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nagement Class Support

검색결과 260건 처리시간 0.025초

중·고등학교의 교사업무공간에 관한 연구 - 교과교실형 설계기반 중·고등학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eacher's Work Space in Middle and High School - Focus on Plan Based Department System Management in Middle and High School -)

  • 서붕교;곽준혁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23-32
    • /
    • 2014
  • Aim of this research is suggesting a satisfied studying space for lecturer, student and curriculum by abstraction of improvement plan which based on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space that teacher is using in lecturer and study support facility in school which managed in 'Department system'. This research focused on analyse of teacher's laboratory, teacher's room, and common room in middle and high school which managed and designed by 'Department system' and registered on 'Seoul office of education' and designed in management of department system between 2009 and 2012. With these process, a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s as in the following. Firstly, plan of teachers' private place which is efficient and stable is required through to get out of module which can cover subject band and grade band. Secondly, we have to focus on size of teachers' convenience facilities for convenience or official usage, movement radius, and improvement of working environments. Thirdly, 'Subject type teachers' laboratory' which organized by teachers who teach same subject is more efficient than 'Task type laboratory' which organized by teachers who working on same task for management of school. In fourth, 'Task type teachers' laboratory' arranged regardless with teachers' class room to teach, and it makes lack of connectivity between teacher and class room.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육 실습 지도 영역에 대한 지도 교사와 교육 실습생의 인식 비교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Cognition of Instruction Teacher and Student-teacher about Role of Industry Vocational Subject Educational Practice Instruction Teacher)

  • 이상현;이병욱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9-3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육 실습생의 지도 영역을 구안하고, 이 지도 영역의 중요도에 대한 교육 실습 지도 교사와 교육 실습생의 인식 수준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특성화고 전문교과 교사의 교육실습 지도 영역을 구안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문헌 고찰과 전문가 검증을 통해 공업계열 전문교과 예비 교사 교육 실습 담당 지도 교사의 지도 영역을 구안하고, 교육 실습 지도 교사와 교육 실습생의 이 영역에 대한 중요도의 인식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 실습 지도 교사가 교육 실습생에게 지도해야할 지도 영역으로는 7개 대영역, 17개의 중영역, 85개의 세부 지도영역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문가들은 예비교사에게 교사의 가치관 및 인성 형성 영역이 추가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였으며, 학교 업무와 관련된 영역은 교육 실습 지도 교사가 지도할 영역으로 그 타당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둘째, 교육 실습 지도 교사는 '바람직한 교육관 태도 형성 영역', '수업 활동 영역', '학생 지도 및 학급 경영 영역'이 중요하다고 인식한 반면, '교육활동 지원 영역'과 '산학협동 및 지역 사회와의 연계 영역'은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교육 실습생은 대체적으로 모든 영역의 중요도를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바람직한 교육관 태도 형성 영역', '학생 지도 및 학급 경영 영역', '전문성 향상 영역', '수업 활동 영역'의 중요도가 높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 실습 지도 교사와 교육 실습생 모두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지도 영역은 '수업 활동 영역', '학생 지도 및 학급 경영 영역', '바람직한 교육관 태도 형성 영역'이었다. 반면 교육 실습생은 중요하게 인식하지만 교육 실습 지도 교사는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다고 인식하는 영역은 '전문성 향상 영역'이었다. '교육 과정 개발 및 운영 영역', '교육 활동 지원 영역', '산학협동 및 지역 사회와의 연계 영역'은 두 집단 모두 중요도가 낮다고 인식하였다.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학습 지원 모형 개발 연구 : 대학교 수업 환경을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n AI-based customized learning support model : Focusing on the university class environment)

  • 이은철;이가영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77권
    • /
    • pp.225-249
    • /
    • 2024
  •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여 학습자들의 특성과 학습 내용, 개인 학습을 고려하고, 수집된 학습 데이터를 분석하여 개별 학습자에게 맞춤형 학습을 지원하는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연구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서 문헌을 분석하여 맞춤형 학습지원, 학습 데이터 분석, 학습 활동의 구조를 조사하였고, 조사된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맞춤형 학습 지원 모형의 영역과 세부 구성 요소를 도출하였다. 문헌 분석을 통해서 모형의 초안을 구성하였고, 모형 초안은 전문가 5인을 대상으로 1차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수행하였다. 1차 델파이 결과를 반영하여 모형을 수정하였고, 수정된 모형은 2차 전문가 델파이를 통해서 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전문가 델파이를 통해서 모형을 정교화하였고, 이를 통해서 최종 모형을 구성하였다. 결론 및 제언 : 연구를 통해서 맞춤형 학습지원 영역, 수업 운영 시스템 영역, 학습 분석 데이터 영역을 구성하였고, 각 영역에 세부 요소들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의 수업환경을 고려하여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맞춤형 학습 지원 시스템을 구성하는데 참고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한 것이다.

