으며, 기간별로 최근 1년 급증기(2009)와 그 이외 9년 비급증기(2000-2008)로 양분하여 비교 하였다. 결 과 : 10년 동안 볼거리 입원환자 총 66명 중 35명(53%)이 최근 1년 급증기에 입원하였다. 그 이외 9년 비급증기의 입원환자수는 31명(47%)으로 연평균 $3.1{\pm}2.8$명이었다. 급증기 환자의 대부분 MMR백신을 1회 접종(62.9%)받은, 1993년 이전 출생(77.1%)한, 15-19세 연령군(80.0%)의 청소년들이었다. 볼거리 접촉력과 환자의 거주 주소지는 비급증기와 급증기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급증기에 고환염과 그 연관된 증상을 보인 환자가 많다는 것 이외, 기간별로 주 증상, 합병증 및 검사실 소견에서도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점은 없었다. 결 론 : 최근 1년 연구병원에 볼거리 입원환자가 급증하였고 이들 대부분은, 볼거리에 자연 노출되거나 2회 MMR접종 기회가 적었던, 1993년 이전 출생한 15세 이상 청소년들이었다. 향후 광범위한 연구자료를 토대로, 볼거리 감염에 감수성이 높은 연령층에 대한 추가접종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단일기관에서 경험한 소아 폐외결핵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Manifestation of Extrapulmonary Tuberculosis in Children : A Single Center Experience)

  • 승소진;곽가영;이수영;강진한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5권2호
    • /
    • pp.167-173
    • /
    • 2008
  • 목 적 : 저자들은 8년간 단일기관에서 경험한 소아 폐외결핵 환자들의 임상적, 미생물학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0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에서 폐외결핵으로 진단받은 15세 이하의 환자들의 의무기록과 검사소견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총 109명의 결핵환자 중 폐외결핵은 12명으로 11%를 차지하였다. 총 결핵환자에 대한 폐외결핵 환자의 비율은 2006-2007년에 20%로 그전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남녀 비는 1.4:1이었으며 진단시 평균 연령은 9.2세(3개월-15세)였다. 침범부위는 늑막이 5명(41.6%)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중추신경계 3명, 속립성 2명, 골관절 1명, 위장관1명 순이었다. 입원했을 때의 주증상은 발열이 11명(91.6%)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총 발열일수는 평균 15.8일(0-47일)이었다. 결핵균 도말 검사는 33.3%, 배양검사는 41.6%, 중합효소연쇄반응 검사에서는 41.6%의 환자에서 양성이었다. 항결핵제 감수성 검사를 시행한 5명 중 4명(80%)에서 1개 이상의 약제에 내성을 보였다. 11명은 합병증 없이 치료되었고 1명은 치료 도중 사망하였다. 결 론 : 본 연구 결과 연구 기간 중 2006-2007년에 총 결핵환자에 대한 폐외결핵 환자의 비율이 이전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또한 소아 폐외결핵이 폐결핵에 비해 미생물학적 진단률이 낮고 항결핵제 내성률이 증가하는 추세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Towards Routine Clinical Use of Radial Stack-of-Stars 3D Gradient-Echo Sequences for Reducing Motion Sensitivity

  • Block, Kai Tobias;Chandarana, Hersh;Milla, Sarah;Bruno, Mary;Mulholland, Tom;Fatterpekar, Girish;Hagiwara, Mari;Grimm, Robert;Geppert, Christian;Kiefer, Berthold;Sodickson, Daniel K.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8권2호
    • /
    • pp.87-106
    • /
    • 2014
  • Purpose : To describe how a robust implementation of a radial 3D gradient-echo sequence with stack-of-stars sampling can be achieved, to review the imaging properties of radial acquisitions, and to share the experience from more than 5000 clinical patient scans. Materials and Methods: A radial stack-of-stars sequence was implemented and installed on 9 clinical MR systems operating at 1.5 and 3 Tesla. Protocols were designed for various applications in which motion artifacts frequently pose a problem with conventional Cartesian techniques. Radial scans were added to routine examinations without selection of specific patient cohorts. Results: Radial acquisitions show significantly lower sensitivity to motion and allow examinations during free breathing. Elimination of breath-holding reduces failure rates for non-compliant patients and enables imaging at higher resolution. Residual artifacts appear as streaks, which are easy to identify and rarely obscure diagnostic information. The improved robustness comes at the expense of longer scan durations, the requirement for fat suppression, and the nonexistence of a time-to-center value. Care needs to be taken during the configuration of receive coils. Conclusion: Routine clinical use of radial stack-of-stars sequences is feasible with current MR systems and may serve as substitute for conventional fat-suppressed T1-weighted protocols in applications where motion is likely to degrade the image quality.

