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ine birnavirus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8초

양식산 넙치 치어로부터 분리한 버나바이러스의 Marine Birnavirus(MBV)와 Infectious Pancreatic Necrosis Virus(IPNV)와의 연관성 (Biological and Serological Characteristics of Birnavirus Isolated from Cultured Japanese Flounder in 1999)

  • 오명주;정성주;김형락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6-62
    • /
    • 1999
  • 1998년 12월에서 1999년 3월에 걸쳐 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한 넙치 치어의 대량 폐사가 일어났다. 감염어 샘플을 CHSE-214에 접종한 3일 후부터 세포의 구형화, 용해를 특징으로 하는 CPE가 나타났으며, 전자현미경 관찰에서는 크기가 52-56 nm의 구형의 바이러스입자가 세포질 내에서 관찰되었다. RT-PCR에 의한 버나바이러스 특이적 검출의 결과 양성이었다. 어류주화세포를 이용한 바이러스 배양 특성을 확인한 결과 분리바이러스는 MBV와 유사한 세포선택성을 나타내었으나 IPNV와는 세포내 배양특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바이러스 중화 시험에서 항MBV Y-6혈청과 완전히 중화되었으나, IPNV Ab, Sp, VR-299치 항혈청과는 중화 항체가가 낮게 나타나났다. 본 바이러스는 한국의 넙치에서 분리된 IPNV와 다른 새로운 버나바이러스로서 marine birnavirus(MBV)에 속한다.

  • PDF

남해안 자연산 어류에서 Marine birnavirus(MABV)의 검출 (Detection of Marine Birnavirus(MABV) from Marine Fish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 윤현미;김석렬;이월라;정성주;오명주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3-18
    • /
    • 2008
  • Marine birnavirus(MABV)는 중요한 어류 병원체로서 일본 양식산 방어서 처음 분리되어 이후 다양한 해산어종에서 MABV 분리가 보고되었으며 환경적인 샘플인 저질, 해양의 동물성 플랑크톤과 해수에서도 MABV 유전자가 검출되고 있다. 본 연구는 Marine birnavirus disease 에 대한 예방학적 접근의 일환으로서 자연산 어류로부터의 MABV 검출 및 지리적 분포, 보균 어종에 대한 유전학적인 조사를 목적으로 2003년과 2005년도에 동중국해역 3지점, 서해안 5지점 그리고 남해안 5지점에서 어류를 채집하였다. RT-PCR(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이용한 연구결과 자연산 해산어류 160마리 중 13종 17마리에서 MABV가 거출되어 감염율10.6%를 보였다. 조사된 13종의 어류 중 특히 농어목에서 가장 높는 검출율을 보였다. 자연산 어류에서 분리한 MABV 분리균주는 염기서열 분석에서 94.7%-100%, 아미노산 분석에서 97.2-100% 유사성을 나타내었으며 IPNV strain과는 구분되며 MABV에 속하였다.

Dexamethasone 투여가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의 marine birnavirus (MABV) 감염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examethasone on the Burden of Marine Birnavirus (MABV)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권세련;남윤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88-92
    • /
    • 2007
  • Marine birnavirus (MABV)에 무증상적으로 감염된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치어에 면역억제제의 일종인 Dexamathasone을 투여하였을 때 MABV의 감염강도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하였다. Real time PCR 분석결과 dexamethasone을 투여한 그룹이 생리식염수를 주사한 그룹 및 no handling 그룹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Ct 값을 나타냈으며, 또한 semi-quantitative RT-PCR 분석결과에 있어서도 dexamethasone을 주사한 그룹이 대조구 그룹들에 비해 MABV 유전자가 유의적으로 높게 증폭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dexamethasone 투여가 넙치 치어에 감염된 MABV의 복제를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중합효소연쇄반응법(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에 의한 남해안 양식산 어류로부터 Birnavirus의 검출 (Detection of Birnavirus from Cultured Marine Fish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 오명주;정성주;김영진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9-55
    • /
    • 1999
  • 복부팽만, 안구돌출 및 체색혹화의 외부증상을 대표적으로 나타내며, 세균 및 기생충과 같은 병원체 감염의 원인이 아닌 버나바이러스성으로 판단되어지는 남해안 양식산 넙치, 조피볼락, 농어를 대상으로 RT-PCR 법에 의한 체내 감염 바이러스 검출을 행하였다. IPNV 및 MBV만을 선택적으로 확인 검출 할 수 있으며 감염어체를 사용한 검출에서 배양 세포법(12/50)에 비하여 높은 검출 감도(46/50)를 나타내는 RT-PCR 진단법을 도입하였다. 아울러 우리나라 남해안 양식장에 버나바이러스의 감염이 폭넓게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친어용 넙치 성어에 있어 Marine Birnavirus (MABV) 감염에 관한 검색 (The Screening of Marine Birnavirus (MABV) Infected in Brood Stocks of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오명주;정성주;김영진;김형락;정태성;여인규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3-59
    • /
    • 2000
  • 우리나라 연안의 9곳의 지역에 위치한 넙치종묘생산장의 성숙 친어 및 친어용 자연채집어를 대상으로 각각의 생식소를 채집하여 체내 MABV 감염상황을 PCR법을 이용하여 검색한 결과 검사어의 34%가 MABV 감염 양성반응을 나타내었다. PCR 반응양성 어류의 샘플로부터 CHSE-214 세포주를 이용한 바이러스의 배양을 행한 결과, 친어 체내 생식소에 있어 바이러스 감염가가 $10^{2.30}$에서 $10^{4.30}$ $TCID_{50}$/g(ml)의 titer를 보여, 정상적인 친어로 보이는 개체내의 바이러스 잠복감염이 인정되었다. 각각의 다른 어체로부티 분리되어진 바이러스는 중화반응에 따른 검토결과 동일종의 MABV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종묘생산용으로 관리중인 넙치 친어로 부터 MABV의 잠복감염 확인으로 친어를 매개로한 감염의 가능성이 확인되어졌다.

