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ker City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3초

메이커문화를 대상으로 한 공공정책 연구 - '메이커시티 세운'을 중심으로 - (Public Policy Research on Maker Cultre: the case of Makercity Sewoon)

  • 오경미;박소현
    • 예술경영연구
    • /
    • 제56호
    • /
    • pp.243-274
    • /
    • 2020
  • 국내의 메이커문화는 2012년 '메이커페어 서울'의 개최를 계기로 본격 시작된 후 대중들에게 큰 관심을 받으며 트렌드를 형성하기 시작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역시 이 흐름에 주목하여 메이커문화를 공공정책의 대상으로 포섭하기 시작하는데, 정책적 영역에서 메이커문화는 창조산업, 창조도시, 4차산업혁명 등의 정책 담론을 아우르는 창조경제의 범주 안에서 추진되었다. 창조경제는 경기 침체를 극복하고 경제 활성화를 위해 공적 영역에서 만들어진 공공정책 담론이다. 창조산업과 창조경제에서 창조성과 문화예술은 필수불가결한 것으로 다루어지지만 오직 경제 창출로 이어졌을 때만 그것의 가치에 대한 궁극적인 인정이 이루어지므로 창조성과 문화예술은 대상화되고 소외된다. 본 연구는 메이커문화 역시 창조경제의 범주 안에서 추진되었기에 창조성과 문화예술처럼 대상화되고 소외되고 있다고 보았다. 서울시가 추진하고 있는 '메이커시티세운' 사례를 통해 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현재 서울시의 세운상가 일대를 둘러싼 도시개발 계획은 해당 일대의 기술 생태계를 파괴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어 메이커문화를 장려하고 육성하여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한다는 그 취지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또한 메이커시티 세운이 창조경제, 창조도시라는 담론으로 포장되어 있지만 담론의 한계로 비판받아왔던 문화예술의 소외와 노동 소외의 문제가 동일하게 드러나고 있다는 사실까지 밝힐 수 있었다.

도시 내 창업 활성화를 위한 메이커 스페이스 계획방향에 대한 연구 - 미국 내에 주요 메이커 스페이스(Techshop, Fab-lab, Autodesk Pier9)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irection of Maker Space Planning for Innovative Entrepreneurship in Urban Area - Focused on major makers spaces in the US (Techshop, Fablab, Autodesk Pier 9) -)

  • 정다래;채얼;권순민;김도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2호
    • /
    • pp.23-31
    • /
    • 2019
  • The purpose is to suggest directions for the creation of a manufacturing space that can promote the recovery of the industrial ecosystem in the city and the start-up activities of creative workers and manufacturers. To do this, we compared the cases of US and domestic maker space.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need a plan of location and space.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principle of equipment construction. Third, various programs for education, collaboration and exchange should be provided. It is thought that the maker space plan and construction direction derived from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to be used for the formation of domestic makerspace in the future.

관심기반수용모형(CBAM)에 의한 중학교 기술교사의 메이커 교육 관심도 분석 (An Analysis of Middle school Technology Teachers' Stage of Concerns about Maker Education By Concerns-Based Adoption Model)

  • 강상현;김진수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04-122
    • /
    • 2019
  •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메이커 교육은 학생 주도적 교육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기술교과에서도 메이커 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시점에서 중학교 기술교사가 메이커교육에 대한 관심도가 어떠한지 파악하는 일은 메이커 교육의 효과적인 실행에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는 관심기반수용모형을 기반으로 하여 중학교 기술교사 400명을 지역별로 유층표집 하였다. 이후 관심도 측정 질문지를 사용하여 원점수를 측정한 뒤 상대적 강도로 환산하여 관심도 프로파일로 나타내 전반적인 관심도를 구하였다. 개인배경변인에 따른 관심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하위변수가 2개인 성별, 연수경험유무는 t검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하위변수가 3개 이상인 근무도시, 교직경력은 일원분산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중학교 기술교사의 메이커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관심도 프로파일은 비사용자의 프로파일 유형과 가장 유사하였다. 성별에 따른 관심도의 차이는 남자교사가 여자교사보다 메이커교육에 대한 관심도가 더 높았다. 근무지역에 따른 관심도의 차이는 읍면지역에 근무하는 교사가 대도시에 근무하는 교사보다 메이커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았으며, 교직경력에 따른 관심도의 차이는 저경력 및 고경력의 교사보다 중간경력의 교사들이 메이커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또한 연수경험이 있는 교사가 없는 교사보다 메이커교육에 대한 관심도가 높았다. 따라서 중학교 기술교사에게 메이커 교육에 대한 소개 및 다양한 정보, 교수·학습 및 평가 자료를 제공하여 전반적인 관심도를 높이고 실제 교육현장에서 메이커 교육을 활용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또한 추후 연구를 통해 관심도와 실행수준, 실행형태를 모두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하여 메이커교육의 효과적인 정착을 위해 노력해야할 것이다.