의료급여 외래 과다이용자의 의료이용량에 대한 자기인식 (Self-perception of the Amount of Medical Aid Use of Outpatient Overusers in Korea)

  • 신선미;김의숙;이희우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1-35
    • /
    • 2009
  • Limited studies examined Medical Aid recipients' perception for amount of medical u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self-perception(optimal, under and overutilization) for amount, and real amount of medical use, and to determin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erception. Subjects were 2,489 Medical Aid recipients among top 2% overusers in 2005. 200 case managers(CM) managing them conducted survey. CM interviewed them using 2005 medical claiming data from the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and structured questionnaire. Despite of overusers, perception of overutilization was only 26.9% and 23.6% in Class I and Class II, and that of underutilization was 21.4% and 18.7% respectively. In Class I, monthly total outpatient cost per capita of overutilization perception in 2006 was 206 thousand won higher than 150 thousand won of optimal utilization. Amounts of outpatient visit-days and prescribed cases of overutilization perception were higher than those of optimal and underutilization(p <0.0001). In Class II, overutilization perception had more prescribed cases(p 0.004). After adjustment of confounding factors including age and sex, the associated factors(odds ratio) with overutilization perception were hypertension(1.25), arthritis(1.32), depression(1.66), visit of multi medical institutions(3.09), and those of the underutilization were female(1.34), disabled(1.27), no family support(1.49), living in medium and small city(1.48), experience of unabled-visit to medical institution(2.54), frequent visit-recommendation from physician (1.36). In conclusion, education and consult are needed for subjects to improve the reasonable decision of medical use, and the self-care ability to manage diseases and symptoms. We suggest reinforcing the alternative service in community instead of costly medical institution.

인터넷 QoS 지원 이동 IP 망에서의 정책기반 망 관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A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olicy-based Network Management System for Internet QoS Support Mobile IP Networks)

  • 김태경;강승완;유상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2B호
    • /
    • pp.192-202
    • /
    • 2004
  • 2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QoS 지원 이동 IP 망에서의 정책기반 네트워크 시스템 설계 및 망관리 시스템 구현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본 논문의 망관리 시스템은 정책기반 네트워크의 정책서버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인터넷 QoS 지원 이동 IP 망에서의 정책기반 네트워크의 전체적인 프레임워크는 크게 응용계층, 정보관리계층, 정책제어 계층, 디바이스계층의 네 계층으로 나뉘어 통합된 관리를 수행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통합된 망관리 시스템에 적용할 네 가지 범주(access control, mobile IP operation, QoS control, network monitoring)의 정책 구조를 정의하고 이에 따른 동작 절차의 예를 보인다. 실제 QoS 지원 이동 IP 망에서의 정책기반 망관리 시스템의 구현을 위한 설계 방법 및 S/W의 구조와 각 모듈 별 기능에 대해 제시하고 이 망관리 시스템과 각각의 에이전트들과의 원활한 통신을 위해 개발한 SCOPS(Simple Common Open Policy Service)프로토콜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해 정의한다. 마지막으로 제안된 인터넷 QoS 지원 이동 IP 망에서의 정책기반 망관리 시스템을 실험실 규모의 테스트 베드에 적용하여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성능평가한다.

e-러닝 기반 경영과학 강의방식에 관한 사례연구 (Case Study: e-Learning for Management Sciences Course)

  • 엄명용;김태웅
    • 경영과학
    • /
    • 제26권3호
    • /
    • pp.37-54
    • /
    • 2009
  • E-learning is a networked phenomenon allowing for instant revisions and distribution, and goes beyond training and instruction to the delivery of information and tools to improve performance. The proponents of e-learning emphasizes that students learn more effectively when they interact and are involved with other students participating in similar endeavors. The paper outlines the process of development and design of e-learning based Management Sciences course, with the aim of ensuring widespread use, in undergraduate business program. Experiences in introducing students to e-learning course are reported. Feedback from students has been very positive but also indicates the need for ongoing support and direction. In addition, a survey was used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of Management Science, and PLS based model is developed to analyze the results. Statistical results concerning the hypothesized model are provided.