중부 지역 여대생의 커피 음료를 통한 열량 섭취 수준에 따른 영양 섭취 상태와 골밀도 평가 (Evaluation of Nutrient Intake and Bone Status of Female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he Calorie Consumption from Coffee Containing Beverage)

  • 연지영;배윤정;김명희;조혜경;김은영;이지선;김미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30-442
    • /
    • 2009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etary intake according to calorie intake from a coffee containing beverage and the bone health status of 189 female collegians.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questionnaires, anthropometric checkup, 3-days food records and ultrasound measurement of calcaneus bone mineral density.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students not drinking coffee(non-coffee group, N=56), students consuming <100 kcal daily from coffee(low-calorie coffee group, N=84), and students consuming $\geq100$ kcal of their total daily calories from coffee(high- calorie coffee group, N=49).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weight, height, body mass index, body fat and calcaneus bone mineral density among the three groups. The low-calorie coffee group usually drank black coffee or instant coffee mix, and the high-calorie coffee group habitually drank coffee with milk or sugar syr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n daily energy and food intake among the three groups. However, vitamin $B_2$(p<0.05) and calcium (p<0.01) intake in the high-calorie coffee group were higher than in the non-coffee group. Also, mean intake of sugars, fish and shellfishes, milks and beverages in the high-calorie coffee group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non coffee group(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Korean Dietary Diversity Score(KDDS) among the three groups. The main calcium source was milk in all three groups, and milk intake(total and included with coffee) was highest in the high-calorie coffee group. Al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apparent between the high-calorie and non-coffee groups concerning anthropometric factors and calcaneus bone mineral density, consumption of coffee may have influenced food and nutrient intake. The results suggest that consumption of milk-supplemented coffee may be of nutritional benefit.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Use among Cancer Patients at the End of Life: Korean National Study

  • Choi, Jin-Young;Chang, Yoon-Jung;Hong, Young-Seon;Heo, Dae-Seog;Kim, Sam-Yong;Lee, Jung-Lim;Choi, Jong-Soo;Kang, Ki-Mun;Kim, Si-Young;Jeong, Hyun-Sik;Lee, Chang-Geol;Choi, Youn-Seon;Lim, Ho-Yeong;Yun, Young-Ho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4호
    • /
    • pp.1419-1424
    • /
    • 2012
  • Objectives: To investigate in depth the us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s (CAMs) by cancer patients at the end-of-life (EOL) and how they communicate with physicians about them. Design and location: In 17 hospitals in Korea between January and December 2004 we identified 4,042 families of cancer patients. Results: The prevalence of CAM use among cancer patients at the EOL was 37.0%, and 93.1% had used pharmacologic types of agents. The most frequent motive for CAM use was the recommendation of friends or a close relative (53.4%) or a physician (1.6%). Only 42.5% discussed CAM use with their physicians. Satisfaction with CAMS was recalled for 37.1%. The most common reason given for that satisfaction was improvement of emotional or physical well-being, while ineffectiveness was the most common reason given for dissatisfaction. The average cost of CAM during the last month of life was $US 900. CAM use was associated with longer disease periods, primary cancers other than liver, biliary, and pancreatic, and need of support from physicians or religion. Conclusions: CAM use among cancer patients at the EOL was common, not discussed with physicians, and associated with expectation of cure. Expectations were generally unmet while the treatments were a financial burden. Further studies evaluating the effects of CAM at the EOL and factors that enhance communication with the physician are needed.

서울지역 의료기관의 임상영양서비스 현황조사 (Clinical Nutrition Service at Medical Centers in Seoul)