메이커 프로그램 교육을 통한 역량 수준 분석 (Competence Level Analysis Through Maker Program Education)

  • 장현철;노미라;전병덕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807-813
    • /
    • 2022
  • 4차 산업혁명 시대 창의 융합 인재 양성을 위해 대학에서는 지식 중심 교육에서 역량 중심의 교육으로 변화되고 있는 가운데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은 새로운 교육 방법으로 관심을 받고 있다. 메이커 프로그램 교육을 통해 융합, 창의, 배려, 소통 역량에 대한 수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구시 소재 S 대학교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방사선과 및 스포츠레저과 재학생 2, 3학년을 대상으로 2022년 5월 2일부터 5월 13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융합 역량은 메이커 프로그램 교육 전 3.35 ± 0.78점, 교육 후 4.37 ± 0.61점, 창의 역량은 메이커 프로그램 교육 전 3.28 ± 0.78점, 교육 후 4.07 ± 0.69점, 배려 역량은 메이커 프로그램 교육 전 3.71 ± 0.80점, 교육 후 4.25 ± 0.64점, 소통 역량은 메이커 프로그램 교육 전 3.61 ± 0.70점, 교육 후 4.16 ± 0.63점으로 나타났다. 4개 역량 모두 교육 전과 비교 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 차이가 있었으며, 교육 후 수준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융합, 창의, 배려, 소통 역량 함양의 효과를 볼 수 있었다.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은 4차 산업혁명 시대 창의융합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으로 볼 수 있으며, 더 많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K-City 가상주행환경 고도화를 통한 자율주행시스템 검증 환경 구축 (Development of Autonomous Driving System Verification Environment through Advancement of K-City Virtual Driving Environment)

  • 이빈희;허관회;이장우;김남우;윤종민;조성우
    • 자동차안전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6-26
    • /
    • 2023
  • Recently, the importance of simulation in a virtual driving environment as well as real road-based tests for autonomous vehicle testing is increasing. Real road tests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at K-City, an autonomous driving test bed located at the Korea Automobile Safety Test & Research Institute of the Transportation Safety Authority. In addition, the need to advance the K-City virtual driving environment and build a virtual environment similar to the autonomous driving system test environment in real road tests is increasing. In this study, for K-City of Korea Automobile Safety Test & Research Institute, using detailed drawings and actual field data, K-City virtual driving environment was advanced, and similarity verification was verifie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with actual K-City.

메이커 교육을 활용한 에너지 교육이 초등학생의 과학적 태도와 에너지 소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aker Education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tific Attitude and Energy Literacy)

  • 정경제;배진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0권4호
    • /
    • pp.510-51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메이커 교육을 활용한 에너지 교육이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태도와 에너지 소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B광역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남학생 13명 여학생 10명 총 23명이며 메이커 교육을 활용하여 에너지 교육 수업을 실시하여 수업 전과 후의 과학적 태도와 에너지 소양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메이커 교육을 활용한 에너지 교육은 초등학생의 과학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과학적 태도의 하위 영역 중 호기심, 개방성, 비판성, 협동성, 자진성, 끈기성, 창의성에서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 둘째, 메이커 교육을 활용한 에너지 교육은 초등학생의 에너지 소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에너지 소양의 모든 하위 영역에서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

Fuzzy Group Decision Making for Multiple Decision Maker-Multiple Objective Programming Problems

