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ine virus

검색결과 113건 처리시간 0.027초

In vitro Antiviral Activities of Korean Marine Algae Extracts against Fish Pathogenic Infectious Hematopoietic Necrosis Virus and Infectious Pancreatic Necrosis Virus

  • Kang, So-Young;Kim, Seok-Ryel;Oh, Myung-Jo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5호
    • /
    • pp.1074-1078
    • /
    • 2008
  • To investigate the antiviral activity of marine algae against fish pathogenic viruses, which are often the causes of viral disease in aquaculture, the 80% methanolic extracts of 21 species collected from the coast of Korea were screened for their in vitro antiviral activities on infectious hematopoietic necrosis virus (IHNV) and infectious pancreatic necrosis virus (IPNV), using a flounder spleen (FSP) cell-line. Among them, Monostroma nitidum (10 ${\mu}g/mL$) exhibited the strongest inactivation on IHNV, showing a 2 log reduced virus titre as compared to the control in the determination of direct virucidal activity. In addition, Polysiphonia morrowii (100 ${\mu}g/mL$) remarkably reduced the virus titres of treated cells by 2-2.5 log, for both IHNV and IPNV, in the determination of cellular protective activity, implying the existence of substances that may modulate innate host defense mechanisms against viral infections. These results reveal that some marine algae could be promising candidates as sources of antiviral agents or as health-promoting feeds for aquaculture.

잠복감염시의 해양버나바이러스의 세포내에서의 동태 (Persistent Infection of Marine Birnavirus and its Status of Infection in Cells)

  • 정성주;오명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9-16
    • /
    • 2002
  •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clarify the mechanism of persistent infection of marine birnavirus (MABV) in various nonpermissive cell lines. It was observed in CHSE-214, RTG-2 and RSBK-2 that the virus produced at high yield with typical cytopathic effect (CPE). On the contrary, the CPE was not produced in EPC, FHM and BF-2 cells. However amount of virus protein in both permissive and nonpermissive cell lines detected by ELISA was almost the same. Electron microscopy showed virions in permissive cells but not in nonpermissive cells. From the results, it is clear that virus protein and RNA were produced in nonpermissive cells as observed in permissive cells; however, assembly of the virus particles did not occur in nonpermissive cells.

Marine birnavirus (MABV)에 대한 단클론 항체 생산 (Production of monoclonal antibodies against marine birnavirus)

  • 공경희;오명주;김위식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71-175
    • /
    • 2020
  • We developed and subsequently characterized mouse monoclonal antibodies (mAbs) against marine birnavirus (MABV). Eight hybridoma clones secreting mAbs against MABV were established. All eight mAbs (8G6, 11C3, 15E3, 17H6, 32A6, 35A7, 38B5, and 47E3) were reacted with viral protein 3 of MABV in MABV-infected CHSE-214, whereas, no reactivity was observed in normal CHSE-214 by western blot analysis. Moreover, these eight mAbs were strongly reacted with MABV, and no cross-reactivity has been observed against other five fish viruses (hirame rhabdovirus, infectious hematopoietic necrosis virus, nervous necrosis virus, spring viraemia of carp virus, and viral hemorrhagic septicemia virus), although five mAb (11C3, 15E3, 17H6, 32A6, and 38B5) reacted with both MABV and infectious pancreatic necrosis virus by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mAbs can be of value in MABV detection.

Genetic positioning of Korean viral hemorrhagic septicemia virus (VHSV) from cultured and wild marine fishes

  • Kim, Wi-Sik;Jung, Sung-Ju;Kim, Jong-Oh;Kim, Du-Woon;Kim, Jeong-Ho;Oh, Myung-Joo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9
    • /
    • 2011
  • Viral haemorrhagic septicaemia virus (VHSV) is an epidemic virus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farms in Korea, since the virus have first isolated in 2001. In the present study, partial glycoprotein (G) gene nucleotide sequences of seven Korean VHSV from cultured olive flounder and wild marine fishes in coastal areas of Korea were analyzed to evaluate their genetic relatedness to worldwide isolates. Phylogenetically, all Korean VHSV formed only one minor cluster including Japanese isolates, in genotype IVa, while the North America isolates formed a different minor cluster in genotype IVa. These results suggest that Korean VHSV could be an indigenous virus in Korean and Japanese coastal areas, but have not been introduced from North America.