  • PDF

Marine birnavirus (MABV)에 대한 단클론 항체 생산 (Production of monoclonal antibodies against marine birnavirus)

  • 공경희;오명주;김위식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71-175
    • /
    • 2020
  • We developed and subsequently characterized mouse monoclonal antibodies (mAbs) against marine birnavirus (MABV). Eight hybridoma clones secreting mAbs against MABV were established. All eight mAbs (8G6, 11C3, 15E3, 17H6, 32A6, 35A7, 38B5, and 47E3) were reacted with viral protein 3 of MABV in MABV-infected CHSE-214, whereas, no reactivity was observed in normal CHSE-214 by western blot analysis. Moreover, these eight mAbs were strongly reacted with MABV, and no cross-reactivity has been observed against other five fish viruses (hirame rhabdovirus, infectious hematopoietic necrosis virus, nervous necrosis virus, spring viraemia of carp virus, and viral hemorrhagic septicemia virus), although five mAb (11C3, 15E3, 17H6, 32A6, and 38B5) reacted with both MABV and infectious pancreatic necrosis virus by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mAbs can be of value in MABV detection.

2002-2003년도 복수증 양식산 넙치로부터 동정된 미생물상 (Microbial Flora in Ascitic Cultivat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Koe-je Island in Korea During 2002-2003.)

  • 이훈구;손병화;오명주
    • 미생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33-138
    • /
    • 2004
  • 본 연구는 2002년 6월부터 2003년 11월까지 복수증을 나타내는 양식넙치의 세균상과 virus를 동정한 것이다. 생화학적 성상을 기초로 한 표현형으로, 병어체의 복수, 간, 신장, 내장으로부터 Vibrio, Edwardsiella, 및 stonella 등 3개 속이 동정되었다. Vibrio속은 5종으로 우점이었고 V. harveyi (32균주), V. parahaemolyticus (23균주), V. alginolyticus (10균주), V. carcariae (2균주), V. metschnikovii (5균주)였다. 그밖에 Photobacterium damselae (6균주)와 장내세균인 Edwardsiella tarda (15균주)가 동정되었다. 감염어의 내부 장기로부터 해산어 병원성 바이러스로 알려진 marine birnavirus (MABV)가 분리되었다.

Genetic Analysis of the VP2/NS Junction Region on Segment A of Marine Birnavirus Isolated from Cultured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ous

  • Joh, Seong-Joon;Kim, Jeong-Ho;Heo, Gang-Joon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38권1호
    • /
    • pp.44-47
    • /
    • 2000
  • The cDNA of VP2/NS junction region on segment A of the marine birnavirus (MBV) isolated from flounder (DS strain) was amplified using the reverse transcription (RT)-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Its cDNA nucleotide and deduced amino acid sequences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reference strains of MBV and infectious pancreatic necrosis virus (IPNV). Analyses of the nucleotide and deduced amino acid sequences revealed that the DS strain is very similar to the reference strains of MBV, distant from the IPNV.

  • PDF

잠복감염시의 해양버나바이러스의 세포내에서의 동태 (Persistent Infection of Marine Birnavirus and its Status of Infection in Cells)

  • 정성주;오명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9-16
    • /
    • 2002
  •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clarify the mechanism of persistent infection of marine birnavirus (MABV) in various nonpermissive cell lines. It was observed in CHSE-214, RTG-2 and RSBK-2 that the virus produced at high yield with typical cytopathic effect (CPE). On the contrary, the CPE was not produced in EPC, FHM and BF-2 cells. However amount of virus protein in both permissive and nonpermissive cell lines detected by ELISA was almost the same. Electron microscopy showed virions in permissive cells but not in nonpermissive cells. From the results, it is clear that virus protein and RNA were produced in nonpermissive cells as observed in permissive cells; however, assembly of the virus particles did not occur in nonpermissive cells.

양식 강도다리, Platichthys stellatus 및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에서 분리한 marine birnavirus (MABV)의 phylogenetic 분석 (Phylogenetic analysis of marine birnavirus (MABV) isolated from cultured starry flounder Platichthys stellatus an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Korea)

  • 박신후;박명애;조미영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11-218
    • /
    • 2009
  • 경북 울진 지역에서 채집된 양식 강도다리와 충남 태안 및 부산 지역 넙치 시료로부터 분리한 MABV에 대한 유전자 비교를 위해 VP2-NSPhylogenetic VP3 region (432 bp)을 phylogenetic 분석에 이용했다. Sequence 확인 결과 MABV (08-KU)는 일본 방어에서 최초 분리 보고된 YTAV와 98%의 nucleotide 유사성이 나타났으며, 이전 보고된 다 른 여러 strain들과는 76%이상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MABV (06-KP)와 MABV (08-KC)도 YTAV와 97-98%의 높은 sequence 유사성을 보였다. 또한 다양한 MABV strain들과의 비교를 위해 충남태안 및 부산지역 넙치 시료에서 분리한 MABV (08-KC)와 MABV (06-KP)에 대한 phylogenetic 분석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분석에 사용된 MABV (08-KU0, MABV (06-KP), MABV (08-KC)는 모두 일본 방어에서 분리된 MABV Y6와 동일한 genogroup VII에 포함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