  • 김혜진;김은미;이금주;이정주;임정현;이정민;전현정;이해영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7권2호
    • /
    • pp.176-189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clinical nutrition services at various medical centers in Seoul, Korea.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the departments of nutrition at 44 hospitals in Seoul on July 2009. Nutritional screening carried out at a rate of 59.1% at the medical centers,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ccording to the type of center, from 100% in tertiary hospitals to 18.8% in normal hospitals. On annual average, the numbers of inpatients, inpatients for malnutritional screening, inpatients with malnutrition, and inpatients for malnutrition management were 15,169.5, 10,870.9, 2,224.8, and 1,546.2, respectively. On average the group nutrition education was done 36.1 times/year for diabetes, 8.2 times/year for cancer, and 1.9 times/year for renal disease, and the numbers of participants 423.1, 95.1, and 31.5, respectively. On average the individual nutrition education of inpatients with diabetes was done 135.4 times/year for ordered-type, and 119.3 times/year for unordered-type, 106.2 times/year for paid-type, and 148.5 times/year for unpaid-type. The mean fee for education and counseling was the highest for peritoneal dialysis (73,090.9 won) but the lowest for heart disease (23,609.1 won). On average the individual nutrition education of outpatients with diabetes was done 234.6 times/year for ordered-type, and 2.5 times/year for unordered-type, 204.4 times/year for paid-type, and 32.7 times/year for unpaid-type. The mean fee for education and counseling was also the highest for peritoneal dialysis (63,500.0 won) but the lowest for heart disease (21,336.4 won). To implement more effective clinical nutrition service, a national medical insurance imbursement policy should be urgently instituted such that diseases left as unpaid are covered by health insurance, including all nutrition-related disease.

Factors Affecting Research Participation of Bereaved Familie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A Prospective Preliminary Study

  • Kim, Ye Won;Lee, Yuntaek;Hwang, In Cheol;Hwang, Sun Wook;Kim, Hyo Min;Shim, Jae Yong;Choi, Youn Seon;Lee, Yong Joo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9권3호
    • /
    • pp.233-239
    • /
    • 2016
  • 목적: 말기암환자 가족간병인의 사별가족 연구참여와 관련된 요인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적다. 본 연구에서는 사별가족 연구에 실제 참여를 예측하는 임종 전 요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임종 전과 사별 후에 시행된 다기관 조사연구 자료를 이용하여, 전향적 관찰연구를 진행하였다. 사별가족 연구 참여와 관련된 요인을 추출하기 위해, 단계적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결과: 185명의 사별가족 중, 30명이 사후조사에 참여하였다(응답률: 16.2%). 사후조사 참여군과 비참여군은, 종교, 경제적 상태 그리고 임종 전 인지되었던 돌봄의 질에서 차이를 보였다. 최종 다변량 모델에 의하면, 종교를 가지고 있던 가족(adjusted odds ratio [aOR]=5.01, P=0.008), 높은 경제수준을 가진 가족(aOR=4.86, P=0.003) 그리고 가족 내 관계형성에 대한 돌봄에 만족했던 가족(aOR=4.49, P=0.003)이 그렇지 않은 가족에 비해 더 사후 연구에 참여를 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 의하면, 임종기 돌봄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은 사후 고통을 줄임으로써 사별가족연구에의 참여를 촉진시킨다. 사별가족 연구참여를 망설이는 사별가족들의 특성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중등도 이상의 통증을 호소하는 암환자의 통증간호기록 분석 (Analysis of Pain Records for Cancer Patients Complaining of Moderate or Severe Pain)

  • 박란희;조옥희;유양숙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7권4호
    • /
    • pp.270-277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중등도 이상의 통증을 호소하는 암환자의 통증간호기록을 분석하여 통증의 특성과 통증완화를 위한 중재 및 중재의 효과를 조사하는 후향적 연구이다. 방법: 대상자는 2011년 2월 1일부터 2월 28일까지 서울시에 소재한 C 대학교 병원의 암병동에 입원 환자 중 재원일수가 3일 이상 30일 이하이며, 18세 이상의 성인으로 NRS로 측정한 통증의 강도가 4점 이상인 363명이었다. 결과: 입원 후 4점 이상의 통증을 호소한 건수는 1,394건이었다. 통증의 부위는 복부가 가장 많았고, 통증의 악화요인은 움직였을 때가, 완화요인은 진통제를 투여받았을 때가 가장 많았다. 통증의 유형은 돌발성 통증이 가장 많았다. 통증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한 비약물적 중재 중 온요법이 가장 많았다. 약물을 투여하기 전 통증의 강도는 평균 6.68점이었으며 약물투여 후 1시간에 평균 2.81점으로 감소되었다. 정규처방으로 진통제를 투여한 경우는 52.2%였으며, 마약성 진통제 중 Morphine sulfate가, 비마약적 진통제 중 Gabapentin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퇴원 시 통증의 강도는 3점 이하가 82.5%였다. 결론: NRS 4점 이상의 통증을 호소하는 암환자는 입원 초기부터 적극적으로 통증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마약성 진통제로 통증을 조절하는 암환자와 가족은 물론 간호사를 대상으로 약제의 효과와 부작용에 대하여 교육하고, 또한 퇴원 후 가정에서 환자와 가족이 통증을 평가하고 기록하여 추후 치료에 반영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신체장애 평가에서 유방의 법적 지위 - 장기 해당 여부, 수유장애, 노동력상실에 대하여 - (The legal status of the breast in assessing physical disability)