해수사육 무지개송어 (Oncorhynchus mykiss)에 미치는 어류 병원성 바이러스의 영향 (Effect of Fish Pathogenic Viruses on Mariculture of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 김위식;장민석;김종오;전영호;오명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83-18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무지개송어의 해수면 양식장으로의 이동에 따라 나타날 수 있는 어류 병원성 바이러스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담수 무지개송어 유래 병원체인 infectious hematopoietic necrosis virus (IHNV)와 infectious pancreatic necrosis virus (IPNV)를 사용하여 주요 해산 양식 어종인 넙치, 조피볼락, 돌돔, 참돔 및 능성어에 주사한 후 병원성 및 감염 여부를 조사하였으며, 또한 해산 양식 어종 유래 병원체인 marine birnavirus (MABV), hirame rhabdovirus (HIRRV) 및 nervous necrosis virus (NNV)를 사용하여 무지개송어에 대한 병원성 및 감염 여부를 조사하였다. IHNV와 IPNV는 주요 해산 양식 어종에 감염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또한 무지개송어는 해산 유래 위해 병원체인 MABV와 NNV에 감염되거나 HIRRV에 의해 폐사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 해수사육 무지개송어는 어류 병원성 바이러스들에 의해 영향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Isolation and Physiological Characterization of a Novel Algicidal Virus Infecting the Marine Diatom Skeletonema costatum

  • Kim, JinJoo;Kim, Chang-Hoon;Youn, Seok-Hyun;Choi, Tae-Ji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1권2호
    • /
    • pp.186-191
    • /
    • 2015
  • Diatoms are a major component of the biological community, serving as the principal primary producers in the food web and sustaining oxygen levels in aquatic environments. Among marine planktonic diatoms, the cosmopolitan Skeletonema costatum is one of the most abundant and widespread species in the world's oceans. Here, we report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a new diatom-infecting S. costatum virus (ScosV) isolated from Jaran Bay, Korea, in June 2008. ScosV is a polyhedral virus (45-50 nm in diameter) that propagates in the cytoplasm of host cells and causes lysis of S. costatum cultures. The infectivity of ScosV was determined to be strain- rather than species-specific, similar to other algal viruses. The burst size and latent period were roughly estimated at 90-250 infectious units/cell and <48 h, respectively.

양성 중인 명태(Gadus chalcogrammus)의 바이러스 모니터링 (Monitoring of viruses in cultured walleye pollock Gadus chalcogrammmus)

  • 남우화;전찬혁;서현준;최다영;서주영;권오남;김위식;김정호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9
    • /
    • 2017
  • 2016년 2월에서 9월까지 강원도 고성, 양양, 강릉에서 각각 양성 중인 명태를 샘플링하여 RT-PCR법으로 바이러스(viral hemorrhagic septicemia virus, VHSV; nervous necrosis virus, NNV; marine birnavirus, MABV)의 검출을 시도하였다. 비장시료를 대상으로 한 one-step PCR에서 VHSV, NNV, MABV 모두 검출되지 않았으며, 뇌시료에서 NNV가 1.8%(1/55)의 검출률을 나타내었다. Two-step PCR에서는 VHSV가 51.6%(32/62 set), NNV가 1.6%(1/62 set)의 비장시료에서 검출되었으며 MABV는 검출되지 않았다. 뇌시료에서는 NNV가 3.6%(2/55)의 검출률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양식산 명태에서 처음으로 VHSV와 NNV가 검출되었다. 그러나 거의 모든 양성개체에서 two-step PCR법으로 해당 바이러스의 유전자가 검출되었으며, 모니터링 기간 동안 바이러스 감염이 의심되는 외관증상을 보이는 개체 및 폐사 개체는 발견되지 않아 바이러스의 역가는 매우 낮을 것으로 생각된다. 차후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세포주를 사용한 바이러스의 분리, 병원성의 확인, PCR 양성개체의 캐리어 가능성 확인 등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양식산 넙치 치어로부터 분리한 버나바이러스의 Marine Birnavirus(MBV)와 Infectious Pancreatic Necrosis Virus(IPNV)와의 연관성 (Biological and Serological Characteristics of Birnavirus Isolated from Cultured Japanese Flounder in 1999)