퍼지-계층분석을 이용한 중국 소프트웨어 수출지원정책 성과평가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the support policy for the export of China software using fuzzy-AHP)

  • 최정호;장영안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6호
    • /
    • pp.1499-1510
    • /
    • 2016
  • 본 문은 퍼지-계층분석 (fuzzy-AHP)을 기반으로 중국 소프트웨어 수출지원정책 성과평가를 분석 연구하였다. 기술개발, 품질관리 등 9개의 1급 성과 평가지표 체계를 구성하고, 10명의 중국 소프트웨어전문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퍼지-계층분석을 활용하여 절대적 상대적 중요도를 산정하여, 퍼지 종합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한 결과, 중국 소프트웨어 수출지원정책 성과는 전반적으로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기술개발, 인재양성, 마케팅강화, 자금지원, 플랫폼구축, 제품지원의 영향력은 비교적 중요하고, 품질관리, 세수감면의 영향력은 변화가 없으며, 국제인증의 영향력은 비교적 작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따라 고급 소프트웨어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소프트웨어 품질을 강화하며, 소프트웨어 브랜드를 제고할 필요가 있다.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과학 수업 이미지에 나타난 상호작용 분석 (Analysis of Teacher-Students Interactions in the Image of Science Class by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 전경문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3권3호
    • /
    • pp.318-32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과학 수업 이미지에 나타난 교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을 조사하는 것이다. 정서적 지원(분위기, 학생 시각에 대한 관심, 교사 민감도), 수업 조직(교수학습 형식, 행동 조절, 생산성), 학습 지원(피드백의 질, 언어 모델링, 개념 발달)의 3개 영역 총 9개 기준에 의해 긍정적 상호작용과 부정적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상당수 학생들이 교수학습 형식 또는 개념 발달에 해당하는 긍정적 상호작용을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기피하는 수업의 경우에는 교수학습 형식 또는 학생 시각에 대한 관심 측면의 부정적 상호작용이 많이 나타났으나, 그 외 매우 낮은 빈도를 보인 상호작용 요소들도 있었다. 그리고 여자 예비교사들이 남자에 비해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약간 더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교사전문성에 대한 함의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한국 근로자의 업무관련성 스트레스와 위험요인 (Work-related Stress and Risk Factors among Korean Employees)

  • 최은숙;하영미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549-561
    • /
    • 2009
  • Purpose: Work-related stress and risk factors among Korean employees were identified in this study. Methods: Data were obtained from employees aged 20 to 64 using the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2006 (KWC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SAS version 9.1 was performed to examine risk factors of work-related stress by gender. Results: The age-adjusted prevalence of work-related stress among male and female employees was 18.4% and 15.1% respectively. After adjustments for multiple variables among both male and female employees,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work-related stress and risk factors including education, company size, work time, ergonomic risks, biological chemical risks, and job demands. The significant variables for male employees were housework load, occupational class, and shift work, and for female employees, type of employment. Conclusion: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d support intensive stress management programs nationally giving consideration to work-related stress associated with working time, physical working environment, and job demands. Based on gender specific approaches, for male employes, stress management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with consideration being given to occupational class and shift work. For stress management programs for female employees, consideration needs to be given to permanent employment status, specifically those in small companies.

기혼 여성소비자의 소비스트레스 대처유형과 관련 변수: 사회인구학적 변수, 사회계층, 건강상태 지각 및 소비스트레스를 중심으로 (Consumption Stress Coping Types Among Married Women Consumers and Related Variables: Focused on Socio-economic Variables, Social Class, Perceived Health Status, and Consumption Stress)

  • 복미정;서정희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5-38
    • /
    • 2015
  • This paper focused to classify the consumption stress coping types among married women consumers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socio-economic variables, social class, perceived health status, and consumption stress among coping types. Data were collected from 500 married women through online surveys in South Korea. Two factors of consumption stress(consumption stress before purchase, consumption stress after purchase), and three factors of consumption stress coping(Social support coping, problem solving focused coping, Passive avoidance coping) were identified. K-mean cluster analysis classified into 4 coping types with consumption stress coping. 15% of the sample were included to the passive coping type, and 25% were classified into the ambivalent coping type. 26.8% of the sample were identified to the active coping type, and 35.2% were maladaptive coping typ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consumption stress coping types on education, family income, social class, health status, consumption stress after purchase. Consumer education programs should develop and implement especially for passive coping type and maladaptive coping type to cope effectively with consumption st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