  • 김봉겸
    • 의료법학
    • /
    • 제18권1호
    • /
    • pp.265-295
    • /
    • 2017
  • 최근 들어서면서 유방에 대한 수술이 종류가 확대술 축소술 재건술로 대별되고 다양해지면서 이에 따른 원치 않은 수술성과에 대한 분쟁이 증가상태에 있으며, 이로 인한 배보상 문제가 최종적으로 대두되면서, '원치 않은 수술성과'를 '수술 후의 문제점' 보다는 "장애'로 보는 관점이 증가되면서, 신체장애 평가에서 유방의 흉부 장기 해당 여부에 따른 노동력상실률이 직접적으로 거론되기에 이에 대한 견해를 발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법령에서 나오는 용어의 사전적 정의 및 의학적 제반 사항을 살펴보았다. 흉부 장기에 유방 포함 여부의 혼란은 용어 선정 후 그 해석이 시대 변화와 맞물려 유발된 것으로 생각된다. 법령에서의 자구 해석을 살펴보면, 유방은 흉부 장기에 해당되지 못함으로 규정된 것으로 사료되며, 수유장애는 낮은 출산율과 실제로 모유수유하는 경우가 현저하게 줄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다수의 의견이라고 주장 강조함이 약화되고 있으며, 모유수유를 노동으로 볼 수 있는 유모로서의 직업도 현재 존재하는지 조차 모르는 실정이다. 이런 이유로, 유방을 흉복부 장기 해당 여부에 대한 논란을 잠재우기 위해서, 포함시키려면, (1) 법령집의 용어를 교체하거나(흉복부 장기에서 (ㄱ) 흉복부를 '흉복부 및 흉복강'으로 그리고 (ㄴ) 장기를 '장기 및 기관'으로), (2) 여러 법령에서 용어 변경은 어렵기 때문에,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시행규칙 [별표 제5호] 신체부위별 장해등급 판정에 관한 세부기준(제48조 관련)"에 유방을 예외적으로 포함시키면 될 것이라고 생각해 본다. 그러나 피부부속기관인 유방을 흉복부 기관 혹은 예외적으로 포함시키면, 당연히 다른 피부부속기관도 포함시켜야 하는 모순관계가 도출되는 문제가 있다고 사료된다. 반면 완전히 배제시키려면, (1) '흉복부'를 '흉복강'으로 하거나, (2) "유방은 제외된다"라는 단서 조항만 삽입하면 될 것이라고 생각해 본다. 법 앞에 만인이 평등하다 하지만 만인 앞에 법이 평등하기 위해서는, 즉 새로운 해석과 판결을 위해서는 사회적인 합의가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국내에서 1989년부터 2001년 사이에 세 번 돌발 유행한 홍역의 역학 및 임상적 비교 (Epidemiologic and Clinical Comparisons of Three Measles Outbreaks in Korea(1989~2001))

  • 윤주연;이경일;강진한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0권2호
    • /
    • pp.223-228
    • /
    • 2003
  • 목 적 : 1989~1990, 1993~94, 2000~01년 3차례 홍역 유행 시기의 홍역 환아들에서 역학 및 임상적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3차례의 홍역 유행시 입원한 환아 총 502명의 의무기록지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환아군을 유행 시기에 따라 I군(1989~90년, 116명), II군(1993~94년, 127명) 및 III군(2000~01년, 227명)으로 나눈 후 각 군간의 역학적, 임상적 특징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연령 분포에서 2세 미만의 비율은 각 군에서 각각 61%, 58% 및 57%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2세 이상의 연령분포에서 I군의 2~5세 비율이 21%로, II군의 6~9세 비율이 28% 및 II군의 10세 이상 비율이 21%로 각 군의 같은 연령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남녀비, MMR 예방 접종률, 총 발열일 및 간염의 빈도에서는 3군간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 입원일(P=0.019)과 합병증 발생률(P=0.012)에서 III군에 비해 I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 론 : 3차례의 연속적으로 유행한 홍역에서, MMR 접종을 받았으나 홍역에 이환된 경우도 있었고, 또한 발생 연령이 세월이 지나감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는 홍역 예방접종의 이차적 실패의 가능성도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향후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