  • Yano, Hitoshi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3년도 ISIS 2003
    • /
    • pp.380-383
    • /
    • 2003
  • In this paper, we propose a fuzzy group decision making method for multiple decision maker-multiple objective programming problems to obtain the agreeable solution. In the proposed method, considering the vague nature of human subjective judgement it is assumed that each of multiple decision makers has a fuzzy goal for each of his/her own objective functions. After eliciting the membership functions from the decision makers for their fuzzy goals, total M-Pareto optimal solution concept is defined in membership spaces in order to deal with multiple decision maker-multiple objective programming problems. For generating a candidate of the agreeable solution which is total M-Pareto optimal, the extended weighted minimax problem is formulated and solved for some weighting vector which is specified by the decision makers in their subjective manner, Given the total M-Pareto optimal solution, each of the derision makers must either be satisfied with the current values of the membership functions, or update his/her weighting vector, However, in general, it seems to be very difficult to find the agreeable solution with which all of the decision makers are satisfied perfectly because of the conflicts between their membership functions. In the proposed method, each of the decision makers is requested to estimate the degree of satisfaction for the candidate of the agreeable solution. Using the estimated values or satisfaction of each of the decision makers, the core concept is desnfied, which is a set of undominated candidates. The interactive algorithm is developed to obtain the agreeable solution which satisfies core conditions.

  • PDF

TMSI모형을 적용한 메이커교육 프로그램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업성취도 및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Maker Education Program Science Class Applying the TMSI Model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and Scientce-Related Attitudes)

  • 강지훈;이동영;김윤경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63-373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TMSI모형을 적용한 메이커교육 프로그램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업성취도 및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6학년 40명을 대상으로 각 20명씩 연구집단과 비교집단으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6학년 2학기 '계절의 변화' 단원의 내용을 10차시를 선정하여 연구집단의 학생들은 TMSI모형을 적용한 메이커교육 프로그램 과학수업을, 비교집단의 학생들은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전통적 교육방법을 적용한 수업에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TMSI모형을 적용한 메이커교육 프로그램 과학수업은 학생들의 과학 학업성취도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를 미쳤다. 둘째, TMSI모형을 적용한 메이커교육 프로그램 과학수업은 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메이커교육 프로그램 과학수업이 학생들의 과학 수업에 대한 즐거움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교육플랫폼을 활용한 단계별 메이커교육 콘텐츠를 개발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보다 향상된 영역별 메이커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과별 수업에 적용해 봄으로써 메이커교육 프로그램이 적용된 수업이 관련 교과 수업의 즐거움으로 이어지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스마트시티의 주민참여형 안전도시 계획을 위한 빅데이터 활용에 관한 고찰 (A Study on big data utilization for implementation of the resident participation type safe community planning of the smart city)

  • 장혜정;김도년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478-495
    • /
    • 2016
  • 기존의 도시계획은 내부 소수의 의사결정자들에 의해 이루어졌으나 스마트시티에서는 ICT 기술 진화를 통해 개인이 접할 수 있는 정보가 많아지고 채널이 다양화 되면서 다양한 방식으로 의사결정과정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시티의 안전도시 계획 과정을 주민과 직간접으로 소통하는 협력적인 계획과정으로써 데이터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WHO 국제안전도시 인증을 받은 일본의 마츠바라시(松原市)의 데이터의 내용과 활용을 국내와 비교하여 국제안전 도시의 승인을 준비하는 지역에서 주민참여 방안의 보조적 역할로 데이터의 활용성을 높이고자 한다.

혼합 정수 계획 모형을 활용한 서울시 폐기물 관리 시스템 예비 분석 (Preliminary Analysis of Solid Waste Management System for Seoul City by a Mixed Integer Programming Model)

  • Kim, Jae-Hee;Kim, Sheung-Kown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2-75
    • /
    • 2001
  • This paper presents a sophisticated mixed-integer linear programming model that may help regional decision-maker to develop long term plan of solid waste management The model revises Ni-Bin Chang(1996)'s integrated waste management models to fit Korean solid waste management system We apply this model to evaluate impact of facility sharing and coordinated operation among three self-governing districts in Seoul city Our study results indicate that facility sharing and coordinated operation among districts eliminate unnecessary landfilling and facility expansion.

  • PDF