  • 오명주;정성주;김형락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6-62
    • /
    • 1999
  • 1998년 12월에서 1999년 3월에 걸쳐 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한 넙치 치어의 대량 폐사가 일어났다. 감염어 샘플을 CHSE-214에 접종한 3일 후부터 세포의 구형화, 용해를 특징으로 하는 CPE가 나타났으며, 전자현미경 관찰에서는 크기가 52-56 nm의 구형의 바이러스입자가 세포질 내에서 관찰되었다. RT-PCR에 의한 버나바이러스 특이적 검출의 결과 양성이었다. 어류주화세포를 이용한 바이러스 배양 특성을 확인한 결과 분리바이러스는 MBV와 유사한 세포선택성을 나타내었으나 IPNV와는 세포내 배양특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바이러스 중화 시험에서 항MBV Y-6혈청과 완전히 중화되었으나, IPNV Ab, Sp, VR-299치 항혈청과는 중화 항체가가 낮게 나타나났다. 본 바이러스는 한국의 넙치에서 분리된 IPNV와 다른 새로운 버나바이러스로서 marine birnavirus(MBV)에 속한다.

  • PDF

광양만 해양바이러스 개체수와 물리화학적 요인의 계절적 변동 (Seasonal Fluctuations of Marine Viral Abundances and Physicochemical Parameters in Gwangyang Bay)

  • 최은석;이건섭;김동균;오정균;박종범;정영재;이택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5615-5622
    • /
    • 2012
  • 광양만의 3개의 다른 지역에서 바이러스 개체수와 물리화학적 요인의 계절적 분포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바이러스의 형태적 구조를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대부분의 해양바이러스는 박테리오파지와 유사한 구조를 갖고 있었으나, 일부는 진핵 미세조류 바이러스인 Ectocarpus siliculosus virus (EsV)와 유사하였다. 그룹 1 (폐쇄된 부영양 지역)에서의 바이러스 개체수는 그룹 2 (폐쇄된 빈영양 지역) 및 그룹 3 (개방된 빈영양 지역)에서의 바이러스 개체수보다 높았다. 그룹 1 바이러스의 계절적 개체수는 크게 변화하였다. 바이러스 개체수는 8월에 가장 높은 $7.33{\times}10^8ml^{-1}$에서 12월에 가장 낮은 $0.3{\times}10^8ml^{-1}$로 변화하였고, 봄과 가을에는 중간값을 유지하였다. 질소원 및 인산원의 농도는 바이러스 개체수에 상관관계를 보였다. 특히 용존산소의 계절적 변화는 바이러스 개체수와 반대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광양만에서의 해양바이러스 개체수가 물리화학적 환경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명태(Gadus chalcogrammus) 수정란에서 신경괴사증바이러스(nervous necrosis virus) 모니터링 (Monitoring of nervous necrosis virus in fertilized eggs of walleye pollock (Gadus chalcogrammus))

  • 남우화;이종혁;김미리;장수림;윤도현;서주영;권오남;김정호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9-13
    • /
    • 2018
  • 2017년 1월에서 4월까지 강원도 고성에서 사육중인 명태 친어로부터 수정란을 채집하여 신경괴사증바이러스(nervous necrosis virus, NNV)의 검출을 시도하였다. 매 회 50 mg씩 수정란을 채집하여 이를 1 set로 간주하였으며 총 37 set를 제작하였다. RNA를 추출하고 cDNA를 합성하여 NNV를 대상으로 reverse transcriptase PCR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one-step PCR법으로는 37 set의 시료가 모두 음성이었으며, two-step PCR법으로는 5.4% (2/37)의 시료가 양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band의 농도가 매우 낮아 시퀀싱은 불가능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이전 연구의 결과로부터 현재 국내에서 양식하고 있는 명태에서 NNV 감염에 의한 폐사는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양성 개체 출현 시 바이러스 분리의 시도 등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